View : 5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박수현-
dc.creator박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2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50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5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5084-
dc.description.abstract본고에서는 정서를 중심으로 시 텍스트를 읽은 독자들이 정서 체험 과정을 통해 시 텍스트를 이해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을 성찰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를 보다 민감하게 느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시 텍스트 정서 체험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는 시 텍스트의 정서는 시 텍스트를 둘러싼 다양한 교육적 국면 가운데 독자가 가장 쉽게 감응(感應)하고 체험할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이며 시 갈래가 ‘주관화된 세계’를 다룬다는 점에서 시 텍스트의 정서는 독자가 체험하게 되는 의미로서의 위상을 갖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시 교육 논의에서 정서는 충분히 논의되지 못하였다. 이는 지금까지 인간을 바라보는 철학적 논의에서는 인간을 이성과 정서를 나누어 이분법적으로 접근해왔다는 온 전통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정서를 이성에 의해서 통제되고 억압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고, 정서가 육체에 얽혀 있다는 이유로 그것을 이성보다 열등한 것이라고 평가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오랜 철학적 전통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정서를 인간의 삶을 담는 시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적인 교육 요소로 본다. 또한 정서의 재발견을 바탕으로 시 텍스트 정서 체험 교육을 중심으로 시 교육의 구도를 구상해 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정서를 학습자, 체험 중심의 맥락에 맞게 재개념화한다. 어떤 개념이 학문적 체계 안에 수용될 때에는 해당 학문의 특성에 맞는 재개념화 과정을 거치게 마련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시 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세계에 대한 주체의 감응’으로 시 텍스트의 정서를 재개념화하였다. 이는 실체와 작용을 애매하게 절충하여 독자에게 체험되는 정서를 드러내지 못했던 기존의 정서 개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작용에만 초점을 맞추어 ‘그럴듯한’의 측면을 놓칠 수 있는 점은 학습독자가 정서 체험하는 과정과 시 해석의 과정이 서로 통하는 지점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보완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재개념화한 정서의 개념을 바탕으로 학습독자의 정서 체험 양상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시 교육에서는 해석을 ‘이해’에 기반하여 인지적인 것으로 협소하게 다루어 왔다. 그렇지만 해석은 ‘독자 지평과 텍스트 지평의 융합’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정서 체험의 양상과 유사하다. 실제로 학습독자는 텍스트 내의 의미 실현 자질을 바탕으로 시 텍스트에 접근하면서도 독자 지평과 감응하며 시 텍스트의 정서를 체험하였다. 따라서 학습독자들의 정서 체험은 텍스트와 독자 지평이 감응하는 지점에서 ‘순간적’으로 일어난다. 학습독자들은 시 텍스트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텍스트 의미 자질들의 관계를 고려하고 자신에게 체험된 정서를 다음 읽기의 지평으로 삼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학습독자 연구를 통해 정서 체험이 해석의 과정이라는 점과 정서 체험 교육에서 학습독자의 지평이 작용하는 양상에 대한 교육적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Ⅳ장에서는 학습독자가 시 텍스트의 정서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어떤 교육적 안배가 있어야 하는가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우선 시 텍스트의 해석 능력의 신장과 지평의 확대에 대한 주체의 성찰적 인식, 텍스트 개념의 확장을 통해 세계에 대한 민감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독자의 해석 능력과 관련된 지평의 마련, 자신의 정서 체험에 대한 거리두기와 조망의 원리, 감수력 함양을 통한 세계와의 소통 등을 실천 원리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시 텍스트의 정서 체험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논의들이 시 텍스트에 대한 해석 능력을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명확히 하고자 를 하였다. 또한 시 읽기가 개인의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시 텍스트와의 체험이 주체에게 침투할 수 있도록 교육적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돌파구로서 정서 체험 교육에 대한 더욱 활발한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poetry education based on learning-readers’ Emotion-experience. Education aims to improve the one’s personality and life. To make learning-readers change their own liv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ims of poetry education. To make readers have introspection and grow up their own personality, this study focuses on Emotion that the poetry text makes. Emotion is the easier element than any other elements of poetry that readers can experience while they read poetry text. Also, the composition of poetry education can’t be organized without emotion as the meaning of text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that poetry deals with subjective world. In the philosophical view, the human beings have been divided into two parts, reason and emotion. At this point of view, emotion has to be controlled and suppressed by reason. They say that emotion is inferior to reason. However, this study is raising a question about this old dichotomous tradition and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emotion that can make an interaction between the poetry and learning-readers. In the Chapter Ⅱ, there is the redefinition of emotion in the context of poetry education. The discussion of emotion has been developed in many ways. In the various studies such as Philosophy, psychology, pedagogy which explore the recognition of human, they are trying to make their own concepts of emotion. However, such concepts are insufficient for explaining emotion that human beings feel through reading poetry text and taking the poetry education. This is the reason why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function of emotion such as 'the response of the subject for the life-world' for redefining emotion that the poetry text makes. Futhermore, this study would make it clear that the emotion-experience in reading poetry is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making the meaning of poetry text. In the Chapter Ⅲ, there is a study about learning-readers’ emotion-experience based on the redefined concept of emotion. When learning-readers read the poetry text for emotion-experience, they realize the emotion as the meaning of poetry text through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However, the realization is not based on entire poetry text. Instead, learning readers-readers realize the emotion while they are reading certain parts of poetry that meet their horizon of expectation. And then, they remind of some emotion again based on the meaning realized earlier. If the readers reminded themselves of feeling the emotion in a moment, the reading subject would feel the emotions base on their body experience and horizon. These criteria are beyond the physical level. The emotion that are reminded in this way are deeping and changed in their meaning in the readers’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the chapter Ⅳ, there is the discussion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for the educational purpose to enable the learning-readers’ emotion-experiencing. First of all, this study is aimed to give ability to interpret the poetry text, individual growth by subject’s self-perception, and sensitivity toward the world by expansion of the text concept. For achieving this goal, this study would present the practical principles that the readers should be provided the horizons associated with the ability to interpret, be sympathetic with and understand the world based on the power of accepting their emotion-experience and distancing from themselves. In this study, it would be sure that arguments which place importance on emotion-experience in poetry text do not deny the meaning of ability to interpret poetry text. Also, it is expected to spread awareness of the need to organize the composition of poetry education in order for literature to change an individual life and to keep discussing actively about the emotion-experience education as the breakthrough for it. [Keywords] redefinition of emotion, the response of the subject for the life-world, emotion-experience as interpretation, aspects of learning-leaders’ emotion-experience, education of emotion-experi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3 C. 연구 대상 및 방법 7 II. 시 텍스트 정서 체험 교육의 이론적 전제 10 A. 정서의 교육적 재개념화 11 1. 기존 정서 개념의 비판적 고찰 11 2. 세계에 대한 주체의 감응(感應)으로서의 정서 18 가. 세계 19 나. 독자 23 다. 감응(感應) 27 B. 시 텍스트 정서 체험의 교육적 가능성 30 1. 텍스트의 의미로서의 정서 30 2. 체험의 작용과 해석적 특성 35 3. 시 교육에서의 정서 체험의 의의 39 III. 학습독자의 정서 체험 양상 42 A. 연구의 설계 44 1. 연구의 목적 44 2. 연구 대상의 선정 47 가. 연구 참여자 선정 47 나. 시 텍스트 선정 48 3. 연구의 절차 및 방법 52 B. 학습독자의 정서 체험 양상 분석 56 1. 텍스트 내 의미 자질의 감응을 통한 시 텍스트 정서 실현 56 2. 정서의 순간적 회감과 독자 지평의 개입 63 3. 중첩되는 정서 체험의 연쇄를 통한 심화 71 4. 정서 체험의 언어화 과정에서의 변이 74 IV. 시 텍스트 정서 체험 교육의 설계 77 A. 시 텍스트 정서 체험 교육의 목표 78 1. 텍스트 의미 구성 능력의 신장 80 2. 지평의 확대에 대한 주체의 성찰적 인식 83 3. 세계에 대한 민감성 확보 85 B. 시 텍스트 정서 체험 교육의 실천 87 1. 텍스트 의미 실현 자질에 대한 독자 지평의 마련 90 2. 체험한 정서에 대한 거리두기와 재귀적 조망 97 3. 감수력을 바탕으로 한 세계와의 소통 100 V. 결론 104 참고문헌 106 Abstract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457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시 텍스트 정서 체험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학습독자의 정서 체험 양상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learning-readers’emotion-experience in poetry Text-
dc.creator.othernamePark, Su Hyun-
dc.format.pageviii,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