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LIU, HUIWEN-
dc.creatorLIU, HUIWEN-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2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8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5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84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해와 구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한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는 매우 발달하여 다양한 사회 맥락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해·표현 능력을 신장하는 것은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중 의성어 의태어를 비교 및 대조 분석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의 교육용 어휘 목록을 제시하였으며, 그 교수·학습 내용을 구안하였다. Ⅰ장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에 관한 연구, 중국어 의성어와 의태어에 관한 연구,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에 관한 교육적 연구를 검토해 보았다. 선행 연구들은 각 어휘의 구체적인 형태 의미적 특성을 분석하지 않고, 교육용 어휘 목록이나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치는 한계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성어·의태어 비교를 통해 양국 의성어 의태어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우선 정의 및 문법범주 비교를 통해 양국 언어 체계에서 의성어와 의태어가 갖는 위치를 파악해 보았으며, 나아가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의 음운론적 특징, 형태적 특징, 통사적 특징을 비교 및 대조해 보았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모국어의 어떤 간섭을 받는지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구체적인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 교육 내용을 마련하기 위해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널리 제시되고 있는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의 어휘 목록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차원은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등에 나타난 학습용 어휘, TOPIK에서 다루고 있는 평가용 어휘, 그리고 빈도수를 기준으로 하는 상용 어휘, 중국에서 출간된 한국어 교재로 나누었다. 기초 자료를 메타 계량의 방법으로 수집된 교육용 어휘는 총 174개로, 이를 3차의 단계로 분석하였다. 1차로 중국어 사전에서 대응되는 의미가 있는 유형(140개)과 없는 유형(34개)으로 분석하였다. 2차로는 이들 어휘를 의성어, 의태어, 의성·의태어로 분석하였으며, 이어 3차로 각 의성어와 의태어에 대응되는 한국어의 의미 수에 따라 단일 의미를 가진 것과 복수 의미를 가진 것으로 나누었다. 이 과정을 통해 의미에 따른 의성어와 의태어의 범주는 다음 7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 Ⅳ장에서는 Ⅱ장에서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를 비교 분석한 결과와 Ⅲ장에서 선정한 교육용 의성어와 의태어 어휘 목록을 바탕으로, 각 어휘 범주별 어휘의 의미 학습 및 특징을 살린 실제 교육 내용 및 방안을 설계해 제시해 보았다. 교수·학습 단계는 ‘도입, 제시, 연습, 활용 및 정리’의 총 4단계로 구성하였으며, 각 단계의 의성어와 의태어의 교육 내용을 세부 교육 활동과 함께 구안하였다.;Vocabulary education that belongs to language education is part of grammar education. This education aims to foster the vocabulary of learners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to boost their linguistic ability, and every learner should be aware of the nature of vocabulary to improve their own vocabulary. The right knowledge of the definition, form, phoneme and meaning of vocabulary and the right use of it are indispensable for the improvement of vocabulary. It's mandatory for Chinese learners who learn Korean to learn about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to foster their Korean proficiency. As Korea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are widely used in various contexts and forms, it's absolutely necessary to improve an ability to understand and use these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n an effort to prepare a Korean vocabulary list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to be learned for the sake of Chinese learners and determine how to teach the selected words. Chapter Ⅱ compared Korean and Chinese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to find out about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 two. And how Chinese learners might easily be affected by their own native language in the course of learning Korea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was investigated. Chapter Ⅲ analyzed existing Korean vocabulary list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that targeted Chinese learners. How many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that were included in Korean textbooks for Chinese people and/or in TOPIK were contained in the lists was analyzed, and how many commonly used words were contained in the lists was analyzed as well. And Korean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in China were also analyzed. As a result of making a meta-analysis, 174 words to be learned were selected, which were categorized into seven. Chapter Ⅳ designed how to learn the meaning of the words of the list by playing up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chapters about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and the vocabulary list of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to be learned. Four teaching-learning stages were selected: introducing, presenting, drill, utilizing and wrapping-up. What and how to teach in each stage were suggested, and detailed educational activities were suggested as wel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3 1.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에 관한 연구 3 2. 중국어 의성어와 의태어에 관한 연구 4 3.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에 관한 교육적 연구 7 C. 연구 대상 및 방법 9 Ⅱ.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의 비교 분석 13 A.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의 정의 및 문법범주 비교 13 1. 한국어 정의 비교 14 2. 중국어 정의 비교 18 3. 한중 문법범주 비교 20 B.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 특징 비교 21 1. 음운적 특징 비교 21 가. 한국어 음운 체계 22 나. 음절 구조 29 2. 형태적 특징 비교 31 가. 단독형과 반복형 31 나. 파생어 34 3. 통사적 특징 비교 35 가. 다른 문장성분과의 결합 제약 35 나. 문장성분 36 4.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의 공통점 및 차이점 40 C. 중국어 의성어와 의태어의 특징 41 1. 음운적 특징 42 가. 중국어 음운 체계 42 나. 음절구조 44 다. 성조 46 2. 형태적 특징 46 가. 단독형과 반복형 46 나. 구조조사와의 결합형식 49 3. 통사적 특징 50 가. 다른 문장성분과의 결합 제약 50 나. 문장성분 50 4. 중국어 의성어와 의태어의 특징 비교 51 가. 공통점 51 나. 차이점 52 D. 한중 의성어와 의태어의 특징 비교 종합 52 Ⅲ. 교육용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 목록 선정 및 범주 분류 55 A. 교육용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 어휘 목록의 선정 55 1. 한국어 교재 등에 나타난 학습용 어휘의 검토 57 2. TOPIK에서 다루고 있는 평가용 어휘의 검토 60 3. 빈도수 기준의 상용 어휘 검토 61 4. 중국에서 출간된 한국어 교재에 대한 검토 61 B. 한중 의미에 따른 교육용 어휘 목록 범주 분류 및 분포 65 1. 한중 의미에 따른 교육용 어휘 목록 범주 분류 65 2. 범주에 따른 의성어와 의태어의 분포 67 Ⅳ.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의 범주별 교육 방안 설계 69 A. 어휘 목록 분석 69 1. 의성어의 성질을 가진 어휘 범주 분석: 범주<1>과 범주<2> 69 2. 의태어의 성질을 가진 어휘 범주 분석: 범주<3>과 범주<4> 72 3. 의성어의태어의 성질을 가진 어휘 범주 분석: 범주<5>와 범주<6> 77 B. 범주별 교육 방안 제시 81 1. 범주<1>과 범주<2>의 의성어 교육 방안 85 2. 범주<3>과 범주<4>의 의태어 교육 방안 88 3. 범주<5>과 범주<6>의 의성의태어 교육 방안 93 4. 중국어 사전에 한국어와 대응되는 의미가 없는 의성어와 의태어 교육 방안 97 Ⅴ.결론 101 참고문헌 102 부록 110 ABSTRACT 1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1443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교육용 어휘 선정과 교육 방안 설계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ducation of Korea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for Chinese Learners : with priority given to the selection of vocabulary to be learned and instructional design-
dc.creator.othername刘慧雯-
dc.format.pagexiii, 1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