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2 Download: 0

고려 후기 『功德疏經』 신앙의 의의

Title
고려 후기 『功德疏經』 신앙의 의의
Other Titles
The Significance of Gongdeokso-gyoung (功德疏經) Faith in the Latter Part of Goryeo Dynasty : Focusing on the Samsipbun Gongdeokso-gyoung(三十分功德疏經) and Samsippalbun Gongdeokso-gyoung(三十八分功德疏經)
Authors
박영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미
Abstract
Gongdeokso-gyoung (功德疏經 the Sutra of Merit Commentary) is a kind of the recollection (mainly by chanting) manual for wishing the merit of recollecting buddhas, bodhisattvas, heavenly gods, the human and dead souls such as the Isipyukbun Gongdeokso-gyoung (二十六分功德疏經 the Sutra of Twenty-six Merit Objects Commentaries), Samsipbun Gongdeokso-gyoung (三十分功德疏經 the Sutra of Thirty Merit Objects Commentaries) and Samsippalbun Gongdeokso-gyoung (三十八分功德疏經 the Sutra of Thirty Merit Objects Commentaries). The Isipyukbun Gongdeokso-gyoung is the original text of the other two sutras. The existing studies are not sufficient for the understanding of Gongdeokso-gyoung as a whole because they examined only the Samsippalbun Gongdeokso-gyoung. The Isipyukbun Gongdeokso-gyoung is the sutra about the objects and forms of the recollection appeared in the ritual commentary in relation to the Festival of Water and Land (水陸齋 the ritual of placing food in the water for water sprites, and on land for ghosts) that was prevailed from the end 11 A.D. to the early period of 12 A.D. in the Song (宋) Dynasty, China. The Isipyukbun Gongdeokso-gyoung expounds that, if we chant the name of buddhas and bodhisattvas to the officials of the Taoist underworld, we will reborn in the heavenly realm and also we will never catch the contagious disease and fortunate in this world. This paper can confirm the faith pattern of Isipyukbun Gongdeokso-gyoung and the spiritual efficacies, communions of minds of the Buddha (or Bodhisattvas) and practitioners appeared in the Isipyukbun Gongdeokso-gyoung mentioned in the Samsippalbun Gongdeokso-gyoung. Also we can confirm such spiritual efficacies in the ceremony of the Isipyukbun Gongdeokso-gyoung practice in the year 1211 (King Huijong, Goryeo Dynasty). The episodes of the spiritual efficacies in the Isipyukbun Gongdeokso-gyoung show the fact that the faith was established at the first among the intellectuals or the ruling class of the central and provincial officials who could read sutras. However, later, the spiritual efficacies appeared in the relatively easy practice such as not only in the ceremony of reading and chanting of the sutra by ordinary people but also in the praising and keeping of sutras. Accordingly, the faith was prevailed among all classes of people without regards to the pattern of faith. On the basis of this popularization, the monks of Goryeo Dynasty added the additional contents of the Samsipbun Gongdeokso-gyoung (三十分功德疏經) and Samsippalbun Gongdeokso-gyoung (三十八分功德疏經) which were needed urgently in the Goryeo society. This paper can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ded parts by comparing the above two with the original text, Isipyukbun Gongdeokso-gyoung (二十六分功德疏經). Kitchen, door, rain and wind which influence directly the lives of the ordinary people were also added in the Samsipyukbun Gongdeokso-gyoung because people of the times sought earnestly the benefits of the present. Also most of the added objects such as Kṣitigarbha devotion (地藏信仰) and Jvālā tathāgata devotion (熾盛光如來信仰) and Dhāraṇī devotion (陀羅尼信仰) in the Samsippalbun Gongdeokso-gyoung were introduced in the Buddhist canon later, intensifying the Buddhist aspects of faith. Even though we cannot exactly identify the compilation time of the Samsipbun Gongdeokso-gyoung and Samsippalbun Gongdeokso- gyoung, this paper reviewed the background of the typesetting through the fact that it was engraved the early period of 14th century at Changnyeong and Hapju, both area located near Gyeongsang-do (慶尙道) province. The war with Mongolia in 13th century and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impoverished the lives of the common people. Furthermore, the rebellion of Sambyeolcho (三別抄 the Three Elite Patrols) after war, the mobilization of people during Yuan (元)‘s expedition to Japan, the continuous draught aggravated the people's lives. Especially Jeolla-do (全羅道) and Gyeongsang-do (慶尙道) province were severely hit by the situation. As a result, the Samsipbun Gongdeokso-gyoung and Samsippalbun Gongdeokso-gyoung were engraved at the first year (1331) of King Chunghye (忠惠王) and in the year 1339 when King Chunghye was reinstated. Such engravings show that mass printings were necessary for the circulation of the faith in the sutras and also there were a big demand from many people at that time. The popularized faith in the Gongdeokso-gyoung can be seen through these facts. The Gongdeokso-gyoung can be the object of the faith across all sects of Buddhism because it didn't emphasized any special doctrine and thought. Also Rebirth in the Pure Land (淨土往生) were emphasized in the aspiration vow of the Samsipbun Gongdeokso-gyoung and the epilogue of Samsippalbun Gongdeokso-gyoung. In addition, the case of communions of the minds of the Buddha and practitioners in the postscript of the Samsipbun Gongdeokso-gyoung provided a new case of the Gongdeokso-gyoung to the stories of spiritual efficacy (靈驗譚). Accordingly, even though the original text was compiled in China, the additionally compiled Gongdeokso-gyoung in Korea are a reflection of the faith of the latter part of Goryeo Dynasty which desired the spiritual efficacy in times of the hardship.;『功德疏經』은 神・人間을 위해 佛・菩薩・天神 등을 念하면 공덕이 쌓인다는 일종의 염불집으로, 『二十六分功德疏經』(이하 『이십육분』)과 『三十分功德疏經』(이하 『삼십분』), 『三十八分功德疏經』(이하 『삼십팔분』) 등이 있다. 『이십육분』은 나머지 두 경전의 바탕이 되는 舊本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삼십팔분』에 대해서만 다루어 그 이해가 충분하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근래 발견된 『삼십분』에 주목하여 『이십육분』을 복원하고, 이를 통해 고려 후기의 『공덕소경』 신앙의 전반을 파악하였다. 『이십육분』은 11세기 말~12세기 초 유행하던 수륙재와 관련된 의궤에서 나타나는 대상과 念佛의 형식을 차용하여 宋에서 찬술된 경전이다. 또 『이십육분』은 天曹와 地府의 도교적 명부세계의 관리들을 위해 佛・菩薩의 이름을 염송하면 죽어서 天上에 태어나며 현세에서 복을 얻고 전염병에 걸리지 않게 됨을 설하고 있는데, 희종 7년(1211)에 設行된 이십육분공덕도량과 『삼십분』에 실린 『이십육분』의 감응 사례를 통해 고려에서 『이십육분』의 신앙 양상과 영험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십육분』의 영험담을 살펴보면 『이십육분』은 경전을 읽을 수 있는 지식인이나 중앙과 지방의 지배층을 중심으로 신앙되어 道場의 설행, 讀誦 등의 신앙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여기에는 경전을 지니는[受持] 등의 비교적 쉬운 신앙 행위로써 감응을 얻은 사례도 나타나므로 일반민도 신앙하기 용이했을 것이다. 따라서 『이십육분』은 신앙 양상에 관계없이 다양한 계층에서 신앙되어 유행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유행을 바탕으로 고려의 승려들에 의해 당시 사회에서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내용이 추가되어 『삼십분』과 『삼십팔분』으로 증보, 찬술되었다. 『삼십분』과 『삼십팔분』은 舊本인 『이십육분』에서 추가된 대상의 분석을 통해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삼십분』에는 사람들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상인 부엌, 문, 비와 바람 등이 보입되어 있어, 현세의 이익을 기원하고 있다. 『삼십팔분』에는 대부분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존재가 보입되었고, 地藏信仰, 熾盛光如來信仰, 陀羅尼信仰이 나타나 불교적 요소가 강화되었다. 『삼십분』과 『삼십팔분』이 찬술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두 경전은 14세기 초 경상도의 인접한 두 지역인 창녕과 합주에서 판각되었다. 이 사실을 통해 두 경전이 조판된 배경을 살폈다. 13세기의 몽골과의 전쟁, 전염병의 유행은 사람들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었으며, 전쟁 종결 후 이어진 삼별초의 항쟁이나 元의 일본 원정에의 동원, 지속되는 가뭄은 이를 더욱 악화시켰다. 이는 특히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에서 두드러졌고 그 결과 충혜왕 원년(1331)과 충혜왕 복위년(1339)에 각각 『삼십팔분』과 『삼십분』으로 판각되었다. 이러한 판각은 대량 인쇄를 통해 신앙을 유포하려는 측면뿐 아니라 그만큼 사람들의 수요도 많았음을 반증하는 것으로 고려에서의 『공덕소경』 신앙의 유행을 보여준다. 『공덕소경』은 당시 불교계에서 종파를 초월하여 신앙될 수 있었다. 특정한 교리나 사상을 강조하지 않았으며 『삼십분』의 발원문과 『삼십팔분』의 발문에 의하면 정토왕생을 기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삼십분』의 追記에 나타난 감응 사례는 당시 『法華經』의 영험 사례를 중심으로 유통된 고려 靈驗譚의 유행에 『공덕소경』 영험담이라는 새로운 사례를 제공한다. 고려 후기 『공덕소경』 신앙은 舊本이 되는 경전은 중국에서 찬술되었으나, 증보를 통해 고려에서 찬술한 경전을 바탕으로 영험을 희구하는 사회상을 반영한 고려 후기 불교 신앙의 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