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유혜련-
dc.creator유혜련-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1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9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5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98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to suggest the ways of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Reading to learn subject cont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study, Reading to learn subject contents means reading to learn other subject contents in Korean language classes. Reading to learn focuses on helping to acquire knowledge of school subjects. Reading includes not only textbook reading, but also multimedia reading. So,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Korean language curriculums and textbooks, Korean language classes, Korean teachers and students. First, Korean curriculum and textbooks of middle school and 5-6th grade elementary school are subjects of the study. Second, the subjects are teachers and student of middle school and 5-6th grade elementary school. The method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analyze the contents and application of Reading to learn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s and textbooks. Seco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activities and teachers and students' attitudes toward Reading to lear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based on analysed data, suggest improvement of Reading to learn subject cont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result of the study, contents of Reading to learn are reflected poorly on Korean language curriculums and the textbooks. And Reading to learn is an unfamiliar theme to teachers and students. So, improvement of total curriculum, combining course of study, integrating subjects or executing teacher training and etc. is needed to improve Reading to learn in Korean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국어과에서의 교과 학습독서 관련 내용이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하고 교수․학습 공간에서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한 후에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교과 학습독서는 국어과와 다른 교과와의 연관성 위에서 학습독서를 논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또한 학습독서는 ‘학습을 위한 독서’로, 지식과 정보 등 학습 내용의 습득을 위해 독서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을 위한 독서는 국어과 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교과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과 학습독서만을 대상으로 한다. 학습독서가 내용 교과의 지식과 정보를 배우기 위한 독서활동을 이르는 말이라면, 여기서 독서활동은 인쇄된 종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글자를 포함하거나 혹은 포함하지 않은 자료를 ‘읽어내는’ 활동을 의미한다. 전술한 연구의 목적과 범위에 따라서 연구의 대상을 다른 교과의 학습독서가 반영된 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 수업과 교수․학습자 등으로 정하였다. 첫째 주요 분석 내용은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인데, 그 범위는 교과 독서에 대한 연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 이후부터인 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부터 현행 교육과정인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까지로 제한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은 챌(J. Chall)이 언급한,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는 학습독서기(Reading for Learning the New)에 해당하는 4~8학년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여 살펴보되, 특히 중학교에 해당하는 7~8학년에 초점을 둠으로써 9학년을 추가하였다. 첫째와 둘째 연구대상을 아울러 국어과 교육과정의 적용을 받는 전체 학년 내에서는 챌(J. Chall, 1996)의 읽기 발단 단계도 함께 살펴보는 것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와 둘째 연구대상에 따라 각각을 분석하는 단계를 먼저 진행하고, 다음으로는 두 가지 연구대상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서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하였다. I장의 서론에서는 연구목적과 필요성, 연구 대상과 방법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학습독서 이론연구와 실태연구로 나누어 살폈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교육과정과 읽기 발달 단계를 중심으로 살폈다. Ⅲ장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학습독서 반영 실태와 교사와 학습자 설문 조사 등을 통하여 국어과 학습독서 교육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 학습독서의 내용의 양과 질이 충분하지 않으며, 최근 교과서와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있더라도 추상적이거나 소극적인 정도의 반영에 그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학습자와 교사 설문 조사를 통해 특히 학습자가 학습독서라는 개념을 생소하게 여기고 있는 점을 발견하였으며, 교사의 경우는 한 번도 학습독서 교육을 실행해 본 경험이 없는 경우가 40%, 관련 연수나 교사 교육을 단 한 번도 받지 못한 교사의 경우가 76%에 달하여 교사의 관련 경험이 충분하지 못할 뿐 아니라, 교사에게 돌아오는 재교육 기회 자체가 거의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Ⅲ장의 설문조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통틀어 교사 69명과 학생 261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교사 인터뷰는 단답형 질문을 포함한 선택형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학생 설문지는 모두 선택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조사의 한계점은 연구자가 조사 대상자에게 간접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면서 학습독서의 개념이 명확히 전달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모든 설문지 앞머리에 학습독서의 개념을 설명하였지만 결과를 분석하며 조사 대상자에게 애초에 낯선 개념이었던 것을 발견하여, 이를 처음 접하는 대상자에게는 설명이 충분치 않았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학습독서 개념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계기로써의 의미를 지니기도 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과 Ⅱ장을 토대로 국어과에서의 학습독서 교육 개선방안을 각각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차원, 교수․학습 방법의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먼저, 국어과 학습독서 개선을 위하여 다른 교과와 연계한 교육과정이나 학습독서 단원을 구성을 제안하였다. 타 교과와 연계한 통합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학습을 위한 독서 교육 내용을 마련할 수 있고, 국어과 교육과정 내에서는 학교군별 혹은 학년별로 교과서 앞머리에 넣을 학습독서 단원을 별도로 설정하여 학습독서 학습을 위한 지침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국어 교육과정 안에 이미 있는 범교과적 요소를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다른 교과와 연계한 학습독서 교육 내용을 넣는 방안도 제시하며 기존의 범교과적 요소의 예시를 들어 학습독서 교과서 구성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또 교수․학습 방법 개선 방안으로는 교수․학습 방법의 교과 통합적 접근과 어휘학습 전략 적용, 학습독서 관련 교사 연수와 교사 재교육을 제안하였다. 교과 통합적 교수․학습 방법은 국어과와 타 교과 교사의 팀티칭, 교과 통합적 평가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학습독서 관련 교사 교육은 교사 임용 전 학부나 교육대학원에서의 교직이수 과정부터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3 1. 학습독서 교육 이론 연구 3 2. 학습독서 교육 실태 연구 5 C.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8 Ⅱ. 이론적 배경 11 A. 학습독서의 개념과 교수학습방법 11 1. 학습독서의 개념과 의의 11 2. 학습독서의 구성과 교수학습방법 15 B. 교과 학습독서의 교육과정 구성 및 읽기 발달 단계 17 1. 학습 독서와 교육과정 구성 이론 17 2. 읽기 발달 단계와 학습독서 교육 23 Ⅲ. 초·중학교 국어과 학습독서 교육 실태 분석 28 A. 국어과 교육과정의 학습독서 반영 실태 분석 28 1. 분석 기준 28 2. 분석 대상 31 3. 교육과정 분석 및 논의 31 B. 국어과 교과서의 학습독서 반영 실태 분석 49 1. 분석 기준 50 2. 분석 대상 51 3. 교과서 분석 및 논의 52 C. 초·중학교 학습독서 교육 실태와 교수·학습자 인식 70 1. 분석 방법과 대상 70 2. 분석 내용 71 3. 분석 결과 및 논의 73 Ⅳ. 초·중학교 국어과 학습독서 교육 개선 방안 85 A.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선 방안 85 1. 교과 연계 교육과정 및 단원 구성 85 2. 범교과적 요소를 활용한 교과서 구성 87 B. 교수·학습 방법 개선 방안 94 1. 교수·학습 방법의 교과 통합적 접근 94 2. 어휘 학습 전략 적용과 교사 교육 96 Ⅴ. 결론 및 제언 99 참고문헌 101 부록 106 ABSTRACT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8164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학교에서의 국어과 학습독서 교육 개선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Reading to learn subject cont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dc.creator.othernameYou, Hye Ryen-
dc.format.pageix, 11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