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6 Download: 0

갈래 바꿔쓰기 활동의 체계화를 통한 극문학 교육 방안 연구

Title
갈래 바꿔쓰기 활동의 체계화를 통한 극문학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ramatic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Systematization of Trans-Genre Writing
Authors
이효주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The obective of this thesis is to systematize Trans-Genre Writing Activities included in the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by suggesting delicate procedures and methods. Most of Trans-Genre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textbooks are offered with questions but without explaining levels and stages of activities. Therefor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rans-Genre Writing has not been fully proved. Having this critical mind, this thesis systematizes Trans-Genre Writing Activity that focuses on turning a novel into scenario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 dramatic literature and the narrative genre at the same time. In chapter Ⅱ,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genre of drama and narrative genre are analyzed to build the theoritical basis of this thesis. So called the Genre confusion phenomenon that dramatic literature education has been facing with is pointed out as a major obstacle of it. And the activity that turns a novel into scenario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way to reinforce the dramatic literature education. To prove this, the 7th and the revised 2007th and 2011th middle school Korean text books are examined focusing on Trans-Genre Writing Activites. In chapter Ⅲ, the education strategies for the activities of Trans-Genre Writing are suggested. Firstly, the central features of this activity are categorized as 'Character change', 'Writing dialouges', 'Writing stage directions'. In terms of Character change, some characters of novel can be added or eliminated in the process of scenario writing. Personality of characters also can be modified in this process. Secondly, In terms of Writing dialouges and stage directions, Each has four education strategies which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eaching and learning about the dramatic functions of dialouges and stage directions. Lastly, in chapter Ⅳ, the subdivided ways for the stages and the methods of the hierarchy for Trans-Genre Writing Activity are suggested. First, the stages of the activity are subdivided as six categories reffered to the theory of bigginers' writing techniques. According to the level of difficulty, the hierarchy from the lower grades to the higer grades can be possible by differing in afflication. Finally, the map model of Trans-Genre Writing Activity is proposed and the desirable directions of this activity are suggested in aspects of developing capability of the culture and emphatic ability.;이 연구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갈래 바꿔쓰기 활동’의 체계화를 통해 학습자와 교사에게 보다 선명한 활동의 방법과 과정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현행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창조적 재구성’의 일환으로 구현되어 있는 갈래 바꿔쓰기 활동은 대부분의 경우, 구체적인 활동 단계를 명시하지 않은 채, 학습 문제만을 제시해놓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하나의 갈래를 새로운 갈래로 바꿔 써 봄으로써 문학의 다양한 갈래에 관한 학습을 경험하고, 창작 활동이라는 목표에도 다가갈 수 있는 이 활동의 교육적 효과가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 연구는 소설을 시나리오로 바꿔 쓰는 것을 중심으로 한 갈래 바꿔쓰기 활동의 체계화 방안을 활동의 과정 및 위계화 측면에서 고안하여 서사 갈래와 극 갈래에 관한 학습자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학의 주요 갈래인 소설을 기본 제재로 삼아 학습자가 그것을 직접 영상 문학인 시나리오로 전환하는 과정을 경험케 하여 소기의 교육적 성과를 달성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서사 장르와 극 장르의 성격을 공통점과 차이점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논지 전개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 또한 현재 극문학 교육이 처해 있는 하위 장르의 혼효 현상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소설을 시나리오로 바꾸는 갈래 바꿔쓰기 활동이 학습자들의 장르의식 계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특히 갈래 바꿔쓰기 활동이 단순히 극문학 교육만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영역 통합적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함으로써 현행 국어 교육의 장 안에서 갈래 바꿔쓰기가 갖는 교육적 의미를 분명히 한다. 마지막으로 현행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갈래 바꿔쓰기 활동의 양상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7차, 2007 개정, 2011 개정 중학교 국어교과서를 검토하였으며 이 작업을 통해 갈래 바꿔쓰기 활동의 체계화 및 학습자와 활동 수준에 따른 분류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본격적으로 갈래 바꿔쓰기 활동을 위한 교육의 전략에 관해 살펴 본다. 학습자들이 보다 의미 있고 효과적인 갈래 바꿔쓰기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세심한 교수ㆍ학습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활동의 중심 요소를 ‘인물의 변환’, ‘대사 쓰기’, ‘지문 쓰기’의 세 가지로 범주화 하였다. A절에서는 소설을 시나리오로 갈래 바꿔쓰기 하는 과정에서 ‘인물의 추가 및 삭제’와 ‘인물의 성격 및 조건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이를 학습자에게 교수함으로써 갈래 바꿔쓰기가 보다 창조적인 활동이 될 수 있음을 서술한다. B절과 C절에서는 대사 쓰기와 지문 쓰기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자에게 대사와 지문의 극적 기능에 대해 교수ㆍ학습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 교육의 전략을 세 가지 차원에서 제시한다. Ⅳ장의 A절에서는 활동을 체계화하기 위하여 갈래 바꿔쓰기 활동의 구성 요소를 분석한 후, 활동의 과정을 구분하고, 활동 수준에 따른 위계화의 방법을 제안한다. 갈래 바꿔쓰기 활동의 과정은 초보자를 위한 시나리오 작법 이론을 참고하여 총 여섯 가지로 세분화하였으며 활동의 방식과 난이도에 따라 각각의 과정을 선택적으로 재배열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갈래 바꿔쓰기 활동의 난이도에 따라 적용을 달리함으로써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의 위계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 즉, 난이도에 따라 분류된 활동을 학년이나 학습 수준에 따라 달리 적용함으로써 학습자 입장에서 보다 체계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였다. B절에서는 갈래 바꿔쓰기 활동의 체계화를 통한 극문학 교육의 방향에 관해 논한다. 이를 위해 활동을 위한 지도 모형을 제시한 후, 갈래 바꿔쓰기 활동이 궁극적으로 추구해야할 교육의 방향을 ‘체험적 갈래 학습을 통한 문화 향유 능력의 확대’, ‘소통 중심의 활동을 통한 공감 능력의 향상’의 두 가지로 구체화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