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4 Download: 0

교사의 셀프스터디(Self-Study)를 통한 국어과 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Title
교사의 셀프스터디(Self-Study)를 통한 국어과 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veloping Teaching Professionalis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rough Self-Study Teacher Research
Authors
이윤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셀프스터디(Self- study)를 통해 국어과 수업 전문성 신장을 제안하는 것이다. 공교육 변화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요즘, 수업을 변화시키기 위해 교사의 정체성이 변해야 한다는 관점이 주목 받고 있다. 기존의 교육 개혁의 대상이자 평가의 대상으로서의 교사가 아니라, 교육 개혁의 주체이며 연구의 대상이자 주체인 교사로의 변화가 모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 연구인 셀프스터디를 활용하여, 교육자인 교사가 자기 자신과 자신의 수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교육 활동의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과정을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기존의 수업 개선에 관한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셀프스터디의 의의와 필요성을 논증하고 셀프스터디의 개념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셀프스터디 연구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사례를 분석하였다. 혁신학교의 사례를 통해 집단적 셀프스터디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연구자 개인의 수업 연구를 통해 개인적 셀프스터디 수행하여 셀프스터디가 수업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셋째, 셀프스터디를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여 국어과 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을 제안하였다. 셀프스터디의 유형을 집단적 셀프스터디와 개인적 셀프스터디로 나누어 수업 준비 과정, 수업 실행 과정, 수업 후 과정을 살펴보았다. 집단적 셀프스터디는 혁신학교인 경기도 소재의 A 중학교와 서울 소재의 B 중학교의 사례를 조사하였고, 개인적 셀프스터디는 서울 소재 일반학교인 C 중학교에 근무하는 연구자 자신의 1인칭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 전체가 배움의 공동체로 집단적 셀프스터디를 시행하는 A 중학교가 학생의 배움을 중시하는 교육 목표를 가장 효과적으로 성취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범교과 교사모임이라는 비판적 동료 공동체 통해 공동 수업 설계를 하고 있는 B 중학교는 수업 설계의 전문성이 뛰어났다. 집단적 셀프스터디를 통해 교사 학습 공동체를 가지고 있는 사례가 학습자 중심 수업을 구현하고 있었으며, 특히 A 중학교의 경우 비판적 동료 공동체를 통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재구성이 평가에 반영되어 사교육 감소의 효과도 낳았다. 개인적 셀프스터디는 본 연구자의 교육 관련 생애사를 통해 수업에 대한 관점과 인식을 드러내었고, 비판적 동료 교사와의 대화를 통해서 현장 교사로서 당면하고 있는 난관에 대한 조언을 얻을 수 있었다는 유익이 있었다. 그러나 비판적 동료와의 작업이 수업 개선을 위한 설계와 실행에 까지 이어지지 못한 점이 한계로 남는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본 교사의 셀프스터디를 통한 현장 국어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은 다음과 같다. 셀프스터디는 교사가 자신의 수업 성찰을 통해 교육적 감식안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좋은 도구이다. 그러므로 셀프스터디를 통해 교사는 교사-학생 상호작용을 강화한 역동적 수업 운영이 가능하게 되며, 학습자의 능동적 수업 참여와 국어적 사고력 신장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교사의 셀프스터디 연구는 교사, 학부모, 교원양성기관의 교수-학습 공동체 형성을 통한 다양한 협력 관계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과 교사 효능감 강화에 기여하게 된다.;This thesis aims to present Developing Teaching Professionalism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rough Self-study Teacher Research in the field. There have been calls for updates in public education, and the idea that teachers must innovate their roles in order to innovate their classes has received much attention. Many seek to change the role of a teacher from the subject of evaluation and overhaul to the agent of education innovation as well as the subject and driver of research. This thesis aims to help teachers utilize self-study to conduct research on themselves and their classes to improve their teaching skills. For this, research had been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ss. First, a critical review was conducted on existing research regarding methods of improving teaching skills. The results were used to validate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self-study and presented the idea of self-study and research methods. Second, analyses were performed on cases where self-study research methods could be implemented. Innovation school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application of Collective Self-Study Methods, and the researcher's personal research on education was used to conduct Private Self-Studies to determine how self-study can improve classes. Third, methods of utilizing self-study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field were presented. Self-study teacher research was divided into two types, Collective Self-Study and Private Self-Study, and the research observed the class preparation process, class teaching process and post-class process. For Collective Self-Study cases, A Middle School in Gyeonggi Province and B Middle School in Seoul -both of which employ Collective Self-Study- were used as case samples. For Private Self-Study cases, the researcher conducted personal research at a regular C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with which the researcher is affili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Middle School, which runs a school-wide Collective Self-Study, was found to most effectively realize its goal of prioritizing student education. B Middle School, which operates a Critical Friend Team program in which teachers of differing subjects come together for collective curriculum planning, was found to have exemplary expertise in the field. Samples that had teachers' training communities based on Collective Self-Study were found to have learner-focused classe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Middle School, textbook and curriculum updates based on peer critiques were a part of teacher evaluation, and this contributed to the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 costs. Private Self-Study based on the researcher's teaching experience revealed the researcher's perspective and ideas regarding education; they were helpful in that discussions with critical peers led to advice on how teachers in the field can overcome challenges. However, peer critiques are limited in that they were not incorporated in class preparation and teaching process to improve class qua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self-study teacher research can help train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field in the following ways. Self-study is a good tool that enables teachers to develop educational connoisseurship by reflecting on his or her own class. Therefore, a teacher can promote a enthusiastic learning atmosphere that strengthens teacher-student dynamic, and encourage learners' pro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and develop thinking ability of Korean Language. Furthermore, teachers' self-studies can help form diverse and cooperative teaching-learning communities among teachers, parents and teacher training institutes, which could contribute to enhancing teachers' expertise and boosting teacher effic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