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25 Download: 0

웨이징성의『탐색』을 중심으로 본 덩샤오핑 정부 초기의 ‘민주’의 의미

Title
웨이징성의『탐색』을 중심으로 본 덩샤오핑 정부 초기의 ‘민주’의 의미
Other Titles
从魏京生的《探索》杂志分析邓小平时代初期民主的意义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진세정
Abstract
本研究主要集中研究邓小平时代初期,自1978年至1980年“北京之春”以魏京生出版的杂志《探索》为中心探讨民主的意义。邓小平初期,以知识分子为核心发生了民主运动,而邓小平为了与文革派进行斗争而开始了民主运动。因此,民主之墙运动很容易地发展起来了,从自下的运动与自上的支持,使“民主之墙”运动迅速发展。 80年代以后,作为民主运动的出发点的民主之墙运动,是以经历过文化大革命的魏京生为中心,以出刊大字报和杂志为主要方式传播人民民主。在文化大革命期间,魏京生曾参加过红卫兵,而红卫兵运动时期的经验以及下放时期的经历,使他对毛泽东的认识发生了改变。因为大跃进政策的失败,农村经济状态非常困难,在这种情况下,仍进行对毛泽东个人的崇拜和阶级斗争运动。目睹这些情况之后,魏京生形成了西方自由主义的民主观念。 魏京生主张个人人权和平等,选举、言论、出版等自由,对反封建法西斯专制政治心存警惕,主张对社会制度改革。他所谓的民主是西方意义上的概念:尊重个人和政治上的权利。魏京生并没有否定社会主义,而是从知识分子的立场上,思考、批评政府和体体制的权威及正当性。此外,他对民主的看法与政府相反。邓小平引进社会主义民主概念是进行了改革,有别于毛泽东时代。所进行的改革包括:实行集体领导制度,加强法制建设等政治改革和实行改革开放政策,谋求经济发展。然而,邓小平所设想的民主概念是:民主集中制,坚持无产阶级专制和司法制度改革。 魏京生标榜为个人权利和平等而追求民主,而邓小平是为了国家和共产党的发展而发展民主。类似魏京生的知识分子的出现,在中国社会有几个方面的内涵:第一显示了政治改革和社会变革的可能性;第二知识分子形成了对社会的独立思考;第三在中国国内提高了追求民主自由的声音。第四知识分子开始担负起批评者的角色。知识分子内部发生了变化。经历了文革后,知识分子开始团结起来并形成了组织。为了中国社会发展,知识分子开始热烈地投身社会,并参与社会问题的讨论,为中国社会的发展进行独立思考。 在中国,关于“民主”的话题是事关维持中国体制的非常重要的问题。此研究试图分析流亡于美国,并继续被视为中国民主偶像的魏京生的观点,并对此进行了分析。但是,因为本文以大字报为分析对象,在收集资料上存在一定的困难。而且,本文仅以西单民主之墙为主题分析中国的民主运动,并没包括在中国发生的其他民主运动。为了更准确地了解魏京生所提出的民主,还需要从更广泛的范围上收集资料,并进行更为细致的分析研究。 ;본 연구는 덩샤오핑 정부 초기인 1978년부터 1980년까지 불었던 ‘베이징의 봄’을 중심으로 웨이징성이 발간했던 『탐색』이라는 잡지를 통해 논의되었던 민주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였다. 덩샤오핑 초기의 민주화운동은 지식인들에 의해 주도되었지만, 덩샤오핑 정부는 문혁세력과의 권력투쟁을 위해 이를 지지했다. 즉 당시 민주의 벽 운동은 중국 사회의 역사적 배경에 의해 아래로부터의 자생적인 세력이 운동을 주도하면서도 위로부터도 지지를 받을 수 있었다. 이후 1980년대 민주화운동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민주의 벽 운동은 문화대혁명을 겪은 웨이징성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웨이징성은 대자보와 잡지를 발행하는 방식으로 인민들에게 ‘민주’의 개념을 널리 전파하였다. 그는 문화대혁명 시기 홍위병 활동을 하며 혁명의 최전선에 있었지만, 홍위병 활동과 하방 당했던 시기 농촌에서의 경험은 마오쩌둥에 대한 그의 인식을 크게 바꾸었다. 대약진의 실패로 인해 농촌의 기근과 낙후된 현실을 봤고, 여전히 농촌에서는 마오쩌둥 개인의 대한 숭배와 계급투쟁운동이 진행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을 목격한 웨이징성은 서구 자유주의적 민주 개념을 형성하게 되었다. 웨이징성은 개인의 인권과 평등을 주장하고, 선거․언론․출판 등의 자유, 반봉건파시즘 전제정치에 대한 경계와 현존하는 사회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그가 바라본 민주란 개인의 권리가 보장되고 정치적 영향력을 존중받을 수 있는 서구식 개념이었다. 웨이징성이 사회주의 자체를 부정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정부의 입장에서는 지식인이 정부와 기존제도를 비판하는 것 자체가 그들의 권위와 정당성을 실추시킨다고 생각했다. 또한 민주에 대한 정부의 입장은 지식인층과 차이를 보였다. 덩샤오핑은 사회주의 민주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마오쩌둥 시기와는 확연히 구별되는 개혁을 진행하였다. 제한적이긴 하나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하고 법제를 강화하는 등 정치개혁을 단행하였고, 개혁개방 정책을 펼쳐 경제적인 발전을 도모하였다. 하지만 덩샤오핑이 생각하는 민주는 민주집중제와 무산계급독재 견지, 사법제도의 개혁이었다. 웨이징성이 개인의 권리와 평등 추구를 위해 민주를 표방했다면, 덩샤오핑은 민주를 국가와 공산당이 더 발전하기 위한 수단으로 간주했다. 웨이징성과 같은 지식인의 재등장은 중국 사회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첫째, 정치개혁과 사회변혁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지식인들 스스로가 자신들을 주체계급으로 인식하고 독립적인 사고로 사회의 담론을 형성하게 되었다. 과거 중국에서 지식인은 국가와 인민의 중간자 역할을 하며 수동적 성향을 띠었다. 하지만 이들은 문혁과 같은 역사적인 사건을 경험하며 적극성을 발휘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중국에서 민주와 자유를 추구하는 목소리가 강화되었다. 민주의 벽 운동을 기점으로 후에 천안문사건과 같은 민주화운동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현재에도 많은 민주화운동가들이 중국의 민주를 위해 활동하고 있는데, 그 중심에는 웨이징성이 있다. 넷째, 지식인들이 이제는 비판자로서의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과거 정부에 의해 지식인들이 주변화 되면서 지식인 내부에서도 단절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문혁을 겪으면서 지식인들은 단합하고 일정한 조직을 형성하였고 지식인 고유의 역할인 비판자로서 기능을 하기 시작했다. 지식인들이 다시 사회에 참여하고 각종 사회문제에 개입하고, 독립적 사고와 의식을 하기 시작했다는 것은 중국 사회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다. 물론 개혁개방을 하고 중국이 발전하는 속도에 비해 지식인 문제는 크게 개선되지 않았고, 지식인을 사회에 봉사하는 존재로 바라보고 창조적인 측면은 간과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중국에서 ‘민주’는 앞으로도 중국의 체제유지 측면에서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미국에서 망명생활을 하며 여전히 중국 민주화의 아이콘으로 불리고 있는 웨이징성의 활동과 사회의식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하지만 물리적으로 훼손되기 쉬운 대자보의 내용을 분석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문헌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에 어려움이 많았다. 또 시단 ‘민주의 벽’을 중심으로 한 민주화운동을 분석했기 때문에 중국의 다른 지역에서 진행되었던 민주화운동을 포괄하지 못하였다. 웨이징성의 민주에 대한 인식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준에서 광범위한 자료 수집을 통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