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0 Download: 0

트랜스이주시대의 뉴욕 한인 타운의 재구성과 민족간 관계 연구

Title
트랜스이주시대의 뉴욕 한인 타운의 재구성과 민족간 관계 연구
Other Titles
Socio-spatial Reconstruction and Ethnic Relationship of Korea Towns in New York
Authors
신지연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민
Abstract
본 연구는 글로벌화에 의해 변화해 나가는 이주의 성격과 이주자 공간을 이해하기 위해 미국 뉴욕 주 뉴욕 시, 그리고 뉴저지 주 버겐 카운티 일대의 한인 타운을 중심으로 이주자 공간의 사회공간적 재구성, 그리고 이주자 공간에서의 민족간 상호작용의 양상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 이주자를 시대적 배경, 성격 등에 따라 올드커머와 뉴커머로 분류하고 글로벌화에 따라 나타나는 뉴커머 트랜스이주자의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한인 올드커머와 뉴커머가 각각 뉴욕 지역에서 보이는 이주와 정착 양상을 통해 트랜스국가적 연결성과 네트워크를 알아본다. 셋째, 한인 이주의 과정이자 결과물로 나타나는 세 곳의 한인 타운의 로컬리티를 살펴본다. 넷째, 한인 타운을 기반으로 한 여러 민족과의 상호작용이 가져오는 혼성적 경관과 네트워크를 파악한다. 한인 이주의 배경과 과정, 이주자의 특성, 이주자 공간의 역사적 변천 등을 파악하기 위해 학위 논문, 학술지 논문 등의 연구 자료를 살펴보았고 미연방 센서스국을 비롯한 각종 기관의 통계 자료를 보조적으로 활용하였다. 이와 함께 2012년부터 연구 지역에서 두 차례의 현지 조사를 하며 한인 타운 거주자, 상인, 이용객 등 총 42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미국과 한국에서 발간된 각종 신문 기사, 잡지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 지역을 둘러싼 담론에 대한 분석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본 연구의 결과는 이하와 같다. 첫째, 1990년대 이후 한인 유학생, 현지 취업자, 노동자 등 뉴커머의 미국 이주는 쌍방향 혹은 다방향적 이동, 기원지와의 높은 연결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이주의 성격을 지녀 영구적 이민을 행하던 기존의 올드커머 이주자와 구분될 수 있다. 둘째, 한인 올드커머와 뉴커머는 뉴욕에서의 이주 동기와 경로, 정착 과정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올드커머의 경우 뉴욕 시 플러싱의 이주자 엔클레이브(ethnic enclave)에서 적응 과정을 거친 후 교외 지역, 혹은 뉴욕 각지로 빠져 나가는 반면 뉴커머의 경우 직업적 필요, 인적 네트워크의 종류 등에 따라 이주자 엔클레이브를 거치지 않고 뉴욕 시와 뉴저지 주 각지로 바로 이주한다. 또한 이주 이후 긴밀히 형성되는 한인 네트워크, 현대 사회에서의 IT 기술의 발전 등은 세 곳의 한인 타운간에 다층적인 연계가 이루어지게 하며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한인 이주자 공간을 만들어 나가게 한다. 셋째, 뉴욕 시와 뉴저지 주에 형성된 세 곳의 한인 타운은 형성 시기, 형성 주체, 주변 민족과의 관계 등에 따라 다양한 경관과 장소성을 지닌다. 플러싱 한인 타운은 올드커머로 구성된 이주자 엔클레이브를, 팰리세이드 파크 한인 타운은 뉴커머와 올드커머가 혼합된 민족교외지(ethnoburb)를 형성하고 있다. 맨하탄 K-town은 올드커머에 의해 형성되었지만 뉴커머와 현지인들이 폭넓게 이용하여 트랜스국가적 활동이 나타나는 지역이다. 넷째, 다문화사회로의 진전과 트랜스이주의 증가는 주류 사회, 조선족, 중국인, 인도인, 히스패닉 등 다양한 인종과 한인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며, 한인 타운은 혼성적 경관과 네트워크가 나타나게 하는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인 이주자의 수나 규모에 비해서 국내에서는 연구가 비교적 이루어 지지 않은 편이었던 뉴욕의 한인 타운에 주목하여 세계 도시에서의 이주자 공간의 형성과 분화, 그리고 공간 변화의 역동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의 이주자 연구에 대해 행해지던 국민국가 중심의 평면적인 관점을 극복하는 동시에 향후의 지속적인 이주자 공간 연구에 대한 기초 작업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다문화화 되어가는 사회에서 나타나는 이주자 공간의 다양성과 혼성성을 지적한 본 연구는 국내의 이주자 관련 정책의 효과를 높이는 데에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사회 공간 관련 논의를 확장시키기 위한 촉매제 역할 또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is study on the social reconstruction of migrant space and ethnic interaction within the migrant space in Korea towns of New York, NY and Bergen County, NJ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migration and migrant space shifting through globalizatio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1) the traits of newcomer trans-migrants shifting through globalization by categorizing Korean migrants in the USA into old comers and new comers based on their historical background and nature of migration 2) the transnational connection and network of each Korean old comers group and new comers group established in the New York area by researching the patterns of migration and establishment 3) the locality of three Korea towns progressed and resulted from Korean migration and 4) the hybrid landscape and network of Korea towns brought by interaction with other ethnic groups. In order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progress of Korean migration, traits of migrants and historical changes of migrant space, research materials including MA thesises and academic journals were primarily used and statistics from the US Census Bureau were used as supportive material. During the two on-location researches from 2012, in-depth interviews with residents, merchants and customers of Korea town in total of 42 people were conducted. In addition, analysis of the subject area of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utilizing various media including news and magazine articles published in the US and Korea. Through the above, this research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new comer migrants since 1990s including Korean students, workers and laborer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old comer migrants of permanent migration due to their transmigration traits shown in their bidirectional or multidirectional migration and high connectivity to their original grounds. Second, Korean old comers and new comers show distinctive differences in their migration route, motivation and progress of establishment. Most old comers went through an assimilation process in the ethnic enclave of Flushing in New York City before dispersing into the outskirt or various areas of New York. However, migrants from rather a richer class, recent migrants by family invitation and especially young and middle-aged group of migrants seemed to establish themselves right into various areas of New York and New Jersey without going through the ethnic enclave in Flushing due to job requirements and personal network. Thus, a unique form of community such as ethnoburb created by the newcomers can be found in the Palisades Park area in Bergen County, NJ. Third, Three Korea towns formed in New York City and New Jersey differ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landscape and migrant space depending on the time and center of formation, and also the relation with other local ethnic groups. Korea Town in Flushing is a form of an ethnic enclave whereas Korea Town in Palisades Park is a form of ethnoburb in mixture of new comers and old comers. Korea Town in Manhattan was created by the old comers, but shows signs of transnational activities through interaction with newcomers and local residents. Fourth, Progress into multicultural society facilitated transmigration even further and Korea towns have transformed their spaces into hybrid landscape with multicultural network due to interaction with the mainstream society, Korean-Chinese migrants and other ethnic groups including Chinese, Indians, Hispanics, etc. Fifth, Through generations, Korean network has become closer through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that helped establish multidirectional connections among the three Korea towns within their complex yet comprehensive migrant space. This study focuses on Korea towns in New York where not enough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despite their substantial size and number of Korean migrants and confirmed the reconstruction and differentiation of migrant space in a globalized city and dynamics of progress in such migrant spa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overcoming the narrow perspective of previous migration researches based on homogeneity and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continuous study on migrant space. Moreover, as this study suggests the diversity and hybridity of migrant space in today’s multicultural society, its results can be utilized in improvement of domestic migrant policies and related matters and play the role of stimulant in further expanding the discussion of multicultural social space in Korea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