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2 Download: 0

학습자 중심의 의식상승 과업이 중학생의 영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습자 중심의 의식상승 과업이 중학생의 영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tudent-centered consciousness-raising task on English grammar learning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서정숙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현재 시행되고 있는 개정 7차 교육과정은 영어 학습자들이 과업 중심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구안하고 학습자 중심의 영어 수업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영어교육 교재들을 조사한 연구(Nitta & Gardner, 2005)에 의하면, 의식상승 과업(Consciousness Raising Task)과 연습(practice)이 적절하게 안배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중학교 교과서들은 의식상승 과업을 채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영어 문법수업은 연습이 포함된 교사설명 중심의 수업으로 획일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여러 학자들(Bourke, 1996; Bruner, 1986; Craik & Lockhart, 1972; Ellis, 2003; Gollin, 1998; Willis & Willis, 1996)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의식상승 과업은 학습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정의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영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의 의식상승 과업이 우리나라 중학생들에게 교사설명 중심 문법수업의 한 가지 대안으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동안 교사설명 중심 문법수업과 학습자 중심의 의식상승 과업을 비교한 선행연구들(Fotos, 1994; Fotos & Ellis, 1991; Lee, 2001; Mohamed, 2001; Sheen, 1992)에서 다루어진 목표 문법은 간접 목적어의 위치, 부사의 위치 및 관계 대명사 용법 등이다.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대체로 학습자 중심의 의식상승 과업이 교사 중심 문법수업만큼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한국의 영어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또 다른 문법 구조를 학습하는 데에도 의식상승 과업이 효과적인 방법인지 검증할 필요도 있다. 이에 현재분사, 과거분사 및 동명사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한국의 중학교, 고등학교 및 대학교 영어 학습자들이 현재분사와 과거분사의 기능을 구분하는 문제와 현재분사와 동명사의 기능을 구분하는 문제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밝혀졌다(황도영, 1986; 권용주, 1993; 손해정, 2003; 이윤선, 2011; 최연정, 2012).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문법 구조들에 대한 효과적인 학습방안을 검증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의식상승 과업이 교사설명 중심 문법수업의 대안이 될 가능성을 조사한 선행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그 결과가 부분적으로 상충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을 단기 학습 효과 면에서 살펴보면 대체로 의식상승 과업이 교사설명 중심 문법수업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의 실험 대상자들은 모두 대학생들이었기 때문에 아직까지 우리나라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의식상승 과업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거의 없고 장기 학습 효과 및 문법수업 방법에 따른 정의적 측면 변화를 조사한 연구도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분사, 과거분사 및 동명사를 목표 문법으로 정하고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두 가지 서로 다른 문법수업 방법과 학습자 수준에 따른 단기 및 장기 학습 효과와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여 학습자 중심의 의식상승 과업이 우리나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교사설명 중심 문법수업의 한 가지 대안으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한 남자 중학교의 두 학급을 대상으로 교사설명 중심의 문법수업과 학습자 중심의 의식상승 과업 및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교사설명 집단은 ‘자료 제시 ⇨ 추론 유도 ⇨ 명시적 설명 ⇨ 연습 ’으로 진행되는 교사 주도의 문법수업을 받았다. 반면, 의식상승 문법과업 집단은 ‘자료 제시 ⇨ 의미 파악 ⇨ 분석 ⇨ 동료 피드백 ⇨ 규칙 발견’으로 진행되는 학습자 중심의 문법과업을 통한 수업을 받았다. 실험기간은 총 약 9주이고 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s version 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이원분산분석, 독립표본 t-검정 및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요약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기학습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의식상승 과업은 교사 중심의 문법수업과 마찬가지로 유의한 학습 효과가 있었지만, 두 문법수업 방법 사이에는 유의한 평균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Fotos, 1994; Fotos & Ellis, 1991)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또한 학습자 수준에 따른 단기학습 효과를 검증한 결과에 있어서도 두 문법수업 방법 간에 유의한 평균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장기학습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의식상승 과업이 교사설명 중심 문법수업보다 유의하게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가 교사 주도의 문법수업을 받는 것 보다는 스스로 규칙을 추론하고 발견한 것을 더 잘 기억하게 된다고 주장한 선행연구들(Bourke, 1996; Bruner, 1986; Gollin, 1998)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학습자 수준에 따른 장기 학습 효과를 검증한 결과, 상위집단 간에는 유의한 평균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하위집단의 경우에는 의식상승 과업 집단이 유의하게 더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셋째, 문법수업 방법에 따른 정의적 측면 변화 설문 결과, 교사설명 중심 문법수업 집단의 평균이 거의 증가하지 않은 반면, 의식상승 과업 집단의 평균은 현저하게 상승하였다. 특히, 영어 및 문법 학습에 대한 흥미도에 있어서는 의식상승 과업 집단의 평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Ellis(200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또한 학습자 수준에 따른 정의적 측면 변화에 있어서는 의식상승 과업을 통하여 문법수업을 받은 하위집단의 평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의식상승 과업에 대한 정의적 반응 측정을 위한 추가 사후 설문 결과, 학습자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특히 목표 문법 효용도에 대한 긍정 비율은 75퍼센트 이상을 차지하여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개방형 추가 심화 사후 설문과 사후 면담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 대부분이 의식상승 과업에 참여하는 방식이 재미있고 이해하기 더 쉬우며 지루하지 않았다는 긍정적인 의견을 개진하였지만 활동시간이 소란스럽고 시간이 부족하였다는 불만도 토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우리나라 중학교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문법수업을 실시할 때 다음과 같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장기 학습 효과에 따른 연구 결과는 학습자가 문법 규칙 학습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인 의식상승 과업이 교사 주도의 설명 방식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의식상승 과업은 장기 학습 효과가 더 높지만 교사설명 중심의 문법수업에 비해 시간이 더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학습 난이도가 비교적 쉬운 목표 문법은 교사설명 중심의 문법수업으로 진행하고 학습 난이도가 비교적 어려운 목표 문법은 학습자 중심의 의식상승 과업을 적용하는 등, 목표 문법의 학습 난이도에 따라 문법수업 방식을 적절하게 선택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다른 수준별 집단이나 다른 성별 집단에서도 동일하게 도출되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의식상승 과업을 실제 수업에 도입할 때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반응을 연구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The Effects of Student-Centered Consciousness-Raising Task on English Grammar Learning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e 2007 revis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foreign languages recommends student-centered and task-centered English learning. According to Nitta and Gardner(2005), it is important to properly employ Consciousness Raising Task(C-R Task) and practice in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or ESL(English as a second language) classrooms. However, most Korean English textbooks for 9th grade students do not adopt C-R Tasks and most of the students are learning English grammar through the teacher-centered grammar instruction including practice phase. Examining earlier studies regarding C-R Tasks(Fotos, 1994; Fotos & Ellis, 1991; Lee, 2002; Mohamed, 2001; Sheen, 1992), I came to expect that the grammar instruction with the student-centered C-R Task could affect positively on not only grammar learning but also affective aspects of English leaners. Thus, the grammar instruction with the student-centered C-R Task should be proved to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the teacher-centered grammar instruction for Korea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which compared the effects of the teacher-centered grammar instruction with those of the student-centered C-R Task addressed dative alternation, adverb placement and relative clause usage as target linguistic structur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other target linguistic structure which causes Korean students to experience confusion and difficulties. After studying earlier researches concerning present participle, past participle and gerund, I found that most Korean students had trouble in distinguishing present participle from past participle as well as telling present participle from gerund.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what kind of grammar instruction is effective for learning the linguistic structure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explore effective learning methods for them. Meanwhile, although the previous studies comparing the two methods of grammar instruction have offered partly conflicting results, most of them conclude that the student-centered C-R Task could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the teacher-centered grammar instruction. However, all the participants of the studies were college students and little research has been explored with junior high school students. Furthermore, it is vital to examine learners' affective aspects as well as long term retention of the student-centered C-R Task. To sum up,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grammar instruction with the student-centered C-R Task on English grammar learning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e target linguistic structures were present participle, past participle and gerund, which most Korean students have difficulty in learning. For the aim, two junior high school classes consisting of 68 male students in Seoul were chosen. They were allocated to different conditions. One group of the participants took the teacher-centered grammar instruction which included inference, explicit explanation, and exercise. The other group of the participants took the grammar instruction with the student-centered C-R Task which included decoding sentence meaning, analysis, peer-feedback and rule discovery. The experiment was implemented for about 9 week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al software(version 20).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with two-way ANOVA,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matched pair t-tes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group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 test to post test.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result supports the findings of Fotos(1994) and Fotos and Ellis(1991). Second, the students with the student-centered C-R Task worked better for their long term retention than those with the teacher-centered grammar instruction. For the low level students, in particular, the student-centered C-R Task worked better for their long term retention than the teacher-centered grammar instruction. The result underpins the findings of Bourke(1996), Bruner(1986) and Gollin(1998). Third, the student-centered C-R Task influenced the learners more positively in terms of the learners' affective factors toward English and English grammar learning. The result substantiates the claim of Ellis(2003). Lastly, most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 student-centered C-R Task was an effective grammar learning method for present participle, past participle and gerund.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two male-student classes of a junior high school in Seoul, the sample size is very small. Thus, the results of the study might not be generalized to all the 9th grade students. Second, since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participants made up of male students and the mixed proficiency levels, the results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different groupings of gender or proficiency level. Lastly, the experiment may not have been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and the lesson plan of the researcher. Although this study has the above-mentioned limitations, it offer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First, the result of the long term retention suggests that the student-centered C-R Task is more effective than the teacher-centered grammar instruction. Second, the student-centered C-R Task takes more time than the teacher-centered grammar instruction. Consequently, it would be appropriate to teach easier linguistic structures through the teacher-centered grammar instruction and to teach more difficult linguistic structures through the student-centered C-R Task. Finally,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f the same results can be produc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Also, English teachers' response to the teaching method should be investigated o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implementing the student-centered C-R Task in their classroo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