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03 Download: 0

교수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이 초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이러닝 영어 학습 프로그램 만족도와 영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교수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이 초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이러닝 영어 학습 프로그램 만족도와 영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Social Presence on th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E-Learning Programs
Authors
조지영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상근
Abstract
컴퓨터와 인터넷이 상용화되고 정보통신 기술이 교육현장에 적용되면서 최근 이러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 결과 영어 교육과 관련된 학습 사이트가 많이 생겨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닝의 양적성장의 이면에는 학습의 몰입이 어렵고 학습자가 중도 탈락하는 등 이러닝의 실제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이러닝에서는 학습자가 경험하게 되는 학습과정의 질을 향상시켜야한다는 의견과 함께, 학습 경험을 설명하는 주요변인인 실재감에 관한 연구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주영주, 하영자, 유지원, 김은경, 2010). 실재감은 가상공간에서의 경험을 설명하고자 시작된 이론이며(신나민, 2005; Garrison, 2007; Wang, Kang, 2006), 학습자가 학습하는 과정에서 스스로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교수학습과정에서 실재감이 낮은 학생들은 학습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 않을 확률이 높으며 중도에 학습을 포기하거나, 학습을 완료하였다 하더라도 성공적인 학습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Garrison, Arbaugh, 2007; Picciano, 2002; Wang, Kang, 2005). 그러나 반대로 학습자의 실재감 수준이 향상되면 학습자는 자신이 학습하는 내용이나 상황에 대해 의미 있는 학습을 하게 되고, 더 나아가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창출 할 수 있게 된다는 연구도 있다(김지심, 2008).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실재감이 초등학생의 이러닝 영어 학습 프로그램 만족도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경험의 질을 높이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M사이트에서 이러닝 영어 학습프로그램을 수강하는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3주간 웹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재감과 만족도 측정도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선정한 후, 우리말로 번역하여 초등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적합하도록 문항수와 내용을 수정하였으며 구인타당도와 신뢰도를 저해하는 문항은 없는지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사용한 측정도구는 교수 실재감 6문항, 인지적 실재감 6문항, 사회적 실재감 10문항, 만족도 8문항으로 총 30문항이며 사용된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다음과 같다. 교수 실재감의 신뢰도는 계수는 .939이며 인지적 실재감의 신뢰도 계수는 .935, 사회적 실재감의 신뢰도 계수는 .974, 만족도의 신뢰도 계수는 .976으로 모든 측정도구는 양호한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자료 분석은 설문에 응답하고 총괄평가를 치룬 178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방법을 이용한 이유는 측정의 오류를 통제하여 잠재 요인간 인과관계를 보다 정확히 규명할 수 있고, 매개변인 효과를 보다 쉽게 검증 할 수 있으며, 총체적인 이론 모형을 통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구조방정식의 기본과정이 충족 되었는가와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초 통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기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측정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기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실재감과 학습 성과간의 직접효과를 검증한 후 영어 학습 경험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에서 교수 실재감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영주 외(2010), Garrison 과 Cleveland-Innes(2005), Wu 와 Hiltz(2004)의 연구와 맥을 같이한다. 이것은 교수를 설계 및 조직화 측면과 함께 학습촉진이라는 교수현상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인 교수실재감이 높을수록 학습자가 교육과정 전반에 대해 만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이러닝에서 인지적 실재감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여주지 못했는데 이것은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 Martinez(2003)는 추상적, 총체적으로 사고하는 학습자일수록 만족도 수준이 높음을 제안하여 인지적 실재감과 만족도의 관계를 시사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고등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기 때문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와 비교했을 때 학습자 특성의 차이로 인해 결과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셋째, 이러닝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만족도 및 학업 성취도와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보여주지 못했다. 그러나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일관된 결과 보고가 있으며 성취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가 있었다. 이러한 상반된 연구 결과는 본 연구가 이루어진 M사이트의 학습 환경에서 기인한 것으로 예상된다. M사이트에서 이루어진 2학기 영어 내신 진도강좌는 선행연구와 같이 학습자간 활발한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진행된 것이 아니라 개별학습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선행연구와 다른 연구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예측된다. 넷째, 교수 실재감은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예측을 하지 못했는데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교수 실재감과 성취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들은 두 변수 사이에 상관관계나 예측관계가 있음을 설명하였을 뿐 인과관계를 증명하지 못했기 때문에 본 연구와 선행연구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인지적 실재감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보여주어 만족도와 함께 학업성취도가 학습결과를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임을 밝힌 강명희(2005)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이러닝을 통한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경험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교수 실재감이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므로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 실재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닝에서는 학습자의 수준이 다양하므로 여러 수준의 콘텐츠를 제시해주고 맛보기 강좌를 통해 학습자의 선택에 맡기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에서 초급영어 실력의 학습자들은 모든 내용을 다 공부해야한다는 강박관념과 이해하지 못한 내용에 대한 불안감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교수자는 강좌소개를 통해 학습자가 학습내용을 효과적으로 구조화 할 수 있도록 명확한 학습목표와 과정운영방식을 제시해야하며 심화학습 부분에 대한 섬세한 설계를 통해 학습자들의 불안감을 낮춰 주어야한다. 또한 교수-학습 내용 설계에 있어서 언어 난이도를 우선시하기 보다는 과제의 난이도를 조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과제의 복잡성을 조절하여 학생들의 어려움을 조절해나간다면 언어의 난이도에 대하여 느끼는 어려움이 예상보다 훨씬 덜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수자는 녹음이나 촬영장비, 촬영단계 및 절차, 저작권문제, 촬영기술 등에 관한 기본지식을 익혀 정확하고 명료한 방식으로 목표어와 학습내용을 전달하도록 노력해야하며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전달매체 선정으로 교수설계와 조직화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인지적 실재감이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으므로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인식하는 인지적 실재감을 향상시키는 이러닝의 설계 및 운영 전략이 요구된다. 교수자는 학습자가 배우고 싶었던 내용을 잘 학습할 수 있도록 자세한 설명과 예시가 들어간 강의안을 준비해 수업 내용의 체계를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한다. 영어는 다른 과목과 달리 언어가 가진 특성 상 단순한 시험이나 단답형 시험만으로 배운 내용의 체계 확립을 단정 지을 수 없으므로 교수자는 다양한 평가 방식을 혼용해 이해기능과 산출 기능 모두를 적절히 평가하고, 학습자가 모르는 부분이나 부족한 부분을 잘 보완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학습자들의 학습관리 능력 향상을 위해 학습자들에게 학습 일지(learning-log) 기록 방법을 설명해주는 것이 좋다. 학습일지를 작성하게 되면 영어 학습 방법 및 학습발달 상황(learning progress)에 대한 자기 성찰의 기회를 갖을 수 있고 학습자의 상위인지(metacognition) 능력이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이 만족도 및 성취도와 모두 유의미한 인과 관계를 보여주지 못했지만, 학습자가 면대면 학습상황에 비해 학습도중 낙오되거나 인지적으로 고립될 가능성이 큰 이러닝 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의 인식을 높여주는 것은 학습자가 경험하는 학습 과정의 질을 높일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게시판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정기적인 오프라인 모임을 만들어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촉진되도록 도와야한다.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할수록 영어 학습에 영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닝의 경우 대부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곳이 게시판이므로 문자만 입력되는 단순한 게시판보다는 학습자들의 음성이나 각자의 모습을 볼 수 있는 동영상 게시판을 만들어 친밀감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추후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보다 다양하게 하고, 공교육 현장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갖는지에 대해 연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습자의 특성과 영어 능력 성취도 수준에 따라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므로 학습자 동기를 비롯한 다양한 학습자 특성, 그리고 영어 학습의 개인차를 고려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As the use of computers and the Internet have become more popular, and as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come increasingly utilized in education, interest in use of the Internet in English education is rising. As a result, many English e-learning web sites have been created. However, despite e-learning's quantitative growth, its actual effectiveness has come into question as many students find it difficult to concentrate on the material, while some give up in the middle of a course. Under these circumstances, voices are growing to demand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he e-learning courses that students experience, with more attention being paid to "presence," a major factor that can explain the learning experience (Young-ju Joo, Young-ja Ha, Ji-won Yoo, Eun-kyung Kim, 2010). "Presence" refers to the perception that a student actually exists inside the learning course, and a theory of presence was introduced to demonstrate the learning experience in cyber space (Na-min Shin, 2005; Garrison, 2007; Wang & Kang, 2006). According to research (Garrison & Arbaugh, 2007; Picciano, 2002; Wang & Kang, 2005), when a student has lower presence dur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t is more likely that he will not participate in the study more actively, that he will give up in the middle of the course, or that he will not achieve a successful learning outcome. On the other hand, when a student has higher presence, the student achieves more significant learning outcomes from what he has studied and from the circumstances with which he is involved. This can lead to positive learning outcomes, as research shows (Ji-sim Kim, 2008).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aimed at proving the influence of presence on th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e-learning programs and thereby improve the quality of the English learn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a web survey was conducted for three weeks on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who take English e-learning courses on the website of M company. The assessment tools for presence and satisfaction were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ey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the number of questions and questionnaires was attuned to fit the level of online class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statistical methods were employed to analyze whether there were any questions that damag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178cases. For the structural model fit, the recommended indexes showed that the model provided a resonable fit to data. After verifying the hypotheses stated abov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eaching presence has a significant and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in e-learning. This result is in line with the research of Wu and Hiltz (2004), Garrison and Cleveland-Innes (2005) and Young-joo Joo (2010). That is, when students have higher teaching presence as well as well- established teaching design and organization, students can enjoy more satisfaction with the e-learning course. Second, cognitive presence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satisfaction in e-learning. This does not match the results from the literature review. Martinez (2003) impli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presence and satisfaction, proving that satisfaction is higher when students think in a more general and abstract way.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most of the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on students in higher level education while this study wa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is wh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not consistent with the literature review. Third, in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social presenc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learning. However the literature review consistently showed that social presence has significant effects on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se conflicting research results can be attributed to the learning environment of the website of M company whe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Specifically, English lectures for the second-semester school academic course on the M website were not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but were based on individual studies. Fourth, teaching presence did not show significant predic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Literature reviews tha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only proved a correlation or expected relation, rather than a causal relation.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the literature review do not accord with each other. Fifth, cognitive presence has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academic research. This is in line with the research of Myung-hee Kang (2005), who revealed that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major factors that predict the results of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rawn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English e-learning experience. First, as it was proved that teaching presence has significant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ing satisfaction,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teaching presence that students can perceive. As the academic level of students varies in e-learning, various levels of content should be provided, and sample lectures should be in place so that students can choose lectures depending on their levels. Students at the beginner level, in particular, can suffer from the perception that they should study all of the content and can develop anxiety about content that they do not understand. Lecturers should thus suggest a clear academic goal and curriculum in the introduction to help students effectively organize learning content while designing the advanced learning part in detail to reduce the anxiety of students. Furthermore, in designing teaching-learning content, it is desirable to adjust the difficulty level of assignments rather than adjusting the level of difficulty in language. When difficulty is controlled by adjusting complexity in assignments, students feel that they face fewer difficulties in language than expected. Furthermore, lecturers should try to precisely and clearly deliver target language and learning content by acquiring basic knowledge about recording, recording equipment, the recording process, copyright issues and camera techniques, and should devote their best efforts toward planning and organizing lectures by choosing the proper medium in line with the attributes of the students. Second, as this research proved that cognitive presence has significant effects on achievement, it indicates that a design and operation strategy for e-learning is needed that can improve cognitive presence which students perceive in the learning process. Accordingly, a lecturer should provide actual situations as an example for students to help them link newly acquired linguistic knowledge and the knowledge they already have so that they can systemize it in various situations. Third, although this research did not reveal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presence and satisfaction and sense of achievement, higher social presence is nonetheless very important in e-learning.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it is easier for students to fall behind or be isolated cognitively than in a 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Higher social presence can raise the quality of the learning course that students experience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Accordingly, a lecturer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make use of online bulletin boards and to participate in regular off-line meetings in order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The more active the interaction between a lecturer and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and students is, the more effective students' English learning is. As bulletin boards are the place where most of the interaction occurs in e-learn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familiarity between a lecturer and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by creating voice service boards or video clip bulletin boards. Last but not least, future research should employ broader subjects and examine whether the same results are drawn in the public education field. In addition, as it is presumed that the presence the student perceives will vary depending on each student’s attributes, including their English competence and achievement level,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various features of students, including motivation for learning, and personal differences in English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