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6 Download: 0

선호 과제 포함 자기계획 활동스케줄이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과 과제 완수율에 미치는 영향

Title
선호 과제 포함 자기계획 활동스케줄이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과 과제 완수율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elf-scheduling activity schedule including prefer task on On-task behaviors and Task completion of the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uthors
홍경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The preval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ASD) has dramatically increased globally. The high prevalence is also reported in the studies conducted in Korea. Such increasing phenomenon of the prevalence of ASD suggests to us that it should not be overlooked anymore, so it is required to be concerned with the unique need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 intervention that considers their special features. There are many cases of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 be visual learner and processor, and they have problems with conducting and completing tasks because of the lack of attention and motivation. In addition, it gets them in trouble with conducting task independently, because of th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emporal sequential as well as planning, inhibiting, organizing some tasks. This study tries to reflect such uniqu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intervention. Activity schedule is the intervention which offers visual cue to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activities in order, which is one of the strategies that correspon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ata processing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 applying it, prefer task of students can be included in task list which consists activity schedule in order to make motivation for the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 method to make their own choice and schedule for their tasks and conducting order so as to help them understand the concept of temporal sequential and organize and schedule the task independently as well as to help them increase motivation to learn can be utilized together. Accordingly,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conducting the self-scheduling activity schedule intervention including prefer task for students with ASD effects on-task behavior and task completion in individual class of student with ASD. For the purpose above,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intervention effect during individual task performance by using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argeting three students with ASD who are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rough pre-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understanding level of visual representation for each student as well as the type and the amount of task which the student can perform independently and their prefer task is collected. Based on it, the individual task list and framework guideline of task activity sheet is developed, and the task activity sheet is reconfigured accordingly.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instructing self-scheduling activity strategy including prefer task, the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re allowed to choose their hoped-for task and task activity order to make them plan their own activity schedule. For data collection of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period, the on-task behaviors of target students are measured by using partial-interval recording. The rate of task completion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scoring criteria based on the observation and their task completion performance sheet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intervention effect is maintained, maintenance is measured after 4 weeks of intervention termination. The following findings are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Firstly, all of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improve their on-task behaviors through self-scheduling activity schedule intervention including prefer task. Secondly, all of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maintain their improved on-task behaviors through self-scheduling activity schedule intervention including prefer task after the termination of intervention. Thirdly, all of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improve their rates of task completion through self-scheduling activity schedule intervention including prefer task. Fourthly, all of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maintain their improved rates of task completion through self-scheduling activity schedule intervention including prefer task after intervention termination. Taken together the findings of the study above, self-scheduling activity schedule strategy including prefer task has positive effect on the on-task behaviors and the rate of task completion when applied to students with ASD, and the effect can be maintain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activity schedule since it includes tasks reflecting students' preference degree in task list and provides the opportunity to choose their hoped-for activity and activity order so allow the students to plan their own activity schedule. Self-scheduling activity schedule strategy including prefer task which is also identified as efficient for the students to conduct and complete the task has possibility to be utilized usefully when the teachers need it in inclusion setting afterward.;최근 자폐 범주성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의 출현율은 세계적으로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한국에서 이루어진 출현율 연구에서도 높은 출현율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출현율 증가 현상은 우리가 더 이상 이를 간과해서는 안되며,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이 가지는 독특한 요구와 그들의 독특한 특성을 고려한 중재에 대해 다시 한 번 더 주목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많은 사람은 시각적 학습자 및 정보처리자인 경우가 많으며, 주의 집중과 동기 부족으로 인해 과제를 수행하고 완수하는 것에서 어려움을 보인다. 또한 이들은 시간 연속적 개념 이해와 어떤 일을 계획하고, 억제하고, 조직화하는 것에 있어서의 어려움으로 인해 독립적 과제 수행을 방해받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이 가지는 이러한 독특한 특성을 고려하여 이를 중재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활동 스케줄은 시각적 단서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순서에 따라 활동에 참여하도록 한 중재법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정보 처리 특성에 부합되어지는 전략 중 하나이다. 이를 적용할 때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동기 유발을 위해 활동 스케줄을 구성하는 과제 목록에 학생이 선호하는 과제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동기 증진과 더불어 이들이 시간 연속적 개념을 이해하고 구조화 및 계획하여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돕기 위해 과제와 수행 순서를 학생이 스스로 선택하여 계획하도록 하는 방법을 함께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연령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들에게 선호 과제 포함 자기계획 활동스케줄 중재를 실행하는 것이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 및 과제 완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개별 과제 수행 활동 시간에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전 관찰 및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각 대상학생의 시각적 표상 이해 수준과 학생이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과제의 종류와 양, 선호하는 과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개별 과제 목록과 과제 활동지 구성 지침을 개발한 후, 그에 따라 과제 활동지를 재구성하였으며, 선호 과제 포함 자기계획 활동스케줄 전략을 교수하는 중재 시기에서는 하고 싶은 과제 및 과제 활동 순서를 학생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이 활동 스케줄을 스스로 계획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초선, 중재, 유지 시기의 자료 수집을 위해, 대상학생의 과제 수행 행동은 부분 간격 기록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과제 완수율은 관찰 및 그들이 수행한 과제 완수지를 바탕으로 채점기준에 따라 측정되었다. 중재 효과가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중재가 종료된 4주 후에는 유지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초등학생 모두 선호 과제 포함 자기계획 활동스케줄 중재를 통해 과제 수행 행동이 증진되었다. 둘째,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초등학생 모두 선호 과제 포함 자기계획 활동스케줄 중재를 통해 증진된 과제 수행 행동이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셋째,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초등학생 모두 선호 과제 포함 자기계획 활동스케줄 중재를 통해 과제 완수율이 증진되었다. 넷째, 세 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 초등학생 모두 선호 과제 포함 자기계획 활동스케줄 중재를 통해 증진된 과제 완수율이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선호 과제 포함 자기계획 활동스케줄 전략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들에게 적용하였을 때, 과제 수행 행동과 과제 완수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그 효과를 유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과제 목록에 학생의 선호도를 반영한 과제를 포함시키고, 학생에게 하고 싶은 활동 및 활동 순서를 선택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스스로 활동 스케줄을 계획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활동 스케줄과 차별화 되었다. 또한 학생이 독립적으로 과제를 수행하고 완수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된 선호 과제 포함 자기계획 활동스케줄 전략은 추후 통합 수업 상황에서 교사들이 필요로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