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8 Download: 0

조선시기 역학서 분석을 통한 中古 知莊章系 성모의 통시적 연구

Title
조선시기 역학서 분석을 통한 中古 知莊章系 성모의 통시적 연구
Other Titles
通過朝鮮時期譯學書分析中古知莊章系聲母的通時的研究
Authors
엄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재돈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 시기 역학서에 반영된 中古 知莊章系 성모의 음운 변화 양상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 각 시기를 대표하는 『四聲通解』, 『飜譯老乞大』, 『飜譯朴通事』, 『老乞大諺解』, 『朴通事諺解』, 『朴通事新釋諺解』, 『華音啓蒙諺解』는 14세기 이후 중국 자료의 한계성으로 인하여 충분히 진행되지 못했던 漢語 음운 연구의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다. 특히 表音文字인 한글을 사용한 표기 체계는 表意文字인 漢字가 가지고 있는 한계성을 보완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당시 漢語 음운 실현 양상을 살펴봄에 있어서 조선의 역음 자료가 가지는 의미는 상당하다고 할 수 있다. 제 2장에서는 각 시기별 역학서에 반영되어 있는 성모 체계를 中古 36字母에 의거하여 漢語의 음운 체계와 비교 고찰해 보았다. 제 3장에서는 역학서 內 한글 초성자 /ㅈ/, /ㅊ/, /ㅅ/ 계열로 표기 되어 있는 字들을 모아 中古 字母별로 분류하여 等과 攝에 따라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知系, 莊系, 章系로 나누어 각 계열에 속하는 字들의 표기상 특징과 차이점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앞선 분석들을 한데 종합하여 통시적으로 고찰해봄으로써 15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조선 역학서에 반영된 中古 知莊章系 성모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知系와 章系의 경우 이미 漢語에서 捲舌音化 되어 완정된 체계를 갖추고 있었음에도 莊系와 달리 19세기 역학서까지 개음 [i]와 결합하고 있어, 당시의 음운 실현을 한글 표기 체계로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다만, 知系 二等字와 章系 止․通攝字의 경우, 莊系와 마찬가지로 개음 [i]와 결합하지 않고 있어 知系 二等, 莊系, 章系 止․通攝字와 知系 三等, 止․通攝을 제외한 章系 간 대립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시기면에서 차이는 있으나 14세기 이후 보이고 있는 실제 漢語 음운 변화와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더불어 역학서의 正音과 俗音, 左音과 右音의 차이로부터 全濁字의 소실, 正齒音과 齒頭音의 합류 현상도 함께 살펴볼 수 있었으며 捲舌音을 표기하기 위한 독특한 모음의 결합과 초성자 /ㅆ/의 사용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앞선 선행연구 들과 일치하는 것으로, 일부 例字가 아닌 각 성모 계열에 속하는 모든 字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진행된 모든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本論文的目的是認識朝鮮時期譯學書反映出的中古知莊章系聲母的韻母變化的狀態。代表15世紀到19世紀各時期的《四聲通解》、《飜譯老乞大》、《飜譯朴通事》、《老乞大諺解》、《朴通事諺解》、《朴通事新釋諺解》、《華音啓蒙諺解》成爲因14世紀以後中國資料上的有限無法充分進行研究的有效根據。特別是表音文字爲體系的韓文不僅補充了表意文字爲體系的漢字所帶有的表音上的有限,還補充了發音的明確傳寫。所以觀察當時的漢語韻母的實現過程中朝鮮的譯音資料所帶有的意義重大。 在第二章把各時期的譯學書裏反映出的聲母體系,以中古36字母爲根據,爲做比較考察了漢語的韻母體系。在第三章聚集了譯學書內韓語初聲字 /ㅈ/、/ㅊ/、/ㅅ/系標志的字母,以中古字母爲分類,根據等和攝整理了。然後,把它們以知系、莊系、章系爲分類,詳細的分析了屬於各類的字母在標記上的特征和差異點。隨後在第四章,以至先分析的資料爲基礎,通時的考察了15世紀到19世紀在朝鮮譯學書裏反映出的中古知莊章系聲母的變化狀態。 結果,以知系和章系爲區分的莊系,在漢語上捲舌音化完具的狀態下,19世紀的譯學書內仍與介音[i]爲結合體現出,所以我們可以認識到當時韻母的體現在韓語標志體系上沒有充分的反映。但是,知系二等字和章系止通攝字與莊系相同,與介音[i]沒有結合的現象中可以知道知系二等、莊系、章系止通攝字和知系三等、除於止通攝字的章系同的對立狀態的存在。這樣的結果雖然在時期上有一定的差異,但是與14世紀以後體現出的漢語韻母變化有著相同的變化狀態,所以在漢語韻母的變化可以在朝鮮譯學書裏所看到的方面來看我們可以從中找出它的意義。此外,以時期分類的譯學書中的正音和俗音、左音和右音的差異爲根據,可看出全濁字的消失、正齒音和齒頭音的結合現象。還有可知道根據獨特的母音的結合和硬音初聲字的使用,爲捲舌音的標志作出的不斷努力。這樣的結果與至先的研究結果所一致, 不僅研究了一部分例字,而且研究分析了屬於各聲母類的所有的觀點上,可以認證到現在的所有研究結果的妥當性。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