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명선-
dc.contributor.author전주애-
dc.creator전주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7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0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5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018-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 고령자의 경제활동참여율과 고용률은 2003년 이후 60%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며, 특히 제조업 고령근로자의 업무상 사고발생인원수는 타 업종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여러 선행연구에서는 업무상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작업환경, 작업행동을 언급하였으나 제조업 고령근로자의 업무상 사고경험 원인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조업 고령근로자의 작업환경 및 작업행동과 업무상 사고경험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2013년 10월 22일부터 12월 9일까지 경인 소재 제조업 사업장을 방문하여 실시하였으며, 제조업 고령근로자 210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작업 특성, 작업환경, 작업행동, 업무상 사고경험은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작업 특성에 따른 작업환경, 작업행동은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작업환경, 작업행동과 업무상 사고경험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업무상 사고경험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령이 높을수록, 평균 월수입이 적을수록 유해한 작업환경 노출수준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인 경우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에 비해, 소규모일수록, 하루 근무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유해한 작업환경 노출수준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또한 동거하는 가족 구성원 수가 적을수록, 평균 월수입이 적을수록 작업행동 노출수준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사업장 규모가 클수록,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이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에 비해, 주당 근무일수가 많을수록, 하루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작업행동 노출수준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연구대상자의 진동, 소음, 고온을 제외한 작업환경 및 반복동작을 제외한 작업행동이 업무상 사고경험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작업환경은 분진(r=.240, p<0.05), 유기용제(r=.336, p<0.01), 화학물질(r=.239, p<0.05), 담배연기(r=.244, p<0.05)가 업무상 사고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작업행동은 중량물 운반(r=.233, p<0.05), 서거나 걷기(r=.221, p<0.05), 개인보호구 착용(r=.458, p<0.01)이 업무상 사고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분진(β=.238, p<0.01), 유기용제(β=.195, p<0.05), 화학물질(β=.166, p<0.05), 서거나 걷기(β=.161, p<0.05), 개인보호구 착용(β=.338, p<0.001)이 업무상 사고경험과 관련이 있었으며, 분진, 유기용제, 화학물질, 서거나 걷기, 개인보호구 착용은 모두 정(+)적인 방향으로 업무상 사고경험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특히 개인보호구 착용의 경우, 업무 중 유기용제, 화학물질 등을 취급하는 작업이 대부분이며, 작업 중 개인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으면 유기용제 등에 노출되어 업무 중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업무상 사고경험을 줄이기 위해 개인보호구 착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 제조업 고령근로자의 업무상 사고경험 수준은 다른 연령대의 근로자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으며, 기존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연구 결과, 근무시간 내 연기, 흄, 가루, 먼지 등, 유기용제, 화학물질, 서거나 걷기, 그리고 개인보호구 착용이 업무상 사고경험 수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Elderly manufacturing worker's occupational accident incidence is very high compared to other industry. The main causes of this accident are work environment and work behavior.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 of elderly manufacturing worker's work environment, work behavior and occupational accident experiences.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Korean elderly manufacturing worker. Visiting the workplaces, located in Gyeong-ki or In-cheon distric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2, 2013 to Devember 9. Totally, the questionnaires of 210 workers were fully filled out.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percentage, X2-test(chi-square 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ge, type of industry, monthly income, size, length of service, day working hour, forms of employment were related with work environment(p<0.05). Age, level of education, type of living-together, monthly income, size, type of industry, day working hour, working week were related with work behavior(p<0.05). Occupational Accident experience was dependent on work environment except vibration, noise, high temperature(p<0.05). At last, the factors that affected to the occupational accident experience were dust(β=.238, p<0.01), organic solvent(β=.195, p<0.05), skin exposure to chemicals(β=.166, p<0.05), standing and walking(β=.161, p<0.05), wearing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β=.338, p<0.001). In the results, elderly manufacturing worker's level of occupational accident experience was higher than other workers. Due to these properties, elderly manufacturing worker's industrial accident rate and occupational accident rate were higher than the other workers. However, elderly manufacturing workers who highly exposed dust, organic solvent, skin exposure to chemicals, standing and walking, and wearing PPE showed a high level of occupational accidents experi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1 B.연구목적 3 C.연구문제 4 D.용어의 정의 5 E.연구의 제한점 8 Ⅱ.이론적 배경 9 A.제조업 고령근로자에 대한 고찰 9 B.작업환경 16 C.작업행동 19 D.업무상 사고경험 22 Ⅲ.연구내용 및 방법 25 A.연구설계 25 B.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26 C.연구도구 및 내용 27 D.자료분석 방법 32 Ⅳ.연구결과 및 고찰 33 A.연구대상자의 특성 33 B.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작업환경 수준 44 C.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작업행동 수준 52 D.대상자의 작업환경,작업행동 및 업무상 사고경험의 관련성 58 E.대상자의 업무상 사고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1 Ⅴ.결론 및 제언 64 참고문헌 68 부록1 - 설문지 75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20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제조업 고령근로자의 작업환경 및 작업행동과 업무상 사고경험의 관련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lderly manufacturing worker's work environments and work behavior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accident experiences-
dc.creator.othernameJeon, Ju Ae-
dc.format.pagevii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관리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