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정애-
dc.contributor.author이하원-
dc.creator이하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6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38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5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3843-
dc.description.abstractAs for children at the age 3 and 4,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ir general aspects of adaptation to a kindergarten,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age and gender. Also, it aims at inspecting the relation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peer competence with adaptation to a kindergarten according to their age and gender. So, research topics were set as follows. 1. How is a general tendency of adaptation to a kindergarten? 2. How is relations between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adaptation to a kindergarten? 2-1. How is relation between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adaptation to a kindergarten according to the age? 2-2. How is relation between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adaptation to a kindergarten according to the gender? 3. How is relation between peer competence and adaptation to a kindergarten according to the age? 3-1. How is relation between peer competence and adaptation to a kindergarten according to the age? 3-2.. How is relation between peer competence and adaptation to a kindergarten according to the gender?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64 children at the age of 3, 4 at kindergartens located at Seoul and Busan regions. In order to measure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STRS)', developed by Pianta(1991) was used. In addition, children’s peer competence was measured with the ‘Peer Competence Scale’ developed by Park Joo‐hee & Lee Eun hae(2001). And to measure young children´s preschool adjustment,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PAQ)', developed by Jewsuwan, Luster, and Kostelnik(1993)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s the result of examining a general aspect of the adaptation to a kindergarten, it revealed that they adapt themselves to the kindergarten at the level of above the average, showing higher in adjustment to preschool routines, positive affect, prosocial behavior, peer adaption, and ego strength in order for subcategor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daptation in terms of children's age. As for gender, it showed that girls have a significantly higher adaptation level compared with boys.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adaptation to a kindergarten, and as for subcategories of teacher-children relationship, intima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kindergarten-adaptation, conflict and dependence having a negative correlation with kindergarten-adaptation. As for the age, in children both at 3 and 4, entire teacher-child relationship, intimacy of the subcategor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kindergarten-adaptation. Between conflic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subcategories, entire and subcategories of kindergarten-adaptation, for 4-year-old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go strength among subcategories of kindergarten-adaptation. Next, in the case of dependence in subcategorie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for 3-year-old children, it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kindergarten-adaptation subcategories excepting positive affect and entire kindergarten-adaptation. However, 4-year-old children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pendency, entire and subcategories of kindergarten-adaptation. Also, as for gender, both boys and gir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ntir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entire kindergarten-adaptation. In case of conflic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subcategories, boys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entire kindergarten-adaptation and ego strength of the subcategories. In addition, as for dependence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subcategories, entire and subcategories of kindergarten-adaptation, girl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excepting positive affect of kindergarten-adaptation subcategories, while boys showed a lower negative correlation only with peer adaptation among subcategories of kindergarten-adaptation, showing no correlation with others. Finally, between entir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subcategories of kindergarten-adaptation, both boys and girl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hirdly, between entire and subcategories of peer competence, and entire and subcategories of kindergarten-adaptation, it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in every case. Furthermore, despite age and gender, peer competence and kindergarten-adapt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in every case.;본 연구는 만 3·4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일반적 양상 및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교사-유아관계 및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적응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는 연령에 따라 어떠한가? 2-2.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어떠한가? 3. 또래유능성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또래유능성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는 연령에 따라 어떠한가? 3-2. 또래유능성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및 부산에 소재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3·4세 유아 1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Pianta(1991)가 개발한 교사-유아관계 척도(STRS: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박주희, 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유능성 척도, 그리고 Jewsuwan, Luster와 Kostelnik(1993)이 개발한 유치원 적응 평가(PAQ: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t검정 및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적응의 일반적 양상을 알아본 결과, 대체로 보통 수준 이상으로 적응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범주별로는 일과 적응, 긍정적 정서, 친사회적 행동, 또래 간 적응, 자아 강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연령에 따른 적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성별에 따라서는 여아가 남아에 비해 유의하게 적응 수준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치원 적응의 하위범주 중 친사회적 행동, 또래 간 적응, 일과 적응에서 여아가 유의하게 우세하여, 여아가 남아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을 많이 보이고, 또래 간 적응 및 일과 적응을 더 잘함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유치원 적응 간에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교사-유아관계의 하위범주 중 친밀은 유치원 적응과 정적 상관이, 그리고 갈등 및 의존은 유치원 적응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만 3세와 만 4세 유아 모두 교사-유아관계 전체 및 하위범주 중 친밀과 유치원 적응 전체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교사-유아관계의 하위범주 중 갈등과 유치원 적응 전체 및 하위범주 간에는 만 4세의 경우 유치원 적응의 하위범주 중 자아강도에 대해서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교사-유아관계의 하위범주 중 의존의 경우, 만 3세는 유치원 적응의 하위범주 중 긍정적 정서를 제외한 나머지 하위범주 및 유치원 적응 전체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나, 만 4세의 경우 의존과 유치원 적응 전체 및 하위범주 간에 서로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다음으로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교사-유아관계 전체와 유치원 적응 전체 간에는 남녀 유아 모두 유의하게 높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교사-유아관계의 하위범주 중 갈등의 경우, 남아는 유치원 적응 전체 및 하위범주 중 자아강도와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이어서 교사-유아관계의 하위범주 중 의존과 유치원 적응 전체 및 하위범주 간에는 여아의 경우 유치원 적응의 하위범주 중 긍정적 정서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난 반면, 남아의 경우에는 유치원 적응의 하위범주 중 또래 간 적응에 대해서만 낮은 부적 상관이 있었고, 그 외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교사-유아관계 전체와 유치원 적응의 하위범주 간에는 남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또래유능성 전체 및 하위범주와 유치원 적응 전체 및 하위범주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연령 및 성별을 불문하고 또래유능성과 유치원 적응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유치원 적응 6 1. 유치원 적응의 개념 및 중요성 6 2. 유치원 적응의 구성요소 8 3. 유치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2 B. 교사-유아관계와 유치원 적응 13 C. 또래유능성과 유치원 적응 18 Ⅲ. 연구방법 24 A. 연구대상 24 B. 연구도구 25 C. 연구절차 28 D. 자료분석 2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1 A. 유치원 적응의 일반적 양상 및 변인에 따른 차이 31 1. 유치원 적응의 일반적 양상 31 2. 변인에 따른 유치원 적응 31 B. 교사-유아관계와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 33 C. 또래유능성과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 39 Ⅴ. 논의 및 결론 46 A. 논의 46 B. 결론 및 제언 56 참고문헌 60 부록 72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36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교사-유아관계 및 또래유능성과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Peer Competence with Adaptation to a Kindergarden-
dc.creator.othernameLee, Ha Won-
dc.format.pagev,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