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6 Download: 0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실행 및 변화

Title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실행 및 변화
Other Titles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Changes that Follow
Authors
이인선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and implemen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years, and what changes occur after the implementation. Then, this paper discusse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strengthening teachers’ competency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chieve it, the research questions of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1.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3.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chang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1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institu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he selected institute is managed based on theme-centered curriculum and distinctive educational programs includ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hristian education, age-integrated education, language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erviewing was used to elicit views and experiences of the subject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3, 2013 to October 10, 2013. Analyzing research date followed process of transcription, integration, area analysis, categorization of data, and interpretation of its meaning, as Bogdan and Biklen(2007/2010) suggested. The results of curr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oo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s teaching learners to act with thinking of ‘us’ and ‘future,’ instead of only considering ‘oneself’ and ‘now.’ Also, the teachers believed that the education should begin from early years forming fundamental habits so that children can reveal sustainable lifestyle as they grow. Moreover, the teachers said that the education can be a new educational paradigm for a sustainable society.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ected a theme, planned activity, and set the goal to include elemen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hile they considered children’s interest and developmental level as highlighted in gene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Especially, when the teachers planned activities, they were conscious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me and children’s real-world in order to educate children to aware problems and to solve them in their perspective. Additionally, the teachers referred to meeting with fellow teachers, training, internet, etc. to get information or material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lso, the teachers used time and place flexibly as similar to what early childhood curriculum aims for. However, the teachers did not limit the time for a theme to give children enough time to gain knowledge and values as well as changing attitud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oreover, they organized the classroom environment by integrating standardized areas and materials to emphasize educational goal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urthermore, the teachers selected a theme based on children’s voices. Thir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aid that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and functions of environment, social, and economic systems as they implemented it. Also, as the teachers recognized the effects of child-centered education, they thought about changing educational system to sustainable way. Moreover, as the teachers reaffirmed that children are active and cognitive, and have infinite potential, they tried not to only teach knowledge but also skills and attitudes for sustainable future. Finally, the teachers thought critically about their lifestyles that were unsustainable in daily life, and changed their attitudes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in natural environment, society, and economy.;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와 실행은 어떠한지, 실행 후 인식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역량 신장과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는 어떠한가? 2.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실행은 어떠한가? 3.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행에 따른 유아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A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21명의 교사들이다. 선정된 기관은 주제중심 교육과정에 기반을 두고 운영하며, 지속가능발전교육, 기독교 교육, 연령 간 통합교육, 도서를 활용한 언어교육, 다문화 교육을 특색교육과정으로 실행하고 있다. 연구방법으로 면담을 활용하여 2013년 9월 23일부터 10월 10일까지 한 교사 당 한 차례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n(2007/2010)이 제시한 단계에 따라 내용 전사 및 자료를 통합하고, 영역을 분석하였으며, 자료를 범주화하고, 의미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을 ‘나’와 ‘현재’만 생각하는 것이 아닌 ‘우리’와 ‘미래’를 생각하며 행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이 기본생활습관을 형성하는 유아기에서부터 시작되어야 사회의 구성원인 유아가 성장하면서 지속가능한 생활방식을 잘 발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나아가 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작용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교사들의 생각은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중요성, 또는 필요성에 대한 인식으로 확장되었다. 둘째, 교사들은 유아교육에서 일반적으로 강조하는 영유아의 흥미와 발달 수준을 고려함과 동시에 주제 안에 지속가능발전교육 요소가 포함되도록 계획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들은 유아의 관점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 주제와 실생활과의 연관성을 더욱 의식하며 계획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정보나 자료 수집을 위해 교사들은 일반 유아교육을 실행하는 교사들과 마찬가지로 인적ㆍ물적 자원을 활용하고 있었지만, 주로 교사회의와 연수, 인터넷 등을 참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덧붙여, 실행과정에서 교사들은 일반 유아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바와 같이 시간과 공간을 융통성 있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식 습득에서 나아가 가치와 태도 변화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교사들은 생활주제의 기간에 제한을 두지 않고, 정형화되어 있는 영역과 자료를 통합하고 확장하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 목표가 강조되도록 구성하였다. 더불어 교사들은 교육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지기 위해서 유아들의 절대적인 협력이 필요함을 인식하여 유아의 생각에 기반을 두고 주제를 선정하며 실행해나갔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면서 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의 환경, 사회, 경제 시스템의 기능과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이해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통한 효과를 인식하며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체계가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변화되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사고하는 기회를 가졌다. 더불어 교사들은 유아가 능동적이고 인지적이며 무한 잠재력을 가진 존재임을 재확인하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필요한 지식전달과 더불어 기술과 태도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개인의 삶에서 지속가능하지 않았던 생활방식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하며 자연환경, 사회, 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태도를 변화시켜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