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정애-
dc.contributor.author유한나-
dc.creator유한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6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3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5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35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한 유아의 생각을 개입 유형에 따라 알아보고, 유아가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해 어떤 기대를 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개입 유형에 따른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한 유아의 생각은 어떠한가? 2.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한 유아의 기대는 어떠한가? 2-1.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가 교사의 개입을 요구하는 상황은 언제인가? 2-2.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가 교사에게 기대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 2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9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영상자료를 활용한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시 사용한 영상자료는 교사의 놀이 개입 유형을 내재적 개입 유형인 공동놀이자와 놀이지도자, 외재적 개입 유형인 무대관리자와 방향전환자로 나누고, 각 유형의 개입 에피소드를 담은 영상을 연구자가 직접 촬영하여 제작하였다. 면담은 에피소드 영상을 하나씩 보여준 후 각 에피소드 내용과 교사의 개입에 대한 생각을 묻고 마지막으로 교사의 개입에 대한 기대를 묻는 질문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자료 내용 정리, 범주화, 빈도산출, 의미 해석 및 사례 추출의 단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입 유형에 따른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한 유아의 생각은 전반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유아들은 교사가 놀이에 개입하는 이유를 개입 유형에 따라 다르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공동놀이자로는 ‘놀이 역할 수행’, 놀이지도자로는 ‘놀이 제안’, 무대관리자로는 ‘환경 구성’, 방향전환자로는 ‘과제 부여’를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놀이를 촉진하는 유형의 교사 개입 이유로 공통적으로 많이 나타난 응답은 ‘재미 유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놀이에 개입하는 주된 목적을 유아들도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놀이 개입 유형은 다르지만 교사가 유아의 놀이에 개입하는 공통적인 목적은 놀이에의 흥미를 유지시키고 재미를 북돋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교사의 개입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도 개입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공동놀이자, 놀이지도자, 무대관리자로 개입한 경우에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유아가 많았고 방향전환자로 개입한 경우에는 부정적으로 생각하였으며, 교사의 개입 정도가 클수록 교사의 개입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자신이 놀이 상황을 통제하고 주도해 나가는 것을 방해하는 요인이 클수록 교사의 개입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한 유아의 기대를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가 교사의 개입을 요구하는 상황과 교사에게 기대하는 역할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유아가 교사의 개입을 요구하는 상황은 문제 해결 상황이 가장 많았고 교사의 개입이 필요한 상황이 없다는 응답도 이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는 평소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들은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나 또래와의 갈등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고, 교사의 직접적인 놀이 개입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에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교사에게 기대하는 역할은 놀이 상대자로 교사가 함께 놀이하기를 원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평상시 교사와 함께 놀이할 기회가 적고, 교사의 개입을 요구하는 경우가 별로 없다 하더라도 실제로는 교사의 놀이 참여를 원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교사가 놀이에 참여하여 놀이를 촉진하고 놀이 경험을 풍부하게 해 주기를 유아들이 기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hought of children, who experienced their teacher’s intervention in play according to the type of intervention and their expectation on the interven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How does child think about teacher's play intervention according to its type? 2. What does child expect about the play intervention from teacher? 2-1. When does child ask the intervention of teacher during free play? 2-2. What does child expect the teacher to do during free play? The study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90 children ranging in age of 5 year old, who are attending private kindergarten in Seoul. A researcher had conversation with each child individually by implementing visual aids to convey the questions clearly. The visual aid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of intervention; the inside intervention such as a co-player and a play leader and the outside intervention such as stage manager and a director. The researcher created video clips, which included episodes that demonstrate each type of intervention, and let children watch them. Upon watching each video clip, the researcher asked the children questions regarding the stories, teacher’s intervention, and their expectation of the intervention of teacher. The data collected upon the interview are thoroughly analyzed by data organizing process, categorization, frequency computation, interpretation of data, and case extr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hought of children about the play intervention of teacher is various according to its type. The way children anticipate the reasons of teacher’s involvement in the play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intervention. As stated the type of intervention that children consider are as follows; a co-player as ‘playing a role’, a play leader as ‘suggesting new play’, a stage manager as ‘building environment’, and a director as ‘giving a task’. The children’s overall response toward teacher’s intervention to facilitate play is ‘developing excitement’. This result shows that even children cognitively recognize the main reason of teacher’s intervention in the play. Though teacher’s intervention in the play may vary by the types, they understand the common purpose of intervention is to keep them interested in the play and to develop their excitement. The general understanding on teacher’s intervention also varies by the type. For example, in the case of co-player, play leader and stage manager, their attitude towards the intervention turns out to be positive. However in the case of directors, their attitude is rather negative. The more teachers involve, the more negatively they show. It shows the tendency that children want to control and lead their play by themselves. Therefore, the more obstacles children sense in their play, they consider teacher’s intervention more negatively. Second, in order to further expan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th the objective of understanding children’s expectation on teacher’s intervention during free play, the researcher asked children when they need teacher’s intervention, and what they expect on teacher’s role. As a result, large number of children needs teacher’s intervention to solve problems that they encounter and similar number of children, other than solving problems; do not rely on teacher’s intervention in play. This implies that children mainly ask for help in situations where they have difficulties that cannot be solved by themselves or conflict with friends, and they do not require teacher to take part in their play. On the other hand, it appears that a lot of children want teacher to be involved in their play as a ‘play partner’ during free play. This result shows that even though children do not usually have time to play with teacher and do not often ask for their intervention, they want their teacher to play with them. It implies that children expect teacher to be involved in play in order to make their play more interesting and to enrich their experiences of pla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 6 1. 놀이의 특성 6 2. 놀이와 유아교육 9 3. 놀이에 대한 유아의 생각 11 B. 놀이에서의 교사 역할 및 놀이 개입 14 1. 놀이에서의 교사 역할 14 2. 교사의 놀이 개입 17 3. 놀이에서의 교사 역할에 대한 유아의 생각 23 Ⅲ. 연구방법 25 A. 연구대상 25 B. 연구도구 25 C. 연구절차 29 D. 자료분석 3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3 A. 개입 유형에 따른 교사의 개입에 대한 유아의 생각 33 1. 공동놀이자로서의 교사 개입에 대한 유아의 생각 33 2. 놀이지도자로서의 교사 개입에 대한 유아의 생각 38 3. 무대관리자로서의 교사 개입에 대한 유아의 생각 42 4. 방향전환자로서의 교사 개입에 대한 유아의 생각 46 B.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한 유아의 기대 51 1.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가 교사의 개입을 요구하는 상황 51 2.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가 교사에게 기대하는 역할 55 Ⅴ. 논의 및 결론 61 A. 논의 61 1. 개입 유형에 따른 교사의 개입에 대한 유아의 생각 61 2.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한 유아의 기대 67 B. 결론 및 제언 72 참고문헌 76 ABSTRACT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38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한 유아의 생각과 기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thoughts and expectations of children about teacher’s play intervention-
dc.creator.othernameYoo, Han Na-
dc.format.pageviii,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