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5 Download: 0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특성

Title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특성
Other Titles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uthors
양선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art tha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years. For that purpose,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type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years? 2. What are the material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years? 3. What are the function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years? 4. What are the participation sphere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yea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analysis of works of public art made by 3, 4 and 5-years-old children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 attached to university in Seou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5 works of public art children made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rom 2011 to the first semester of 2013. Pictures and videos of public art, book on ESD projects and presentation data were collected for data analysis. Characteristic of public art that children experienced were analyzed according to analysis standard on characteristic of public ar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between pure arts and applied arts. Children experienced more applied arts, expecially public design. Second, the material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between traditional and evolutionary art materials. Children experienced both of them but a few more evolutionary art materials than traditional one. Third, the function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among artistic, practical and participative functions. Children experienced most participative function followed by artistic and practical functions. Forth, the participation spheres of public art early children experienced during projec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among the levels of individual, classroom, early childhood center, local community and international society. Children experienced from the level of classroom to that of international society. They participated most on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center followed by the level of local community, classroom and international society.;본 연구는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특성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유형은 어떠한가? 2.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재료는 어떠한가? 3.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기능은 어떠한가? 4.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참여 범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대학 부속 유아교육기관의 만 3, 4, 5세 학급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 수행 중 유아가 제작한 공공미술작품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2011년부터 2013년 1학기 까지 지속가능교육 프로젝트 실행 중 유아가 구성한 공공미술작품 총 55점이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공공미술작품사진과 영상물, 프로젝트 정리 도서와 발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특성은 공공미술 특성 분석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유형을 순수 미술과 응용미술로 나누어 알아본 결과, 공공미술의 유형은 응용미술의 경험이 우세하였으며 특히, 공공 디자인의 경험이 높았다. 둘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재료를 전통적인 미술재료와 진화하는 미술 재료로 나누어 알아본 결과, 유아는 전통적인 미술재료와 진화하는 미술 재료 모두 경험하고 있었으나 진화하는 미술 재료의 경험이 조금 더 높았다. 셋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기능을 예술성, 실용성, 참여성으로 나누어 알아본 결과, 유아는 참여성, 예술성, 실용성의 순서로 참여성을 가장 높게 경험하였다. 넷째,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젝트에서 유아가 경험한 공공미술의 참여 범위는 유아 개인, 학급, 유아교육기관, 지역사회, 국제사회로 나누어 알아본 결과, 유아는 학급수준에서부터 국제사회에까지의 범위에서 참여를 경험하였다. 특히 유아교육기관 수준에서 참여를 경험한 것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지역사회, 학급, 국제사회 순으로 참여를 경험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