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정수인-
dc.creator정수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9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2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4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299-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is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of disabled mothers and ego-resilience of non-disabled children. For this, two factors such as covert narcissism and parentification were set up as parameters in this research and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evaluated. First,relations among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of disabled mothers, covert narcissism of non-disabled children, experiencing parentification and ego-resilience were evaluated and impact of ego-resilience on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of disabled mothers, covert narcissism of non-disabled children and experiencing parentification was observed. Second, mediator effect of covert narcissism and experiencing parentification was evaluated in the relations between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of disabled mothers and ego-resilience. Research targets were non-disabled children from 17 to 30 of disabled women belong to associations of physical disabilities located in Gyung-gi and Gyung-sang Province, and 150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11 which were not responded thoroughly among 161 responses at the survey. Survey was used criteria of Korean over protection, juvenile ego-resilience, self-revealing self-attachment and parentification.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9.0 was sued for analyze the investigated data. For the method of analysis, t-test, ANOVA & Scheffe for the evaluation after the fac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 wa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after observation of impact of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covert narcissism, experiencing parentification observed from non-disabled children who are main factors on ego-resilience was revealed that covert narcissism,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and experiencing parentification in order were all highly influent. Specifically observation of impact to ego-resilience separated by each subordinated factor of each core factor was resulted that over expectation and over interference among subordinated factors of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of physical disabilities were significant to ego-resilience. Moreover, the evaluation of impact of parentification on ego-resilience was resulted that only unfairness among subordinated factors of parentifica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t subordinately. Second, covert narcissism and parentification as mediated factors react in the relations between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of physical disabilities and ego-resilience of non-disabled children was resulted that self-revealing self-attachment represented perfect mediator, and parentification represented partial mediator.;공동체와 사회를 원만하고 조화롭게 이끌어 가려면 구성원인 개인의 특성과 역할 그리고 구성원 간의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공동체의 내적 구조, 구성원들의 가치관과 심리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소외되기 쉬운 구성원들에 대한 관심과 논의는 공동사회의 미래를 위한 교육에서 필수적 구성 요소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소외당하기 쉬운 구성원인 ‘신체장애여성과 비장애자녀’의 사회적 현실과 심리 양상에 초점을 맞춰 관련 변인들을 분석하였다. 신체장애여성은 일반적으로 불이익과 차별을 경험하게 되고 그러한 경험은 불안과 신경증적 성격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신체 장애여성의 부적응적 심리 양상은 자녀 교육에 있어서 과보호적 양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고 그러한 과보호적 양상은 비장애자녀의 심리적응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연구자는 이러한 관계에 주목하여 ‘신체 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비장애자녀의 자아탄력성’에서 매개요인으로 작용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내현적 자기애와 부모화의 두 요인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연구모형을 설계하여 검증하였다. 첫째,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비장애자녀의 내현적 자기애, 부모화 경험, 자아탄력성의 관계를 검증하고, 과보호적 양육태도, 비장애자녀의 내현적 자기애, 부모화 경험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비장애자녀의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부모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기·경북에 위치한 지체장애인단체(경북지체장애인 협회, 내일을 여는 멋진 여성 경기지회)에 속한 여성장애인의 17-30세의 비장애자녀로서, 회수된 총 161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11부를 제외한 총 150부가 최종 분석에서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한국적 과보호 척도, 청소년 자아탄력성 척도, 내현적 자기애 척도, 부모화 척도를 사용하였고,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9.0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를 보기 위해 t-test, 일원 변량분석(ANOVA) 및 Scheffe 사후검정을 사용하였다. 셋째,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비장애자녀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 부모화 경험, 자아탄력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비장애자녀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 부모화 경험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다섯째,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자아탄력성간의 관계를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비장애자녀의 자아탄력성의 관계에서 비장애자녀의 내현적 자기애와 부모화 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인 비장애자녀가 인식하는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비장애자녀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 부모화 경험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 과보호적 양육태도, 부모화 경험 순으로 모두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각 주요변인의 하위요인을 나누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먼저,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과잉기대와 과잉간섭이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부모화 경험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부모화의 하위요인 중에서 불공평만이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부적(不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장애자녀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 중, 목표불안정, 소심/자신감부족, 착취/자기중심성, 과민/취약성이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비장애자녀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부모화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검증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는 완전 매개를, 부모화는 부분 매개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비장애자녀의 내현적 자기애, 부모화 경험이 비장애자녀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 및 학년에 따라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음을 증명하였으며, 주요변인과 각 하위요인이 비장애자녀의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입증하였다. 또한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부모화의 매개효과를 입증하였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숨겨진 현상으로 남아있던 장애여성과 그들의 비장애자녀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이들의 심리적응 문제를 돕기 위해 신체장애모의 부모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주장의 근거를 제공하였다. 뿐만 아니라, 비장애자녀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내현적 자기애 및 지나친 부모화 경험으로 인한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하여 적응적이고 탄력적인 성인이 되도록 하는 예방 및 치료적 상담과 전략 마련에 대한 필요성을 환기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장애자녀의 내현적 자기애 및 부모화 경험을 긍정적으로 전환하여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상담적 방안을 논의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C. 용어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A. 신체장애모와 비장애자녀 9 1. 장애여성의 정의 9 2. 비장애자녀의 심리적 특성 11 B. 개념 정의 15 1. 과보호적 양육태도 15 2. 자아탄력성 18 3. 내현적 자기애 21 4. 부모화 25 C. 변수간의 관계 28 1. 장애여성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28 2. 과보호와 자아탄력성 31 3. 내현적 자기애와 과보호 34 4. 내현적 자기애와 자아탄력성 35 5. 과보호와 부모화 37 6. 부모화와 자아탄력성 38 D. 과보호적 양육태도, 자아탄력성, 내현적 자기애 및 부모화의 관계 41 Ⅲ. 연구방법 43 A. 연구모형 43 B. 연구대상 44 C. 측정도구 47 1. 한국판 과보호 척도 47 2. 자아탄력성 척도 48 3. 내현적 자기애 척도 49 4. 부모화 척도 49 D. 연구절차 및 분석방법 50 Ⅳ. 연구결과 52 A.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인 간 차이 52 1. 기술통계 52 2. 상관분석 53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변인 간 차이 55 3-1. 연령에 따른 주요변인 간 차이 55 3-2. 학급에 따른 주요변인 간 차이 56 B.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자녀의 부모화 경험 및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비장애자녀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57 1. 주요변인의 각 하위요인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58 C.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비장애자녀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부모화의 매개효과 61 1.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비장애자녀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62 2. 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비장애자녀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에서 부모화의 매개효과 64 Ⅴ. 결론 66 A. 요약 및 논의 66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6 참고문헌 78 부록 97 ABSTRACT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764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신체장애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비장애자녀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내현적(內現的)자기애와 부모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of Physical Disabilities on Ego-resilience of Non-disabled Childre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Parentification-
dc.creator.othernameJeong, Su In-
dc.format.pagex,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