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9 Download: 0

국내 의류기업의 색채기획 프로세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국내 의류기업의 색채기획 프로세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concerning the process improvement plan of color planning for domestic clothing enterprises
Authors
임진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패션에서의 색채는 상품의 특성을 전달하는 색채, 형태, 재질 등의 물리적 효용가치 중 하나이며, 가장 먼저 강하게 소비자들의 감성을 자극하여, 심리적 측면에서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기업의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색채의 변경은 비교적 코스트가 적게 들어 상품의 신규성이나 변경을 소구하는 합리적 수단으로서 색채 기획에 따라 패션상품이 대량 생산되고, 색채를 기획하는 방향에 따라 성공적인 패션 상품을 개발할 수 있으므로 체계적인 색채 기획으로 판매 실적이 높은 패션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 이렇듯 패션 분야에서 색채가 점차 중요하게 자리 매김함에 따라 본 연구자는 국내 의류업계의 색채기획 세부과정을 조사하여 현재 의류업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색채기획 과정을 정리해보고 개선된 프로세스와 그에 해당하는 형식 및 도구를 제시함으로서 색채기획 과정을 체계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의 색채특성과 색채기획에 대하여 문헌조사 및 기존 연구 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 국내 의류업계 색채 기획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패션산업의 기획 프로세스와 색채기획 프로세스 단계별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연구자로서 의류 색채기획의 프로세스 단계에 대해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 둘째,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의류업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색채기획 프로세스에 대하여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심층면접 기법을 활용하여 조사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색채기획 프로세스를 살펴보았다. 조사내용은 기업의 특성, 업무내용, 형식 및 도구의 사용, 인력 배치 현황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론적 연구에 근거하여 의류업계 색채기획 프로세스 현황의 문제점을 도출해 내었다. 셋째, 앞서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개선점을 마련하여 국내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색채기획 프로세스의 업무내용 및 형식 및 도구, 인력배치를 제안하고 형식 및 도구의 적용 기준을 개발하였다. 현황 조사의 결과와 이론적 모델에 대한 제안내용은 아래와 같다.<표 1> 기존 프로세스 단계 개선점 프로세스 제안 리뷰(소비자행동소자/판매실적조사) 정보수집 및 분석 1. 분석정보의 다각화 2. 경쟁사 시장조사 제외 3. 소비자 행동 조사 강화 색채 조사 판매실적조사 소비자 착용색 경향 조사 트렌드 정보 수집 및 분석 색채 선호도 조사 시장조사 자료수집 및 분석 유행색 예측정보 분석 해외컬렉션 색채정보분석 해외컬렉션 분석 소비자 행동조사 외삽적 예측 예측 4. 외삽적 예측, 이론적 예측 감각적 예측의 상호 보완적 사용 외삽적 예측 판매실적/소비자 착용색/색채선호/유행색/해외컬렉션 색채경향 및 소비자행동조사 및 분석 시 사용 이론적 예측 이론적 예측 판매실적/소비자 착용색/색채선호/유행색/해외컬렉션 색채 정보 및 소비자행동조사 및 분석 시 사용 감각적 예측 감각적 예측 소비자 착용색/유행색/ 해외컬렉션 색채 경향 예측 시 사용 컨셉기획물 제작 정보 가공 및 결과물 제작 시즌 컨셉 및 이미지 설정 칼라기획 시즌 색채 이미지 설정 및 색채기획 품평 품평 발주 정보 관리 및 평가 5. 목적/ 기획/ 상품출고 실행률 평가 단계 추가 색채 기획 실행 칼라 및 소재 발주 발주 칼라 확인 색채 실행 관리 칼라 확인 상품출고 상품출고 목적/기획/상품출고 실행률 평가 <표 1> 기존 프로세스와 제안 프로세스의 개선점 앞서 제안한 프로세스에 적합한 도구 및 서식의 적용기준을 개발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앞으로 개발될 색표집은 B와 PB색채를 기준으로 저채도와 중명도를 중심으로 더 세분화 하여 대략 350개 이상의 색표본이 설계되어야 한다. 색표집의 재질은 광택도가 평균 1.00값에 근접하는 천의 형태가 좋으며 요철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구분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색채의 체계적 분석을 위한 색채 분류 방법으로 의류업계의 색채 특성을 반영하여 저명도 저채도가 보완된 시스템을 Hue&tone Fashion Color System이라고 하고 이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셋째, 상품의 출고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색채분류는 기본색과 유행색과 브랜드 이미지 칼라로 분류하여 브랜드의 특성에 맞게 비율을 선정하여 기획할 것을 제안하였다. 넷째, 유채색 색명은 Hue&tone Fashion Color System을 기준으로 10개의 색상과 12개의 톤의 혼합된 형태로 총 120개로 개발하고 앞서 개발된 Hue&tone Fashion Color System의 출력 색채 값을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서식은 총 13개 이다. 제안된 서식을 사용함으로써 패션산업에 필요한 정보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얻기 힘든 색채 정보의 분석 내용에 근거를 마련하여 정보 분석 자료의 효용성을 높이고 예측의 정확성을 확보하였다. 정보 가공 및 결과물의 단계에서는 브랜드의 목적을 문서화함으로써 업무의 목표를 상기 시키고 월별칼라 행거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행을 제고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보 관리 및 평가의 단계에서는 사용하는 서식에 측색기를 통한 칼라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연관 인력과 커뮤니케이션의 오류를 줄이고, 이는 비용과 시간의 절감으로 직접적인 기업의 이익창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서식 및 도구의 확립은 색채기획을 체계화시키는 발판을 마련하는 효과를 가지고 온다. 본 연구는 현재 의류업계에서 사용하는 색채기획 프로세스를 조사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였고 단순히 색채기획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단계에서 끝나지 않고 각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적합한 서식과 도구의 기준점을 마련함으로서 실제로 사용가능하도록 현장성을 높인 자료로의 의의가 있다.;The color in the fashion is one of effective values such as the color, type and materials transmitting the characteristics of goods, has direct effect on the sales of enterprises as the factor effecting from the psychological aspect by stimulating the emotion of consumers strongly first of all. Also, fashion goods are mass-produced according to the color planning as the reasonable means requiring the freshness of goods or change of color as those cost little comparatively, fashion goods of high sales record with the systematic color planning as the successful fashion goods may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planning the color should be developed. Like this, this researcher aims to arrange the process of color planning being used in the clothing industry currently by investigating the detailed course of color planning of domestic clothing industry as the color is emerging importantly in the fashion field gradually and this thesis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systematizing the color planning process by presenting the improved process and the type and tool corresponding to it. The process of progr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lor characteristic of fashion and the color planning have been check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existing study data. Again, the planning process of fashion industry and the characteristic of color planning process by the stage have been checked to analyze the fashion color planning process of domestic clothing industry, the operational definition for the process stage of clothing color planning as the researcher through this has been implemented. Second, the empirical study for the color planning process being used in the domestic clothing industry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The color planning process being used in the investigation firm utilizing the in-depth interview technique has been checked. The content of investigation has been checked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 of enterprise, the business content, the type and the use of tool, the current status of manpower disposition and the point at issue of current status of process of color planning in the clothing industry has been drawn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Third, the business content of color planning process and the type and the tool, the manpower disposition capable of utilizing in the domestic enterprise by preparing the improvement point based on the earlier drawn point at issue have been presented and the application standard of type and tool have been developed. The result for the investigation of current status and the proposed content for the theoretical model are as below; The existing process The stage The improvement point The proposal of process The review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The information collection and the analysis 1. The diversification of analyzed information 2. The proposal of market research of competitor 3. The reinforcement of consumer’s behavior The color research The sales record research The tendency research of consumer’s wearing col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trend information The color preference research The data collection of market research and the analysis The analysis for the predicted information of trend color The color information analysis of foreign collection The analysis for the foreign collection The consumer behavior research The extrapolated prediction The prediction 4. The mutually supplementary use of the extrapolated prediction, the theoretical prediction and the sensuous prediction The extrapolated prediction The sales record/the consumer’s wearing color/the preference of color/the trend color/the color tendency of foreign collection and the consumer behavior research and the use at time of analysis The theoretical prediction The theoretical prediction The sales record/the consumer’s wearing color/the preference of color/the trend color/the color information of foreign collection and the consumer behavior research and the use at time of analysis The sensuous prediction The sensuous prediction The consumer’s wearing color/the trend color/the use at time of color tendency of foreign collection the manufacture of concept planning material The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manufacture of output The seasonal concept and the establishment of image The color planning The establishment of seasonal color image and the color planning The criticism The criticism The order The information management and the evaluation 5. The objective/the planning/the addition of evaluation stage of implementation ratio of goods delivery The implementation of color planning The color and the order of material The identification of order color The implementation management of color The identification of color The delivery of goods The delivery of goods The objective/the planning/the evaluation of implementation ratio of delivery of goods The existing process and the improvement point of proposed process. The suitable tool for the earlier process and the application standard of formula and the development content are as below; First, the approximately more than 350 color atlases should be designed by atomizing the color atla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more focusing on the low chroma and medium brightness based on B and PB color. The material of color atlas approaching the average glossiness 1.00 value of fabric type is good; it should be developed by classifying the convex and the non-convex. Second, the system with supplemented low brightness and low chroma reflecting the color characteristic of fashion industry as the color classification method for the systematic analysis of color is called Hue&tone Fashion Color System, the use of this is recommended. Third, the color classification has been classified into the basic color, the trend color and the brand image color for the simulation of delivery of goods has been presented by selecting the ratio in synch with the characteristic of brand. Fourth, the color name of chromatic color has been developed as total 120 units with the mixed type of 10 colors and 12 tones based on the Hue&tone Fashion Color System, the output color value has been presented based on the earlier developed Hue&tone Fashion Color System. Fifth, the developed formula is total 13 units.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 fashion industry with using the presented formula shall be selected, the utility of information analysis data has been enhanced and the accuracy of prediction has been secured by preparing the basis in the analysis content of color information hard to obtain the objective information. The business objective is reminded and the implementation has been enhanced through the color hanger simulation by the month with the documentation of objective of brand in the stage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output. Finally, the communication error with related manpower is decreased by providing the color information through the colorimetric machine in the formula used in the stage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the evaluation; this may have the effect on the direct profit creation of enterprises with the cost and time saving. Furthermore, the establishment of these formula and tool brings about the effect preparing the foothold systematizing the color planning. This study has prepared the improvement plan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olor planning process used in the clothing industry currently, and has the meaning as the data enhancing the field sense so that it may be possible for the use practically by preparing the standard point of suitable formula and tool corresponding to each process without ending in the developing stage of color planning process simp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