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미술관 사인물 식별성 재고를 위한 색채 기준에 관한 연구

Title
미술관 사인물 식별성 재고를 위한 색채 기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Color Standard for the Reconsideration of the Identificability of Signboards in Art Museums : Focusing on the Elderly
Authors
김예솔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As the aging society progresses, more older people are entering the workforce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cultural life. For that reason, a lot of cultural institutions are beginning in earnest to have a system set up for the elderly, doing a research on the viewing culture of the aged. However,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data about signboards in which considers their phys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much less about a study on the interior of art museums for their efficient viewing. Especially, a high percentage of the elderly have vision problems due to aging, which results in difficulties in using sign systems designed for non-disabled people only. It is difficult to make everything fit for every single person as the society is composed of people with various visual conditions. But a sign system designed only to make harmony with its surrounding environment is not suitable, as certain groups of people might experience inconvenience while using it. Art museums visited by many people should be equipped with a sign system that is easy to use and perceive, for many different groups of people use their facilities. For that reason, I aim to propose objective materials that can work as a standard of sign system design by considering the visual impairment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analyzing the visual and perceptual elements of the basic sign system. Therefor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color planning to discern the signboards of public institutions as well as promot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through reviewing current indoor environment of art galleries and museums and proposing materials and color standards that are necessary to suggest a direction when it comes to the identificability of signboard. First, I mention the background and the object of this research as well as suggest the research range and the methods. Second, I describe the fundamental concept of a sign and the provisions of the law that have to be abided by when designing signs and do a research o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o help establis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m. Also, I investigate on how the color perception range changes according to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ird, I examine present condition for the color suggestion. Among domestic museums and art galleries I select four national ones in Seoul city and Kyung-gi province and research on the identificability of signboards currently in use. Next, using a simulation program, I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in color perception between the non-elderly and the elderly to grasp the degree of color perception. In addition, I analyze how the basic guide lines that are obligatory when making signboards are perceived by the vision of the elderly. Finally, I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lors currently being used and the ones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elderly, going on detailed analysis about the application of each given signboard. Fourthly, I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 elderly visitors in the identificability of the signboards by means of a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 I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signboards and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purpose of reconsideration of the identificability for the elderly . Fift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I propose a conclus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and some cases of application of signboards in museums and suggest an application standard of the colors of signboards in preparation for aging socie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I proposed a range of recommendable colors considering the visu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hen it comes to the color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readability of a color is related to the combination of the letter, symbol, figure, etc. with its background color, and at the same time is affected by the contrast effect of the picture and its background color. Especially the brightness contrast is the main factor, because the bigger the contrast, the higher the readability level. To measure the level of the readability of a color, means such as measuring the readable distance, the readable illuminance or the minimum readable size are used. Legibility is the degree to which the existence of an object is understandable or recognizable, and it is described as legibility of color because the degree changes depending on the color. As opposed to legibility, there is a concept called noticability(attrac -tiveness of color), which is used when the existence is unpredictable. The effect of legibility is affected the most by the difference of lightness between the object and its background color.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I suggested a range of colors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elderly with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and by applying the standard to the signboards currently in use, the identificability of the signboards is expected to be increased. The proposed colors are all applicable to various kinds of signboards, ultimately making it possible to arrange the colors for both the elderly and the non-elderly.;고령화 사회가 진행되면서, 점차 많은 고령자들의 사회 진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문화적으로도 적극적인 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이에 각종 문화시설에서 고령자를 위한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갖추기 시작하며, 고령인의 문화 관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직 고령자의 신체적이고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사인물의 연구 자료는 많지 않은 실정이며, 더욱이 미술관의 관람을 위한 실내 연구에 대한 자료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히 고령자 가운데는 생리적 노화에 따른 시각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 높아 일반인에게 맞춰 제작된 사인시스템을 사용하는데 불편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사회는 다양한 시각적 조건을 가진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두를 위한 디자인에 맞추기는 어렵다. 하지만 단순히 주변 환경과의 조화만을 생각하고 만들어진 사인시스템은 특정 집단의 경우 이용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미술관은 공간의 특성상 다양한 집단의 사람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이용이 쉽고 인지하기 쉬운 사인시스템의 체계를 갖춰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본적인 사인시스템의 시지각적 요소에 대해 분석하고, 고령자의 생리적 시각특성을 고려하여 향후 사인시스템 디자인에 기준이 될 수 있는 객관성 있는 자료들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미술관 및 박물관의 실내 환경을 검토하고, 사인물의 식별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색채 기준 및 자료를 제안함으로써 고령자에 대한 이해를 돕고 공공기관의 사인물 식별을 위한 색채계획에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본 연구를 하게 된 배경과 목적을 언급하고 연구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사인의 기본 개념과 함께 사인디자인시 기본적으로 준수해야 하는 법률규정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고령자의 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 그들의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고령자의 생리적 특성에 의해 색채를 지각하는 범위가 달라지는 것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색채 제안을 하기 위한 현황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내의 미술관 및 박물관 가운데 국립으로 분류된 곳을 선정하고,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주관하는 미술관을 선정, 총 네 곳을 선정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사인물의 식별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고령자의 색채지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반인과 고령자의 색채 지각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사인물을 제작할 때 기본적으로 준수해야 하는 가인드 라인이 고령자의 시각에 어떻게 지각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사용되고 있는 색의 현황과 고령자가 지각할 수 있는 색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고, 각 대상의 사인물 적용 사항에 대한 세부 분석을 진행하였다. 4장에서는 실제 미술관을 방문하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사인물의 식별성의 만족도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추출된 결과에 따라 사인물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고령자의 식별성 재고를 위해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술관의 사인물 활용 사례와 설문의 분석을 통하여 결론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의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사인물 색채의 활용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로 고령자의 생리·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추천색 범위를 제안하였다. 색채와 생리 특성에 관련하여, 색의 가독성은 문자, 기호, 도형 등과 바탕색의 조합에 따라 관계를 가지며, 그림과 바탕색의 대비효과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명도 대비가 가장 크게 작용하며, 명대대비가 클수록 가독성이 높아진다. 색의 가독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가독 가능한 거리를 측정하거나, 가독 가능한 조도, 가독 가능한 최소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들이 있다. 시인성이란 대상물의 존재, 또는 보기 쉬움의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그 정도가 색에 의해 달라지기 때문에 색의 시인성이라고 표현한다. 시인성의 반대 되는 개념으로는 존재가 예측되지 않는 경우를 말하는 유목성이라는 개념이 있다. 이러한 시인성의 효과는 대상과 배경의 명도차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연구 결과에 따라 고령자의 시각적 특성상 지각할 수 있는 색의 범위를 유출하였고, 실제 사용되고 있는 사인물에 기준을 적용함으로서 사인물의 식별성을 높일 수 있다. 제안한 색채는 다양한 사인물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궁극적으로는 고령자 및 일반인 모두를 배려한 사인물의 배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