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6 Download: 0

삶과 욕망에 대한 조형적 표현연구

Title
삶과 욕망에 대한 조형적 표현연구
Authors
이은나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보희
Abstract
인간은 욕망을 지닌 존재인 동시에 행복을 추구하는 존재이다. 욕망은 결핍된 상태이며 인간은 이 결핍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세계를 탐색한다. 욕망은 인간이 생존하기 위한 원동력이지만 결코 충족될 수 없는 허상에 대한 갈구이기도 하다. 그런데 인간이 외부세계의 허상을 거부할 수 없는 이유는 그것은 완전한 행복인 것처럼 보이며 가장 가까운 눈앞에서 가장 쉽게 획득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허상은 결코 이루어질 수 없는 것임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다. 허상은 현실이 아니므로 행복이 될 수 없지만 허상은 분명히 상상했던 것보다 더 완벽할 수 있으며 더욱 위대하게 보인다는 맹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허상은 그 자체로 신비롭고 아름다우며 즐거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결코 결핍된 욕망을 해결하지는 않기 때문에 허상으로 인해 얻어지는 즐거움은 진정한 행복과 위안이 되지 못한다. 단지 행복이라고 믿고 싶을 뿐이다. 허상은 실재하지 않는 외부세계를 맹신하게 만듦으로써 육체와 정신의 본질을 망각하게 만든다. 허상은 결코 행복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결국 결핍은 충족되지 못하고 또 다시 욕망을 생산한다. 욕망은 허상을 바라봄으로써 다시 결핍으로 돌아온다. 허상에 대한 실망은 인간을 무기력하게 만들거나 분노를 일으킨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문제를 직시하지 못한다. 문제를 깨달아도 오히려 회피한다. 이러한 상황의 사람들이 바라보게 되는 것은 그들의 욕망으로 왜곡된 외부세계의 허상이다. 인간이 불행한 이유를 이러한 허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허상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고 어떻게 인간을 미혹하는지 알아보고 많은 사람들이 몰두하고 있지만 결코 충족될 수 없는 욕망으로 가득한 외부세계에 존재하는 허상을 그림으로 실현해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욕망이 향하고 있는 외부세계의 허상을 재현한다는 것은 그 외형의 범주에 대한 탐닉일 뿐 내면의 의미 영역을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논문은 외부세계의 허상을 추구함으로써 위안을 삼고자하는 인간의 욕망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그 욕망의 조형적 의미와 표현방법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부세계의 허상은 완전한 신체의 획득이며, 영원한 삶, 최고의 우위관계를 점령하는 권력 등으로 구체화된다. 본인은 본 연구를 통하여 욕망과 행복에 대한 조형작업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본인 그림의 궁극적인 목표인 인간의 욕망과 불행의 관계를 통해 행복에 대한 의미도 찾아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것은 인간의 욕망이 향하기 쉬운 헛된 행복을 쫒기보다 내면세계로부터의 자율적인 행동으로 자기를 실현하기 위하여 외부세계에 대한 성찰의 태도를 갖는 것이라 본다.;Humans have desire; simultaneously, they seek happiness. Desire is lacked and humans explore the external world to fulfill this lack. While desire is the driving force for human’s survival but it is also a thirst for something elusive--illusion--that can never be satisfied. But the reason why humans cannot resist illusion in the external world is because it seems like a perfect happiness and looks attainable, within a reach. Illusion never seems unattainable. Although illusion cannot be turned into happiness since it is not reality, illusion can be more perfect than imagination and looks even greater. Thus, illusion can be mysterious, beautiful, and pleasing by itself. Nevertheless, pleasure gained from illusion cannot be true happiness and comfort since it does not relieve the thirst for the lack. It is just that we want to believe that it is happiness. By making one blindly trust the external world that in fact does not exist, it deludes us of the essence of body and spirit. Since illusion never provides happiness, lack cannot be satisfied; it further creates another desire. Desire delude the nature of body and spirit by making one blindly trust the external world that does not exist. Illusion does not offer happiness and thereby lack cannot be satisfied and desire is produced once again. Facing illusion, desire returns to lack. Disappointment about illusion makes humans powerless or enrages them. Nevertheless, many people cannot face such problem. Even if they realize the problem, they try to avoid it. In that case, people face the illusion of the external world, distorted by their desire. I believe that human beings are miserable because of such illusion; I searched what illusions look like and how they tempt human beings; I also tried to the illusion that exists in the external world which is filled with desire many people are infatuated with but can never be fulfilled. However, actualizing the illusion of the external world that desire turns to is merely indulgence of the external; it does not express the meaning of the internal. This paper aims to theoretically analyze human desire to comfort oneself by pursuing the illusion of the external world and to research the formative meaning and expression method. Illusion in the external world is acquisition of a perfect body and it is specified by an internal life and power that dominates the top of the hierarchy. Through this research, I expect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formative arts projects regarding desire and happiness and to find out the ultimate goal of my painting: the meaning of happines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re and unhappiness. Rather than to pursue vain happiness, easily driven by desire, it is to achieve an introspective attitude regarding the external world in order to achieve a selfhood through autonomous action from the internal wor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