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일화-
dc.contributor.author여은주-
dc.creator여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38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4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389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초등 지적장애 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진로 및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는 초등 지적장애 학생의 적절한 진로 및 직업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서울·경기지역에 있는 초등학교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로 및 직업교육에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지적장애 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의 실태를 조사해본 결과, 진로 및 직업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대다수의 특수교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나 학교 및 학급 내 관련 정보나 자료가 충분히 마련되어 있지 않아 주로 인터넷이나 신문에서 정보를 찾아 진로 및 직업 교육을 하며, 교실이 아닌 학교 밖에서의 현장체험학습이 학생들의 진로 및 직업교육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전문 지식의 부족으로 현장에서 진로 및 직업교육을 실시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며, 학부모나 지역사회 인사 활용 및 심리검사 활용은 저조한 편이고, 개별화교육계획 내 개별화전환계획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초등 지적장애 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은 학생의 장애특성 및 적성과 흥미를 고려하고, 목표달성능력을 감안하여 의사소통능력 향상, 기본적인 생활습관 습득을 목표로 하는 것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초등 지적장애 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의 인식에 관하여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를 비교해보면 대체로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실시 시기에 관해 특수학교 교사는 초등학교 고학년 때에 실시하여야 한다는 응답이 절반 가까이 되는 반면, 특수학급 교사는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시기에 실시해야한다는 응답이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여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들이 특수학급에 있는 학생들보다 중증의 장애가 있는 학생의 비율이 높아 진로 및 직업교육보다 기초기능훈련이나 신변자립기술 등에 대한 교육이 더 필요하기 때문에 특수학급보다 조금 늦게 실시하는 것이 낫다는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받고 싶은 진로 및 직업연수에서는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모두 진로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 연수를 가장 받고 싶어 하나 정도의 차이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수학급 교사들은 경도의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진로 및 직업교육을 실제 실시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여 진로 및 직업교육 방법 및 관련 정보에 대한 연수를 더 희망하고, 특수학교 교사들은 중증의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진로 및 직업교육의 준비단계로 진로 및 직업교육의 개념 및 기초이론에 대한 연수를 특수학급 교사보다 더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교육 배치 환경에 따른 진로 및 직업교육의 방향 및 접근 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밝힌 점과 초등 지적장애 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이나 정책 및 제도 마련,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 점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intellectually disabled elementary student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teachers working at two different types of schools, which are schools for special needs education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s, as an attempt to lay out a desirable direction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80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examine their level of awareness.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frequency and cross-tabulation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believe in the need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those children but there is a lack of adequate teaching materials at schools and in classrooms and that they have to search online or newspapers to find such materials. They also said tha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utside of classroom is more effective that in-class education. Teachers felt difficulties in providing career and vocational training to their students due to their lack of expertise in such training. Moreover, partnership with parents and local communities and psychological testings were not fully utilized. In many cases ITP(Individual Transition Program) was not included in IEP(Individual Educaion Program). The highest priorities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were given on considering students' disabilities, aptitude, and interest, increa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based on their goal-attaining ability, and learning basic life skills. Second, meaningful differences in teachers' level of awareness was found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special school teachers and special needs classroom teachers at general elementary schools. Even though teachers in general shared a consensus in many aspects of career and vocational training for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they differed in their opinions when it comes to the timing of providing such education to their students and the type of training they want to receive as teachers. While almost half of special school teachers answered that career and vocational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higher grade students, the percentag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general schools who answered that such training should be provided at a lower grade and who said it should be provided at a higher grade were quite similar. This is because the intellectual disability of special school students tend to be severer than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at general schools and teachers at special schools believed that students should first acquire basic life skills before getting career and vocational training. And special school and general school teacher want to teacher training of career and vocation education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study understand the fact that career and vocation education of mental retardation elementary student, compare special school teacher's attitude and general school teacher's attitude so following arranged environment method of approach is different then significant career and vocation education of mental retardation elementary student program and policy, providing of related research and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연구 문제 3 C.용어의 정의 4 Ⅱ.이론적 배경 6 A.지적장애 6 B.특수학교와 특수학급 8 C.진로 및 직업교육 12 Ⅲ.연구방법 20 A.연구대상 20 B.연구도구 21 C.연구절차 23 D.자료 분석 방법 23 Ⅳ.연구 결과 24 A.초등 지적장애 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 지도 실태 24 B.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간 인식의 차이 32 Ⅴ.결론 및 논의 45 A.요약 및 논의 45 B.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49 참고문헌 50 부록 54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84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초등 지적장애 학생의 진로 및 직업교육에 대한 실태 및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간 비교-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tatus and teachers' level of awareness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comparison between special schools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s-
dc.creator.othernameYeo,Eun-joo-
dc.format.pagevi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