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윤희-
dc.contributor.author박서진-
dc.creator박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0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4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031-
dc.description.abstract전정기능장애는 노인에게서 유병률이 높은 질환으로 이로 인해 일상생활수행장애 및 낙상 등 대상자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전정기능장애 노인 환자의 효과적인 간호 중재를 위해 어지럼증이 일상생활수행장애, 낙상두려움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정기능장애를 진단받고 치료를 위해 일개 대학병원 이비인후과와 신경과 외래를 방문하는 65세 노인환자로, 102명이 선정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11월 5일부터 11월 29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본 연구 대상자의 어지럼증 평균은 6.10±1.91, 일상생활수행장애는 114.25±53.23, 낙상두려움은 3.06±.56으로 나타났다. 2.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어지럼증과 일상생활수행장애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낙상두려움은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t=-2.533 p=.014), 동거가족이 없는 경우에 배우자가 있는 경우보다 낙상두려움이 더 높게 나타났다(F=3.289, p=.041). 3. 본 연구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어지럼증은 발생빈도, 발생기간, 질환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어지럼 빈도는 지속적인 경우에 일시적인 경우보다 어지럼증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t=-2.173, p=.045). 발생 기간은 1개월 미만인 경우에 1개월 이상인 경우보다 어지럼증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t=2.515, p=.014), 질환종류에서는 말초성 전정기능장애인 경우에 중추성 전정기능장애인 경우보다 어지럼증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F=5.556, p=.005).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수행장애는 어지럼 빈도, 발생기간, 질환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어지럼 빈도는 지속적인 경우에 일시적인 경우보다 일상생활수행장애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t=-3.893, p=.001). 발생 기간은 1개월 미만인 경우에 1개월 이상인 경우보다 일상생활수행장애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t=2.781, p=.006), 질환종류에서는 말초성 전정기능장애인 경우에 중추성 전정기능장애인 경우보다 일상생활수행장애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F=3.961, p=.022). 낙상두려움은 낙상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낙상횟수가 1∼2회인 경우에 낙상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낙상두려움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F=4.205, p=.018). 4. 본 연구 대상자의 어지럼증과 일상생활수행장애(r=.701, p=.000), 낙상두려움(r=.429, p=.000)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일상생활수행장애와 낙상두려움(r=.593, p=.000)간에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전정기능장애 노인 환자의 어지럼증, 일상생활수행장애, 낙상두려움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정기능장애 노인 환자의 일상생활수행을 증진시키고 낙상두려움은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전략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dizziness,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fear of falling in elderly patients with vestibular disorders. The sample consisted of 102 vestibular disorders patients who attended outpatient at the D hospital located in Cheonan-si and Chungcheongnam-do.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th of November in 2013 to 29th of November in 2013.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Vestibular disorder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developed by Cohen(2000), Survey of Activities and Fear of Falling in the Elderly(SAFE) developed by Lachman et al. (199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Tukey’s HS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WIN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was 6.10±1.91 for dizziness. In addition, frequency of dizziness(t=-2.173, p=.045), total duration of symptoms(t=2.515, p=.014), etiology of dizziness(F=5.556, p=.005) were differed significantly for dizziness. 2. The mean score was 114.25±53.23 for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Frequency of dizziness(t=-3.893, p=.001), total duration of symptoms(t=2.781, p=.006), etiology of dizziness(F=3.961, p=.022) were differed significantly for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3. The mean score of 3.06±.56 obtained for fear of falling was considered high. Gender(t=-2.533, p=.014), cohabitant(F=3.289, p=.041), frequency of falls(F=4.205, p=.018) were differed significantly for fear of falling. 4.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izziness and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r=.701, p=.000), and between dizziness and fear of falling(r=.429, p=.000). Similarly,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fear of falling(r=.593, p.=000). In conclusion, patients with vestibular disorders suffered from dizziness,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fear of fall. The level of vestibular disability-ADL, and fear of falling in our patients were high as compared to those in previous studies.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consideration of these related factors is important to develop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relieving these fact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II. 문헌고찰 7 A. 노인 환자의 어지럼증과 일상생활수행장애 7 B. 노인 환자의 어지럼증과 낙상두려움 10 III. 연구방법 13 A. 연구설계 13 B. 연구대상자 13 C. 연구도구 14 D. 자료수집 16 E. 자료분석 17 F. 연구의 윤리적 측면 18 G. 연구의 제한점 18 IV. 연구결과 및 논의 20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0 B.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22 C. 대상자의 어지럼증, 일상생활수행장애, 낙상두려움 26 D.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어지럼증, 일상생활수행장애, 낙상두려움의 차이 28 E.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어지럼증, 일상생활수행장애, 낙상두려움의 차이 31 F. 대상자의 어지럼증, 일상생활수행장애, 낙상두려움간의 상관관계 36 V. 결론 및 제언 38 A. 결론 38 B. 제언 41 참고문헌 42 부록-1 연구 설명서 53 부록-2 연구 참여 동의서 54 부록-3 연구 설문지 55 Abstract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71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전정기능장애 노인 환자의 어지럼증, 일상생활수행장애, 낙상두려움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s among Dizziness,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Fear of Falling in Elderly Patients with Vestibular Disorders-
dc.creator.othernamePark, Seo Jin-
dc.format.pagev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