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옥수-
dc.contributor.author정현선-
dc.creator정현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1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4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19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노인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불안과 우울, 건강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노인 만성질환자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고혈압, 당뇨병, 또는 관절염의 만성질환이 있는 65세 이상 노인으로, 고혈압, 당뇨병, 또는 관절염을 포함한 기타 질병의 치료를 위해 서울시 소재 E대학병원 외래를 방문한 노인 환자 198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3년 10월부터 2013년 11월까지로 연구자가 직접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지의 내용을 설명하고 응답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총 95문항의 설문지로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 12문항, 상태 불안 측정 도구 20문항, 한국형 노인우울검사 30문항, 건강행위 측정 도구 3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OVA,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불안 평균 점수는 40.80±11.77점으로 불안 정도가 대체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 평균 점수는 11.90±6.21점으로 대상자의 37.4%가 경증 이상의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행위 평균 점수는 101.70±2.99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불안은 연령(F=3.231, p=.042)과 약물치료 비용부담감(t=22.020, p<.001), 일상생활 도움필요(t=15.166, p<.001), 주관적 건강상태(F=8.061,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우울은 연령(F=6.021, p=.003), 학력(F=4.894, p<.001), 배우자 유무(t=7.762, p=.006), 동거형태(F=3.425, p=.018), 월 가구소득(F=5.587, p=.001), 약물치료 비용부담감(t=32.973, p<.001), 일상생활 도움필요(t=30.292, p<.001), 주관적 건강상태(F=14.858,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건강행위는 현재 직업 유무(F=3.332, p=.038), 약물치료 비용부담감(t=9.180, p=.024), 일상생활 도움필요(t=9.823, p=.004), 주관적 건강상태(F=9.740,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불안, 우울, 건강행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불안 정도가 높을수록 우울 정도가 높았다(r=.676, p<.001). 불안(r=-.487, p<.001)과 우울(r=-.420, p<.001)정도가 높을수록 건강행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노인 만성질환자의 불안과 우울 정도가 낮을수록 건강행위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인 만성질환자의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건강행위 하부영역인 신체영역, 정서영역, 사회영역, 영적영역 특성을 모두 고려한 포괄적인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xiety,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13. The subjects were 65 years old and over with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and arthritis. 198 old adults voluntarily participated the interview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anxiety, depression, health behavior.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ies, percentage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OVA, Scheffe test, using SPSS WIN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llows; The mean of anxiety was 40.80(±11.77). The mean of depression was 11.90(±6.21), and 37.4% of the participants was mild depression. The mean of health behavior was 101.70(±2.99).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73.0 and 65~74 years old was 61.6%, and female was 77.3%. The level of anxiet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F=3.231, p=.042), the economic burden of medication(t=22.020, p<.001), the assistance needed for daily activities(t=15.166,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F=8.061, p<.001). The level of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F=6.021, p=.003), education(F=4.894, p<.001), existence of spouses(t=7.762, p=.006), living arrangement(F=3.425, p=.018), monthly income(F=5.587, p=.001), the economic burden of medication(t=32.973, p<.001), the assistance needed for daily activities(t=30.292,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F=14.858, p<.001). The level of health behavior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ccupation(F=3.332, p=.038), the economic burden of medication(t=9.180, p=.024), the assistance needed for daily activities(t=9.823, p=.004), subjective health status(F=9.740, p<.001).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nxiety.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were significant. Anxie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r=.676, p<.001). Anxie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behavior(r=-.487, p<.001),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behavior(r=-.420, p<.001). The result of this study repor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he level of anxiety,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for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Based on this results, to promote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the nursing intervention reducing anxiety and depression must be perform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 연구의 목적 4 C. 용어정의 5 II. 문헌고찰 7 A. 노인의 만성질환 7 B. 만성질환자의 불안 9 C. 만성질환자의의 우울 11 D. 만성질환자의 건강행위 13 III. 연구방법 16 A. 연구설계 16 B. 연구대상 16 C. 연구도구 17 D. 자료 수집 기간 및 방법 20 E. 자료분석방법 20 F.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21 G. 연구의 제한점 2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2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 22 B. 대상자의 불안, 우울, 건강행위 26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안, 우울, 건강행위 28 D. 대상자의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불안, 우울, 건강행위 40 E. 불안, 우울, 건강행위의 상관관계 53 Ⅴ. 결론 및 제언 55 A. 결론 55 B. 제언 57 참고문헌 58 부록 69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89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노인 만성질환자의 불안, 우울,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xiety,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dc.creator.othernameJeong, Hyun Seon-
dc.format.pagev,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