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윤희-
dc.contributor.author이보람-
dc.creator이보람-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35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4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351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개별화된 간호, 간호 만족도와 우울간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첫 뇌졸중 진단 후 6개월 이내, 3일 이상 재원 환자이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9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개별화된 간호는 Suhonen 등(2008)에 의해 수정 보완된 개별화된 간호 측정 도구를 이용하였다. 간호 만족도는 Risser(1975)의 간호 만족도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Hinshaw와 Atwood(1982)에 의해 개발된 환자 만족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우울은 Beck(1967)의 Depression Inventory를 한홍무 등(1986)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에서 번안된 우울 측정 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개별화된 간호, 간호 만족도와 우울은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사후검정은 Tukey HSD로 분석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개별화된 간호, 간호 만족도와 우울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졸중 환자의 개별화된 간호의 평균점수는 113.35점 이었으며, 간호 만족도의 평균점수는 83.20점으로 중간 정도로 측정되었다. 우울은 평균점수 16.67점 이었으며, 우울 증상이 있는 경우는 31.9%로 나타났다. 2. 개별화된 간호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간호 만족도는 연령(r=-.228, p=.027)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경제 상태(F=3.043, p=.021)에 따라서는 상으로 선택한 그룹이 더 높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울은 연령(r=.246, p=.017)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재원기간 중 주보호자(F=2.574, p=.032)에 따라서는 배우자가 주 보호자인 경우 우울 점수가 더 낮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개별화된 간호는 진단명(F=4.780, p=.011)에 따라 뇌출혈 그룹 보다 기타 그룹이 더 높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입원 기간(r=-.236, p=.022), 뇌졸중 중증도(r=-.262, p=.011), 일상생활 수행 능력(r=.440,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 만족도는 입원기간(r=-.281, p=.006), 뇌졸중 중증도(r=-.281, p=.006), 일상생활 수행 능력(r=.479,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우울은 입원 기간(r=.241, p=.020), 뇌졸중 중증도(r=.402, p<.001), 일상생활 수행 능력(r=-.469,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당뇨병을 동반한 경우(t=-2.904, p=.039)에 우울 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개별화된 간호(r=.809, p<.001) 및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간호 제공(r=.763, p<.001), 개별적 특성에 따른 요구의 이해(r=.785, p<.001)와 간호 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 개별화된 간호(r=-.542, p<.001) 및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간호 제공(r=-.442, p<.001), 개별적 특성에 따른 요구의 이해(r=-.597, p<.001)와 우울, 간호 만족도와 우울(r=-.623,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개별화된 간호는 뇌졸중 환자의 간호 만족도와 뇌졸중 후 우울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간호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뇌졸중 후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개별화된 간호 중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ized care,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stroke. The subjects were 94 patients with stroke admitted at the E hospital located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1th/ 2013 to October/ 11th/ 2013.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based on the individualized scale developed by Suhonen et al. (2008), the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scale developed by Hinshaw & Atwood (1982), and the depression scale developed by Beck(1967).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WIN 21.0 Program.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was 113.35(SD=±24.01) for individualized care and 80.20(SD=±11.01) for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16.67(SD=±9.40) for depressio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31.9%.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ized care 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nd age (r=-.228, p=.027).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depending on the financial status(F=3.043, p=.021). De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age (r=.246, p=.017)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main caregiver (F=2.574, p=.032.) 3. Individualized care was correlated with length of stay (r=-.236, p=.022,) functional status (r=.440, p<.001,) and severity of stroke (r=-.262, p=.011.) And, the correlation with these variables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by different types of stroke (F=3.838, p=.025) was higher with the hemorrhage group than was the case with othe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subgroups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while it als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length of stay(r=-.281, p=.006), functional status(r=.479, p<.001), and severity of stroke(r=-.281, p=.006.) Depres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length of stay(r=.241, p=.020), the functional status(r=-.469, p<.001), and the severity of the stroke(r=.402, p<.001.) Higher level of the severity with depression was apparent when accompanied by diabetes mellitus (t=-2.904, p=.039,) and the difference in severity her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4. The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ized care and the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r=.809, p<.001) was positive, while th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r=-.542, p<.001,)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nd depression (r=-.623, p<.001) was negativ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 mentioned above, the perceived individualized care was reported to have correlations with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nd depr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dividualized nursing care interventions to increas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while decreasing depression for patients with strok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정의 4 Ⅱ. 문헌고찰 6 A. 뇌졸중 환자의 우울 6 B. 개별화된 간호와 간호 만족도 10 Ⅲ. 연구방법 12 A. 연구설계 12 B. 연구대상 12 C. 연구도구 13 D.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15 E. 자료 분석 방법 16 F. 연구의 제한점 17 G. 윤리적 고려 17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8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8 B. 연구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20 C. 연구 대상자의 개별화된 간호,간호 만족도와 우울 22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개별화된 간호,간호 만족도와 우울 25 E.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개별화된 간호,간호 만족도와 우울 29 F. 개별화된 간호, 간호 만족도와 우울간의 관계 34 Ⅴ. 결론 및 제언 36 A. 결론 36 B. 제언 39 참고문헌 41 부록-1 49 부록-2 50 부록-3 51 Abstract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89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뇌졸중 환자의 개별화된 간호, 간호 만족도와 우울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dividualized care,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stroke-
dc.creator.othernameLee, Bo Ram-
dc.format.pagev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