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3 Download: 0

노인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과 인지기능 및 우울과의 관계

Title
노인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과 인지기능 및 우울과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s between Elderly Stroke Patient’s Dysphagia,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Authors
김정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옥수
Abstract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고 환자의 기능회복을 느리게 하며,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지장을 주며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임상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인지기능 및 우울의 관계를 파악하여 연하곤란 환자에 대한 간호중재를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E 대학병원 1개, 2차 종합병원 1개에 입원중인 65세 이상의 노인 109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연하곤란 정도는 연하곤란 임상 척도(Clinical Dysphagia Scale)를, 인지기능은 K-MMSE(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를, 우울은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 GDSSF-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13년 10월 23일부터 2013년 11월 21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sion 20.0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OVA,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연하곤란은 평균 49.36(±22.76)점이었으며 인지기능 점수는 평균 20.71(±5.79), 우울 점수는 평균 5.99(±4.36)점으로 우울군이 82명(75.2%)이었다. 2. 연구 대상자의 연하곤란 정도는 유병기간(F=2.77, p=.031), 마비부위(F=8.44, p<.001), 연하재활치료(t=3.21, p=.002)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3. 연구 대상자의 인지기능은 연령(F=13.22, p<.001), 직업유무(t=6.36, p<.001), 유병기간(F=4.59, p=.002), 마비부위(F=6.79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연구 대상자의 우울은 유병기간(F=4.42, p=.002), 마비부위(F=3.05, p=.032), 연하재활치료(t=2.07, p=.041)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5. 연구 대상자의 연하곤란 정도는 인지기능(r=-0.473, p<.001)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우울(r=.269, p=.004)과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노인 뇌졸중 환자의 연하곤란 정도는 평균 49.36(±22.76)점으로 인지기능 및 우울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하곤란은 매우 중요한 뇌졸중의 증상 중 하나이므로 연하곤란 환자 간호시 인지기능과 우울 정도를 고려한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elderly stroke patient’s dysphagia,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Data was collected from one university hospital and local general hospital in Seoul, from October 23th to November 21th in 2013. There were 10 subjects involved in this study. The study involved a questionnaire with 63 total items, which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 General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13), dysphagia (8), depression-related (15), cognitive fuction (27).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ANOVA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Version 20.0 software. post check was done by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were as following. 1. The average participant’s dysphagia index was 49.36(±22.76). The cognitive function score was 20.71(±5.76). The average depression score was 5.99(±4.36). 82(75.2%)of them were of depression. 2.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duration of illness (F=8.44, p=.031), area of motor deficit (F=8.44, p<.001), and specific dysphagia rehabilitation (t=3.21, p=.002) in dysphagia. 3.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ge (F=13.22, p<.001), employment (t=6.36, p<.001), duration of illness (F=4.59, p=.002), and area of motor deficit (F=6.79, p=.001) in cognitive function. 4.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duration of illness (F=4.42, p=.002), area of motor deficit (F=3.05, p=.032), and specific dysphagia rehabilitation (t=2.07, p=.041) in depression. 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r=-0.473, p<.001) between dysphagia and cognitive function, positive correlations(r=.269, p=.004) between dysphagia and depres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yphagia,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Dysphagia is such a dramatically life-altering symptom of stroke that it cannot be taken lightly. Continued research and nursing education are required for nurses to better effectively manage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