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5 Download: 0

블랙 가죽 소재에 관한 시각적 촉감의 감성 이미지 연구

Title
블랙 가죽 소재에 관한 시각적 촉감의 감성 이미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nsibility images of visual tactility of black leather material
Authors
서정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As design and technology rapidly develops, customers' needs also have diversified and currently sensibility as well as design and functions have come to exert a major influence on purchase decision of products. In particular, sensibility in fashion products must be considered, and even if it is the same design, a variety of emotions can be experienced by tactile sensation. While the proportion of the visual sense among five senses of humans plays an absolute role, the importance of the tactile sense was demonstrated through many studies and when visual and tactile senses are accompanied together, products can be recognized more accurately. It is called as visual tactility, and means experiencing the tactile sense indirectly through the visual sense only without direct touch. Since elements to decide the visual sense are more minute and various than elements to decide the tactile sense, information through the visual tactility is very important. However, as it is true that studies on visual tactility are not enough, it needs to be addressed actively. In addition, since leather fashion is a fashion item to be popular again each fall and has advantages that it's possible to wear in luxurious and various ways, it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fashion items. Especially, as black is the most basic color and is produced steadily in the fashion industry, it will meet consumers' needs by reflecting in products specific senses and emotional images they desire rather than designers' subjective tastes making good use of visual characteristics when designing fashion products of leather material in the future if studies on visual tactility are conducted using the leather material.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studying visual tactility of leather material as any study on visual tactility using leather material has not been conducted until now. The progress process of the current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explored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leather material and visual tactility through relevant books, research reports, and the existing research papers, and examined the effects of material gloss, colors, and texture on senses and sensibility based on preceding studies. Second, we selected adjectives of senses and sensibility which are suitable for expressing leather material and examined the effects of visual elements of black leather material on senses and sensibility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In addition, we investigated differences in sensibility depending on groups and sexual difference and proposed application plans to desig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black material when evaluating leather material, senses are evaluated by surface property than colors and it was found that colors have no effect on sense evalu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enses by visual tactility have the same sense results as those of the tactile sense and that subjects experience a variety of tactile senses by visual information without touching material in pers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visual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Third, it was found that if leather material is heavy, stiff, and hard, they feel 'luxurious' feelings, and if it is thick, heavy, rough, hard, and stiff and has no elasticity, they feel ‘coarse’ feelings as the study found. In addition, it was found if it is heavy, rough, thick, stiff, dry, hard and has no elasticity, they feel sensibility of ‘unique individuality’. Fourth, it was found that gloss has an effect on 'luxurious' sensibility in surface property of black leather material. As ‘luxuriou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unique individuality’, it can be analyzed that the more gloss it has, one recognize it as something unique and individual as well as something luxurious. Fifth,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generally evaluate senses and sensibility by intervals and depth of patterns about surface property as well when evaluating black leather material and senses and emotional images can vary depending on intervals and depth of patterns. Sixth, it was found that an expert group and women recognize material more sensitively than a non-expert group and men a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preferences of the women and the men. Thus, if subjects are composed of expert groups or women when you conduct a study on sensibility evaluation of material in the future, more detailed information will be able to be obtained, and it' necessary to do comparison analysis based on gender when conducting a study of material preference. Seventh, it was found that all the subjects recognize it as natural leather as ‘classical’ sensibility is felt and that they want to buy it as ‘chic’ sensibility is fel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more luxurious it is, the more uniquely they felt. However, while the expert group and women perceive it as not luxurious the more solid it is and perceive it as artificial leather the more coarse it is, the non-expert group and men perceive it as luxurious the more solid it is and coarseness was perceived as close to natural leather. Eighth, ‘chic’ sensibility has differences by gender. It was found while women feel 'chic' sensibility as it is luxurious, natural leather-like and classical, men feel 'chic' sensibility as it is unique and luxurious. Besides, it was found that women perceive it as synthetic leather as it is luxurious and unique and do not want to buy it but men were perceiving something unique and luxurious as synthetic leather but want to buy it as the study found. Namely, it can be analyzed that men value something luxurious and unique, and styles rather than preferring natural leather compared to women. This study tested correlations and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visual elements of black leather material, senses and emotional images and discover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sensibility depending on groups and gender.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studying visual tactility in the future and it will be able to employed usefully in practice so that senses and sensibility which are suitable for each concept can be aroused by estimating senses and emotional images consumers desire and making use of visual elements when designing fashion products of black leather material.;디자인과 기술이 급속하게 진화되면서 소비자들의 니즈(Needs) 또한 다양해지게 되었고 현재는 디자인, 기능뿐만 아니라 감성도 제품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특히 패션 제품에서의 감성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져야 하며, 동일한 디자인이더라도 촉감에 의해 다양한 감성을 경험할 수 있다. 인간의 오감 중에 시각이 받아들이는 비중은 절대적인 위치에 있지만 촉감의 중요성은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으며 시각과 촉각이 함께 동반되었을 때 제품을 더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를 시각적 촉감(Visual Tactility)이라고 하며, 직접적인 터치(Touch)없이 단지 시각을 통해 간접적으로 촉감을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촉각적 촉감을 결정하는 요소보다 시각적 촉감을 결정하는 요소가 더 미세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시각적 촉감에 의한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시각적 촉감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므로 활발하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가죽 패션은 매년 가을이면 돌아오는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고급스럽고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필수 아이템으로 급부상 하고 있다. 특히 블랙은 가장 기본적인 컬러로 패션 업체에서 꾸준히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블랙 가죽 소재를 활용한 시각적 촉감 연구가 진행된다면 향후 가죽 소재의 패션 제품 디자인 시, 시각적 특성을 잘 활용하여 디자이너의 주관적인 기호가 아닌 소비자들이 원하는 구체적인 감각 및 감성 이미지를 제품에 투영시킴으로써 소비자들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아직까지 가죽 소재를 활용한 시각적 촉감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므로 본 연구는 가죽 소재의 시각적 촉감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서적, 연구 보고서, 기존 연구 논문을 통해 가죽 소재와 시각적 촉감에 관한 이론적 이해를 탐구하고,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소재의 광택(Gloss), 색채(Color), 텍스쳐(Texture)가 감각 및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가죽 소재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감각 및 감성 형용사들을 선정하고 이론연구를 바탕으로 블랙 가죽 소재의 시각적 요소가 감각 및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집단 및 성별에 따른 감성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디자인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죽 소재를 평가할 때 같은 블랙 소재일 경우, 색채보다는 표면 특성에 의해 감각을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채는 감각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적 촉감에 의한 감각은 촉각적 촉감에 의한 감각 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피험자들은 소재를 직접 만져보지 않아도 시각적 정보에 의해 다양한 촉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시각적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가죽 소재가 무겁고 뻣뻣하며 딱딱할수록 ‘화려한’ 감성을 느끼며, 두껍고 무거우며 거칠고, 딱딱하고, 뻣뻣하고, 신축성이 없을수록 ‘투박한’ 감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겁고 거칠며 두껍고, 뻣뻣하고, 건조하고, 딱딱하고, 신축성이 없을수록 ‘개성적인’ 감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블랙 가죽 소재의 표면 특성에서 광택은 ‘화려한’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려한’은 ‘개성적인’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광택이 높을수록 화려함을 느끼는 동시에 개성적으로 인지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피험자들은 블랙 가죽 소재를 평가할 때 표면 특성에서도 주로 무늬 간격과 무늬 깊이에 의해 감각 및 감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늬 간격과 무늬 깊이에 따라 감각 및 감성 이미지는 달라질 수 있다. 여섯째, 전문가 집단과 여성은 비전문가 집단과 남성에 비해 소재를 더 민감하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과 남성의 선호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향후 소재의 감성 평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때 피험자들을 전문가 집단 또는 여성으로 구성한다면 좀 더 세분화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소재의 선호도 연구를 진행할 때는 성별에 따른 비교 분석이 필요하다. 일곱째, 피험자들은 모두 ‘클래식한’ 감성이 느껴질수록 천연가죽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련된’ 감성이 느껴질수록 사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려할수록 개성적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 집단과 여성은 견고할수록 고급스럽지 않게 인지하며 투박할수록 인조가죽으로 인지하는 반면, 비전문가 집단과 남성은 견고할수록 고급스럽게 인지하며 투박함은 오히려 천연가죽에 가깝게 인지되고 있었다. 여덟째, ‘세련된’ 감성은 성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여성은 고급스럽고, 천연가죽같으며 클래식할수록 ‘세련된’ 감성을 느끼는 반면 남성은 개성적이고 화려할수록 ‘세련된’ 감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은 화려하고 개성적일수록 인조가죽으로 인지하며 사고 싶어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남성은 개성적이고 화려함은 인조가죽으로 인지하고 있었지만 사고 싶어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은 여성에 비해 천연가죽의 선호보다는 화려하고 개성적인 것, 스타일을 더 중시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블랙 가죽 소재의 시각적 요소와 감각 및 감성 이미지와의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 검정하였고 집단 및 성별에 따른 감성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시각적 촉감 연구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블랙 가죽 소재의 패션 제품 디자인 시, 소비자들이 원하는 감각 및 감성 이미지를 예측하고 시각적 요소들을 활용하여 컨셉(Concept)에 맞는 감각 및 감성을 유발할 수 있도록 실무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