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9 Download: 0

한국 여성의 HDTV 방송영상 피부색에 대한 색채 연구

Title
한국 여성의 HDTV 방송영상 피부색에 대한 색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Womens’ Skin color for HDTV broadcasting images : Focused on Skin Color within an image
Authors
조윤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Since the first introduction of television in 1966, TV has evolved enormously; from monochrome to color screen, now we are inviting high-definition TVs with high resolution of vision and sound. TVs, which delivers video images through our eyes and ears, builds a new paradigm of life as an emotional and sensible media. As TVs evolve, as a consequence, the viewers and consumers are evolving as well; they pursue higher level of sensibility and emotion penetration. One of the key elements of the sensibility is the color; color of broadcasted image needs to be more accurate and precisely tuned. Among many memory colors, skin colors are frequently used and often considered as very important colors in broadcasting. Thus, I conducted the study with the following purpose: First, I am to comprehend the use of skin colors by analyzing the skin colors from various HDTV media sources by Genre and domain. Second, I am to comprehend associated adjectives for skin colors from different HDTV media sources, and through the result, to suggest the proper skin color tone graphs and image scales for HDTV broadcasted images. The procedure of the study is as following: First, I am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DTV with previous studies, and compare the digital elements of color system and skin colors that are used as memory colors. And, as a main analysis tool, comprehend the CIE color system and color tone table and select the proper analysis tool. Second, the primary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skin color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oretical investigation. By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the color range was derived by groups, and then the analysis centered on tone and color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stablish more trustful color range, the comparative analysis among five cardinal colors and relic colors, including the colors dealt with in the preceding studies, has been carried out. Thirdly, on the basis of the primary investigation, I am to perform the correlation between skin colors and the associated adjectives.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associated adjectives by Genre and domain, I suggest the proper skin color tone graphs and image scales for HDTV broadcasted images. There are two sectors i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HDTV broadcasted-image skin color analytic investigation and the suggestion for skin color tone graphs and image scales derived with the analytic data. The conclusion of HDTV broadcasted-image skin color analytic investigation is as following: First, there exist specific tone and color domain in HDTV broadcasted image skin color. Second, After division of adjusted and unadjusted skin colors, I analyze by the tones and color domain. The result indicate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adjusted and unadjusted skin colors both in tones and colors. Third, The skin colors preferred by the viewer and the actual broadcasted skin colors are different. The conclusion of the study on HDTV broadcasted image skin colors and the associated adjectives is as following: First, the adjective usage frequency analysis shows even-distribution. No particular adjective is used more or less than other adjectives. Second, there exists a certain genre that indicates clear mark on frequent selection. Third, through all divisions, more frequent selection was shown in lightness related adjectives. Fourth, I suggest the ton graph with chroma on x-axis and value on y-axis, and the domain of 0~+50 and range of +30~+100. The tone graph is composed with associated adjectives of color tones: reddish, yellowish, bluish, pale, splendor, milky, white and dull. Fifth, I suggest the skin color image scale using the associated adjectives with [dull-white] on x-axis and [yellowish-pale] on y-axis. With the basis of the two axis and high-dimension scale, reddish, bluish, splendor, milky and dark can be located respectively. The scale can be sectored into four areas. Yellowish, milky, splendor and white are located in area1. Yellowish, reddish, dull are located in area 2. dull, dark and pale are located in area 3. Pale, bluish and white are located in area 4. In this study, I managed to find color domains of HDTV broadcasted image skin colors with the distinction by genre and area. with the previous result, the skin color tone graph and image scale could be drived. Through the conclusion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I expect contribution of this study as a suggestion of proper skin color adjustment and standard.;1966년 최초로 등장한 TV는 지금까지 수많은 발전을 이룩해 왔다. 흑백에서 컬러 TV를 지나 고화질, 고해상도, 고음향의 HDTV의 시대를 맞이한다. 눈과 귀를 통해서 영상 이미지를 전달하는 TV는 감성적이고 감각적인 미디어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그만큼 그것을 받아드리고 느끼는 시청자들의 감성은 날로 세밀해지고 고차원적으로 발전되었다. 그 발달로 인해 방송영상 색채에 대한 사용은 더욱 정교해져야 한다. 방송 영상에 있어 질을 판단하기 위한 도구로서 기억색을 사용한다. 기억색 중 피부색은 TV에 빈번하게 나타나는 색으로서 영상에서 중요한 색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HDTV 방송영상 피부색의 장르별, 영역별 분석을 통해 피부색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본다. 둘째, 피부색에 대해서 느껴지는 감성형용사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통해 HDTV 방송영상 피부색의 톤 그래프와 이미지 스케일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HDTV의 특성에 대해서 문헌조사 및 기존 선행 연구 자료를 통해 살펴본다. 디지털 색채 요소로써 사용되는 체계와 기억색으로 사용되는 피부색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본 연구의 주요 분석도구로서 CIE 색체계와 색조표에 대해서 살펴보고, 적합한 분석도구를 선정하였다. 둘째, 이론적 조사를 바탕으로 피부색에 대한 1차 실증적 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톤 그래프와 색도 그래프를 통해서 색을 분석하고 세부적으로 장르별, 영역별로 나눠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1차 조사를 토대로, 피부색과 감성형용사의 관계에 대해 실증적 조사를 진행하였다. 감성형용사의 빈도분석을 진행하여 장르별, 영역별 분석 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HDTV 방송영상 피부색의 톤 그래프와 이미지 스케일을 제작하여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첫째, HDTV 방송영상 피부색의 색채 분석 조사이다. 둘째, HDTV 방송영상 피부색과 감성형용사의 관계를 분석한 후 피부색의 톤 그래프와 이미지 스케일을 제안한다. 먼저 HDTV 방송영상 피부색에 대한 색채 분석 조사의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HDTV 방송영상의 피부색을 색채 분석한 결과 각 장르별 톤 영역과 색상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HDTV 방송영상의 피부색을 기준을 정하여 연출과 비연출의 영역으로 분리한 후 톤과 색상 영역에 대해 분석한다. 그 결과 영역별로 톤 영역과 색상 영역이 따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청자가 선호하는 피부색의 영역과 실제 방송되고 있는 피부색의 영역은 다르게 나타난다. HDTV 방송영상의 피부색과 감성형용사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HDTV 방송영상의 전체 장르별 감성형용사의 빈도는 대체로 비슷한 범위를 나타낸다. 둘째, 감성형용사에 대해 뚜렷한 선택빈도를 보이는 HDTV 방송영상 장르가 존재한다. 셋째, 장르의 특성을 고려해서 구분된 연출과 비연출 영역 모두, 밝기 요인에 높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넷째, X축을 채도(Chroma)로 하고 Y축을 밝기(Value)로 한 피부색의 톤 그래프를 제안한다. X축 채도의 범위는 0~+50, Y축 밝기의 범위는 +30~+100으로 한다. 톤 그래프는 피부색에 대한 감성형용사 붉다, 노르스름하다, 푸르스름하다, 창백하다, 화사하다, 뽀얗다, 희다, 칙칙하다로 구성한다. 다섯째, 감성형용사를 이용한 피부색의 이미지 스케일을 제안한다. 가로축은 칙칙하다-희다, 세로축은 노르스름하다-창백하다를 둔다. 두 축을 기준으로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한 위치를 지정하여 붉다, 푸르스름하다, 화사하다, 뽀얗다, 까맣다를 각 구역의 특성에 맞게 배치한다. 구역은 총 4구역으로 나눈다. 1구역에는 노르스름하다, 뽀얗다, 화사하다, 희다가 위치한다. 2구역은 노르스름하다, 붉다, 칙칙하다가 위치한다. 3구역은 칙칙하다, 까맣다, 창백하다가 위치한다. 4구역에는 창백하다, 푸르스름하다, 희다가 위치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HDTV 방송영상 피부색에 대해 장르별, 영역별로 색채 범위를 찾아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피부색의 톤 그래프와 이미지 스케일을 제작했다. 이 제작된 결과는 HDTV 방송영상에 대한 색채의 기준을 제시함으로서 영상제작의도에 맞는 피부색을 연출하고 기초자료로써 사용될 것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