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칼 융의 페르소나를 중심으로 한 무용창작작품「타인의 굴레」에 관한 연구

Title
칼 융의 페르소나를 중심으로 한 무용창작작품「타인의 굴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The confines of others」focused on Carl Jung's Persona
Authors
조희경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Human cannot be free from others because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life affect very great influenced to the value of individual’s existence. Human who are unable to live alone within huge group called society become to confirm own existence and value by forming interdependence each other while making relation with others, and suppress own desires and instincts so as not to offend established rules and norms of the society. Carl Gustav Jung (1875〜 1961), psychologist, defined that facing others with false personality instead of original own figures when forming interdependence with others in the group society like ‘Persona.’ Persona meaning masks contains the concept of superficial figures looked by others, that is, all external things such as social roles and position, dignity, etc, and it corresponds to necessary behavioral patterns to everybody so as to manage livings with others while adapting to the society, and the element of personality existed in human unconsciousness instinctively as well. Jung called instinctive patterns of behaviors to collective unconsciousness having been come out from being born in this way, and he said that Persona which was one of them had risks of making inner instincts lost if being absorbed in too excessively even though it made individuals adapt to the society and did positive roles in sustaining group system. As modern society has been changed and diversified quickly, Persona kept to one person has been increased continuously, and the phenomenon of being indulged in excessively have been displayed gradually owing to appetites on high social position and recognitions from others. Thus, researcher arranged a dance like 「The confines of others」with the subject of Persona by Jung, and then analyzed it. In content aspects, this study composed developments of Persona formed in personal unconsciousness into total 4 chapters according to human’s growth processes, and then expressed them to forms of various movements. Regarding to analysis on the work was made by dividing it into subject and contents of each scene, uses of stage space and movement, and costumes and object, and its results are same as follows. Chapter 1 expressed the figures of most primitive, pure inside in human life as a scene of describing awareness world in babyhood having been just separated from parents. In order to display faithfulness on instincts steamed from oneself without other’s intervention, the study restricted spatial uses by shining top lighting in front of stage right, and directed the focal point vaguely so as to express consciousness that was not formed well yet. Movements formed sequential developments to arm-leg-trunk from body height that was the lowest, and this shaped growth processes of human having been progressed continuously by composing gradual vertical rises. Also, by making the body curved, soft, and flexible types, the study intended to visualize primitive images of nature state. Chapter 2 was a scene in which Persona became developed by conclud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after advancing to outside world, and this study set up the space of movement by arranging white square frame that was object of symbolizing the society to backside of stage left. By using effect sound like making a noise by crowds along with sound of door opening, the study expressed the start of others’ interventions while inner space having been blocked was collapsed, and it symbolized advance to outside world through the actions of slowly stalking along with the intended road lighting connected to backside of stage left from front of stage right. Also, this study intended to highlight images of inflexible society by shining square lighting to object and making characteristics of linear and mechanical movements. By using equal rhythms of moving intervals, the study displayed figures of human who conformed to standardized society. Chapter 3 was the expanded scene to outside world while Persona was inflated in relations with the society and inner world was suppressed, and this study used the space having been limited to backside of stage left by expanding to the maximum and shining gobo lighting of lattice patterns to overall stage. With widen scope of lighting, movement scope was expanded to the maximum by utilizing the space configuration variously too, and tensions were heightened and destruction of nature was expressed by making large and strong movement zone through quick rotation and high jumping which laid focuses in front of stage right. In addition, this study expressed inner control and suppression state by strongly grasping wrist or ankle simultaneously with movements having been highlighted gradually. Chapter 4 corresponded to a scene that reaffirm inner world and then realized ego having been integrated ultimately, and the study displayed recognition on forgotten self- nature through the dancer who was staring it after falling back one step from the lighting even though round top lighting was shined to front of stage right again at that time same as Chapter 1. This study expressed psychological arousal on enlightenment with very slow speed and heavy movement texture, and exhibited conquest of Persona by finishing the work while sitting down on object and looking at inner scopes. The creative dance work 「The confines of others」intended to deliver the necessity of confirming own existential value through positive independences with others by reaffirming pure inner world having been forgotten to modern people who lived false and superficial life together with searching integrated ego after recognizing self-nature and Persona. ;삶에 있어서 타인과의 관계는 개인의 존재가치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인간은 타인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사회라는 거대한 집단 내에서 혼자서 살아갈 수 없는 인간은 타인과 관계를 맺고 서로 상호의존관계를 형성해 나감으로써 자신의 존재와 가치를 확인해 나아가며, 사회의 정해진 규칙과 규범에 어긋나지 않기 위해 자신의 욕구 혹은 본능을 억제시킨다. 이렇게 집단 사회 안에서 타인과 상호관계를 형성할 때에 본래의 자기 모습이 아닌 거짓된 인격으로 타인을 대하게 되는 것을 심리학자인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은 ‘페르소나(Persona)’라 정의하였다. 가면이란 뜻의 페르소나는 남들이 보는 개인의 표면적 모습, 즉 사회적 역할이나 지위, 체면 등 외적인 모든 것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사회에 적응하고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누구에게나 필요한 행동양식이며 인간의 무의식 속에 본능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인격의 요소이다. 융은 이렇게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나오는 본능적인 행동양식을 집단무의식이라 하였고, 이중에 하나인 페르소나는 개인을 사회에 적응시키고 집단의 체제를 유지하는데 긍정적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이에 지나치게 몰두하게 되면 내면의 본성을 상실하게 되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하였다. 현대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다양화됨에 따라 한 개인이 소유하는 페르소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높은 사회적 지위와 인정에의 욕구로 인해 페르소나에 지나치게 빠져드는 경향이 점차 더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융의 페르소나를 주제로 무용창작작품「타인의 굴레」(2013)를 안무하였고, 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내용적 측면에 있어 개인의 무의식 안에서 이루어지는 페르소나의 발달과 극복의 과정을 인간의 성장과정에 따라 총 4장으로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이를 다양한 움직임의 형태로 표현하였다. 작품에 대한 분석은 각 장면의 주제 및 내용, 무대 공간 사용 및 움직임, 의상 및 오브제로 나누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장은 부모로부터 막 분리된 유아기의 무의식 세계를 묘사한 장면으로 인간 삶에 있어서 가장 원초적이며 순수한 내면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타인이 개입하지 않으며 오로지 자신 안에서 피어오르는 본능에만 충실함을 나타내기 위해 하수 앞에 탑 조명을 비추어 공간의 사용을 제한하였으며, 아직 의식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위해 초점을 불분명하게 연출하였다. 움직임은 가장 낮은 신체높이에서 팔-다리-몸통으로의 순차적 발전을 이루며 점차적으로 수직 상승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계속적으로 진행되는 인간의 성장과정을 형상화하였다. 또한 신체를 곡선적이며 부드럽고 유연한 형태로 만들어냄으로써 자연 상태의 원시적 이미지를 시각화하고자 하였다. 2장은 외부세계로 나아가 타인과 관계를 맺음에 따라 페르소나가 발달하게 되는 장면으로 사회를 상징하는 오브제인 흰색 사각 틀을 상수 뒤쪽에 배치하여 움직임의 공간으로 설정하였다. 문이 열리는 소리와 함께 군중들이 웅성웅성거리는 효과음을 사용하여 차단되었던 내면의 공간이 무너지고 타인이 개입하기 시작함을 표현하였으며, 하수 앞쪽에서 상수 뒤쪽으로 이어지는 의도된 길 조명을 따라 천천히 걸어 나아가는 동작을 통해 외부세계로의 진출을 상징화하였다. 또한 오브제에 사각의 조명을 비추고 직선적이며 기계적인 움직임의 특질을 이루어내어 경직된 사회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박자사용에 있어 동작구의 속도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정형화된 사회에 순응하는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3장은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페르소나가 팽창하여 내면세계가 억압되고 외부세계가 확대되어지는 장면으로 무대 전체에 창살무늬의 고보조명을 비춤으로써 상수 뒤쪽으로 제한되었던 공간을 최대로 넓혀서 사용하였다. 조명의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공간구성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동작의 범위 또한 최대한으로 확장시켰으며, 하수 앞에 초점을 둔 빠른 회전과 높은 점프로 크고 강한 동작구를 만들어내어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본성의 소멸을 표현하였다. 또한 점점 고조되는 움직임과 동시에 손목이나 발목을 강하게 움켜쥐어 자유로운 동작의 흐름을 제한시킴으로써 내면의 통제와 억압의 상태를 나타내었다. 4장은 내면세계를 재인식하고 마침내 통합된 자아를 실현하는 장면으로, 이때 1장과 동일한 둥근 탑 조명을 하수 앞쪽에 다시 비추되 조명으로부터 한걸음 물러나 이를 응시하고 있는 무용수를 통해 잊고 있었던 자기본성을 지각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매우 느린 속도와 무거운 움직임의 질감으로 깨달음에 대한 심리적 각성을 표현하였고, 오브제 위에 앉아 내면의 영역을 바라보며 작품을 마무리함으로써 페르소나를 극복함을 나타내었다. 무용창작작품「타인의 굴레」는 거짓되고 표면적인 삶을 사는 현대인들에게 잊고 지내던 순수한 내면세계를 재인식시킴으로써 자기본성과 페르소나를 모두 인지하고 통합된 자아를 탐색하여, 타인과의 긍정적 상호의존관계를 통해 자신의 존재적 가치를 확인해 나아가야할 필요성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