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음악 중재를 적용한 국내 단일대상연구의 체계적 고찰

Title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음악 중재를 적용한 국내 단일대상연구의 체계적 고찰
Other Titles
A systematic review of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using music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2000~2013
Authors
안성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음악 중재를 적용한 단일대상연구를 분석하여 연구의 전반적인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에 따라 1980년부터 2013년 상반기까지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지 또는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단일대상연구 중에서 음악적 중재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장애아동 연구 총 21편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대상자의 장애 유형으로는 지적장애가 38.1%(총 8편)로 가장 많았으며 레트장애와 같이 인구학적 수가 적은 희귀 장애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다양한 대상자의 장애 유형과 특성을 반영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의 학문적 배경으로는 음악치료 전공자가 38.1%(총 8편)로 가장 많았고, 두 번째로 많은 전공분야는 특수교육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과거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가 특수교육 분야와 함께 성장해 온 역사적 배경이 작용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반복측정을 실시한 연구는 부재하였으며 일반화와 중재충실도는 19%, 사회적타당도는 14.8%의 연구에서 확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의 종속변인인 목표행동의 특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발달영역에서 차지하는 목표행동의 분류로서 사회∙정서 영역이 42.9%로 가장 많았고, 신체·운동 영역에 대한 연구가 게재되지 않아 장애아동의 발달영역 및 목표행동에 대한 연구 분포의 확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연구의 독립변인인 음악적 중재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음악 중재 방법은 리듬악기 연주로 나타났으며, 노래토의하기는 가장 적게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의 제공 형식은 녹음음악에 비해 라이브 음악이 보다 선호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장애 유형별로 음악 중재의 제공 형식에 차이점을 보였는데, 지적장애 아동은 라이브의 활용이 많은 반면, 자폐성장애와 발달지체 아동의 경우 라이브와 녹음음악의 비중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연구자의 학문적 배경에 따른 차이에서는, 음악치료를 전공한 연구자의 연구에서는 노래부르기, 신체표현하기, 악기연주하기 등 중재활동을 비교적 고르게 사용하며, 비전공 연구자에 비해 창작하기와 노래토의의 방법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음악치료 전공자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녹음음악의 사용이 드물게 나타났다. 네 번째로 목표 행동에 따른 음악적 중재의 적용을 알아본 결과, 사회·정서영역을 위한 음악적 중재는 대부분의 음악중재 방법이 고르게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언어·의사소통 영역에서는 자극조건으로서의 감상과 적극적 감상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지각·인지영역, 상동행동 영역, 공격행동 영역의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방법의 음악적 중재를 적용하고 있어, 각 목표행동에 따라 음악적 중재가 다양한 방식과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첫째, 단일대상연구에 대한 학계의 관심과 인식의 제고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둘째, 다양한 장애 유형과 특성에 따른 다양한 목표 행동 영역 및 그에 맞는 효과적인 중재를 검증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요구된다. 셋째, 단일대상연구는 동질 집단을 구성하기 어려운 장애아동 대상의 개별화된 특성을 반영하는 연구방법이며, 이를 적용하여 중재의 효과에 대한 근거 데이터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장애 유형 중 인구학적 수가 많지 않고 특수성을 띄는 희귀장애에 관한 단일대상연구가 확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중재 효과에 대한 일반화 및 사회적 타당도에 대한 검증을 통해 연구의 질적 수준과 타당도 제고가 요구된다고 논의하였다.;This study is to review music intervention studies using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findings, the study aims to present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as well as highlight the need for such research. As such, out of the studies that were published in journals registered with or are in line to be registered with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from the 1980s through the first half of 2013, 21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studies involv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used music intervention as independent variable were chosen for analysis as target stud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general review of the target studies revealed that the most common type of disability in children as subjects of research was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38.1% (8 studies). The most common background for study authors was music therapy with 38.1% (8 studies). The second most common educational background was special education. This could be seen as a reflection of the fact that the field of music therapy grew in conjunction with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hen analyzing the quality levels of the studies, it was found that multiple baseline experimental design across subjects was employed the most. There were no studies that had carried out repeat measurements, generalization and measure of intervention fidelity was found in 19% of the studies, while social validity was observed in 14.8%. Second, an analysis of the dependent variable that is the target behavior revealed that the most common categorization of target behavior in development areas were the areas of social and emotional with 42.9% of the studies. Not one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physical and exercise areas, suggesting a need for a more balanced study on the different development area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alysis of target behavior by disability showed that target behaviors were set according to the disability type. Third, when looking at music intervention that w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most commonly used music intervention type was through playing percussion instruments, whereas song discussion was used the least. The preferred method of providing music was through recorded music over live music. An analysis of music intervention by disability type revealed that more than one type of music-based intervention was used in most studies.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type of music intervention based on disability type either recorded music was played much more or in similar amounts to live music to most children. As for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study authors, in case of those who studied music therapy, different types of music intervention were used in similar amounts, and compared to those who hadn’t studied music therapy, they also employed creative making and song discussions. Study authors with music therapy backgrounds rarely used recorded music, whereas in the case of those without music therapy backgrounds, recorded music and live music were used in similar amounts. Fourth, in reviewing the the application of music therapy based on target behavior, it was found that in case of music therapy for social and emotional aspects, most types of music therapy were used in similar amounts, while in the areas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listening to music as a stimulation and active listening were also employed. Studies on the areas of perception and cognition, stereotyped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each applied different types of music intervention. This showed that various combinations of music intervention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ways depending on target behavior. Based on such findings, this study first, discussed the need for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in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es. Second, found there was a need for studies on the effect of intervention for a wide range of disabilities. Third, discussed the need for an improved scientific process that faithfully measures qualitative factors and compile qualitatively superior dat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