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09 Download: 0

실내조명의 색과 조도에 따른 감정 상태에 관한 연구

Title
실내조명의 색과 조도에 따른 감정 상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fluence of Lighting Color and Illuminance on Mood state.
Authors
박진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Everyday, we build experiential knowledge base through lightings and colors unknowingly. Lightings and colors are highly influential in our lives and the significance of it is beyond our expectation. And, our emotions and actions are not exempted from its influence. Chromatic lights, the combination of light and color, can be controlled as a form of interior lighting. Thus, interior lighting, which is used as an alternative to natural light and defines the atmosphere of interior, is immensely important. As a consequence, related studies in lightings, including its relation to work efficiency, tiredness and concentration, are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 studies on interior lighting’s influence on human emotions and moods are not as actively conducted as other lighting related studies. And, considering today’s lifestyle of human, who spends most of daytime indoor, more studies are needed on the relations between lighting and mood states of human. Thus, in this study, utilizing LED lighting that can change its color and illuminance, I am to find the influence of two core elements of lighting, color and illuminance, in mood states. As a further matter, I am also to examine the level of change in mood states through time of exposure. As a sum, I am to find to influence of lighting color and illuminance in mood states of Human through time of exposure. The procedure of the study is as following: First, I found the physical and sociological definitions and meanings of lighting’s two core elements, color and illuminance. I also found previous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color and illuminance. And, I designed and built the experimental space and the lighting conditions.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mood states conceived through two-dimensional perception, I conducted a survey with the photographs of the lighting conditions. I specifically selected the vocabularies for the mood states from K-POMS: Vigor-Activity, Depression-Dejection, Anger-Hostility, Fatigue-Inertia, Confusion-Bewilderment and Tension-Anxiety, and analyzed the level of changes of moods conceived through the photographs by color and illuminance of the lightings. Third, in order to examine the mood states conceived through three-dimensional perception, I conducted an experiment by changing the color and illuminance of the experimental space, and analyzed the level of changes of mood state by color and illuminance. Then, I compared the changes of mood state in each lighting condition, and made suggestions on effective color and illuminance control for adjustment of mood. There are two sectors i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photograph-based survey (experiment 1) and onsite experiment (experiment 2); I made the comparison of the two sectored conclusions from two individual experiments and derive a final conclusion. The conclusion from the photograph-based survey (experiment 1) is as following: First, the color of lighting affects mood state more than the illuminance. Second, within the two color groups: the negative mood group and the positive mood group, there exist specific colors that trigger or don’t trigger each of the 6 defined mood states. Third, every defined mood has been triggered and enhanced, or diminished and resolved in suspected lighting conditions. Fourth, for Vigor-Activity and Anger-Hostility, the preferred lighting conditions and enhancing lighting conditions are matched. And, for Fatigue-Inertia, Tension-Anxiety and Depression-Dejection, the preferred lighting conditions and diminishing lighting conditions are matched. The conclusion of the onsite experiment (experiment 2) is as following: First, the mood states in the given lighting conditions are affected by both color and illuminance, and yet illuminance is more affective. Second, within the two color groups: the negative mood group and the positive mood group, there exist specific colors that trigger or don’t trigger each of the 6 defined mood states. Third, there exists lighting condition of color and illuminance that enhances and diminishes each mood. Fourth, In blue lighting conditions, in contrast to other colors, Vigor-Activity is enhanced in lower illuminance setting. And, Fatigue-Inertia and Depression-Dejection, in contrast to other colors, is enhanced in higher illuminance setting. Fifth, every defined mood has been triggered and enhanced, or diminished and resolved in suspected lighting conditions. From the conclusions of the two individual experiments, I derive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Unlike experiment 1, which indicated that the color of lighting condition was predominantly affective to mood states, in the real setting (experiment 2), color and illuminance were both affective to mood states and, it was found that illuminance has higher influence. Second, the results from experiment 1 and experiment 2 were matched, where red and blue triggers negative moods and yellow and orange triggers positive moods. However, it is found that green lighting conditions enhance negative moods more in three-dimensional perception (experiment 2) than two-dimensional perception (experiment 1). And, purple lighting condition enhances positive moods more in three-dimensional perception (experiment 2) than two-dimensional perception. (experiment 1) Third, in both experiment 1 and 2, it was found that every defined mood has been triggered and enhanced, or diminished and resolved in suspected lighting conditions. Hereby, as a cumulation of the study, I am to suggest proper lighting conditions: colors and illuminance for adjustments of mood state. To trigger Vigor-Activity, I suggest yellow lighting with high illuminance, and to diminish Vigor-Activity, I suggest orange lighting with low illuminance. To trigger Depression-Dejection, I suggest blue lighting with medium illuminance, and to diminish Depression-Dejection, I suggest yellow lighting with high illuminance. To trigger Anger- Hostility, I suggest red lighting with high illuminance, and to diminish Anger- Hostility, I suggest yellow lighting with high illuminance. To trigger Fatigue-Inertia, I suggest orange lighting with low illuminance, and to diminish Fatigue-Inertia, I suggest yellow lighting with high illuminance. To trigger Confusion-Bewilderment, I suggest red lighting with low illuminance, and to diminish Confusion-Bewilderment, I suggest purple lighting with high illuminance. To trigger Tension-Anxiety, I suggest red lighting with low illuminance, and to diminish Tension-Anxiety, I suggest red lighting with high illuminance. ;우리는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도 끊임없이 빛과 색채를 통해 경험적 지식을 쌓으며 살아간다. 빛과 색채는 우리에게 상상하는 그 이상의 영향을 주고 있으며, 자연히 우리의 심리와 행동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빛과 색의 결합이라 할 수 있는 색광은 우리가 생활하는 실내 환경 내의 조명으로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자연 빛을 대체하고 그 안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조명환경은 매우 중요하다. 그에 따라 최근, 조명환경에 대한 감성 평가 연구 뿐 아니라 실내 공간의 목적에 따라 작업이나 학습 성과도, 피로도, 집중도 등에 효과적인 조명환경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조명환경이 인간의 감정이나 기분 상태에는 직접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실내 공간에서 많은 시간을 생활하는 인간의 감정 조절에 효과적인 조명 색 연구는 필히 수행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롭게 색 구현이 가능한 LED 조명을 활용하여, 실내조명 조성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조도와 더불어 다양한 조명 색이 인간의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각 조명 환경 내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른 각 감정의 변화 정도에 대해 규명하여, 조명의 색과 조도가 인간 감정에 지속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명환경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 빛과 색의 물리적, 사회적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고, 문헌과 기존 연구 사례를 통해 빛과 색으로 인한 생리적ㆍ심리적인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 실험환경 조성을 위한 실험공간과 조명환경을 설계하였다. 둘째, 조명 색과 조도에 대해 평면적으로 느끼는 감정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조명환경 사진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한국판 기분상태척도(K-POMS)에서 추출한 감정 어휘인 활기-활동, 우울-낙담, 분노-적개심, 피곤-무력, 혼란-당황, 긴장-불안을 감정 척도로 선정하였으며, 각 조명환경 사진으로 느껴지는 감정 정도를 감정항목별, 조명 색별, 조도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각 감정 상태 시 선택하고 싶은 조명환경과 각 감정 정도를 증가, 감소시켜주는 조명환경을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사방에서 색을 입체적으로 느꼈을 경우 감정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공간 안에서 조명 색과 조도를 달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실험 조명환경 안에서 유발되는 감정의 정도를 감정항목별, 조명 색별, 조도별로 분석하고, 각 조명환경 안에서의 감정 증감 정도와도 비교하여, 감정 조절에 효과적인 조명 색과 조도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1차 사진설문과 2차 직접실험의 결론으로 나뉘고, 이를 비교한 후, 최종적인 결론을 제시하였다. 먼저 조명환경에서의 감정 상태와 증감 정도에 대한 평면적 느낌을 알아본 1차 사진설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각의 감정을 유발하는 평가 요인으로 조도와 조명 색 중에서 조명 색이 더 큰 작용을 한다. 둘째,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하는 조명 색 그룹 안에서도 각 감정마다 유발시키거나 유발시키지 않는 특정 조명 색이 존재한다. 셋째, 모든 감정은 그 감정이 많이 유발될 것 같은 조명환경에서 더 증가하며, 유발되지 않는 조명환경에서는 그 감정 또한 감소되었다. 넷째, 활기-활동과 분노-적개심 감정이 점차 증가할 거 같은 조명환경을 선택하였고, 우울-낙담, 피곤-무력, 긴장-불안 감정은 점차 감소할 것 같은 조명환경을 선택했으며, 혼란-당황은 증가, 감소할 것 같은 조명환경을 모두 선택하고 싶은 경향을 보였다. 실제로 조명환경 내에서 조명 색과 조도를 입체적으로 경험한 경우의 감정 상태와 증감 정도에 대해 알아본 2차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명환경에서 느끼는 감정은 조도와 조명 색 모두의 영향을 받았고, 그 중 조도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다. 둘째, 긍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하는 조명 색 그룹 안에서 각 감정마다 유발시키거나 유발시키지 않는 특정 조명 색이 존재한다. 셋째, 각 감정을 급감, 급증시키는 조명 색과 조도가 있다. 넷째, B 조명의 환경에서 활기-활동 감정은 다른 조명 색과 반대로 중 조도보다 저 조도에서 더 유발되었고, 우울-낙담과 피곤-무력 감정은 다른 조명 색과 반대로 저 조도보다 중 조도에서 더 유발되었다. 다섯째, 모든 감정은 그 감정이 많이 유발되는 조명환경과 더 증가시키는 조명환경이 일치를 보였으며, 유발되지 않는 조명환경과 감소시키는 조명환경 또한 일치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1차 사진설문과 2차 직접실험에서의 결과를 비교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조명 색과 조도 환경에서 드는 감정이 조명 색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1차 설문과 달리, 실제로는 조도와 조명 색의 영향을 모두 받았으며, 그 중 조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둘째, R, B 조명 색에서 부정적 감정이 들고 Y, O 조명에서 긍정적 감정이 드는 것은 평면적으로 평가한 경우와 입체적으로 경험한 경우가 일치하였다. 한편, G 조명은 입체적으로 느낀 경우가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보다 부정적인 감정이 들었고, P 조명은 입체적으로 느낀 경우가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보다 긍정적인 감정이 유발되었다. 셋째, 사진과 실제에서 모두 각 감정이 유발되는 조명환경은 그 감정이 증가하는 조명환경과 일치했으며, 유발되지 않는 조명환경 또한 그 감정이 감소하는 조명환경과 일치했다. 넷째, 모든 감정항목이 사진보다 실제에서 더 감정의 변화가 큰 것으로 보아, 평면적으로 색을 보았을 때보다 사방에서 입체적으로 색을 접한 경우 인간의 감정에 영향을 더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각 감정 조절을 위한 조명 색과 조도의 조절 방향에 대해 제시하도록 한다. 활기-활동의 감정을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고 조도의 Y 조명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저 조도의 O 조명 색의 조명환경을 조성할 것을 제안한다. 우울-낙담의 감정을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중 조도의 B 조명을, 유발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고 조도의 Y 조명 색의 조명환경을 조성할 것을 제안한다. 분노-적개심의 감정을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고 조도의 R 조명을, 유발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고 조도의 Y 조명 색의 조명환경을 조성할 것을 제안한다. 피곤-무력의 감정을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저 조도의 O 조명을, 유발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고 조도의 Y 조명 색의 조명환경을 조성할 것을 제안한다. 혼란-당황의 감정을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저 조도의 R 조명을, 유발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고 조도의 P 조명 색의 조명환경을 조성할 것을 제안한다. 긴장-불안의 감정을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저 조도의 R 조명을, 유발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고 조도의 Y 조명 색의 조명환경을 조성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인지, 피로도, 작업 수행도 등 작업 관련이나 감성 연구에서 벗어나, 감정 상태에 대해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조명 색과 조도 조절 방향은 긍정적 감정 유도 및 부정적 감정 감소에 도움을 주는 조명환경 조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