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인성-
dc.contributor.author이승화-
dc.creator이승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9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4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3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412-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삭막한 도시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심리성에 의해 발생한 내·외부 공간에 존재하는 가시적 경계를 통해 아카이브와 맵핑의 디자인 방법으로 시각화하여 도시의 비가시적 속성을 드러나게 하며, 비가시적 속성을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는 삭막하고 단절적인 것만이 아니라 결국 서로 이어져 있고 소통하고 있는 긍정적인 면을 찾아내 표현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람들이 편리하고 윤택한 생활환경을 위해 만든 도시는 수많은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공간을 떠나 존재할 수 없듯이 인간 활동의 집합체인 도시도 공간을 떠나 성립할 수 없다. 그러나 도시가 점차 대도시화 되면서 사람들은 자신들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이 현대인에게 단절적 성향으로 점차 확대되었다. 뿐만 아니라 도시공간은 범죄, 경쟁, 인간소외, 비인간화, 혼잡 등이 발생하는 사각지대가 되어가고 있다. 이로 인해 도시공간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본 연구는 단절의 심리성이 반영된 도시공간을 내부와 외부의 공간으로 보았다. 내부와 외부의 공간에서의 경계는 가시적인 경계를 통해 도시의 비가시적 속성(도시는 겉으로 보기에 단절되어 보이지만 소통, 연결을 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경계는 각각의 공간을 구분하고 분리(한정역할)한다. 하지만 동시에 경계는 두 공간을 연결(연계역할)하기도 한다. 본 연구자는 도시공간속 사람들의 심리에 의해 발생한 내부와 외부의 공간의 경계를 구분, 분리하는 한정역할로 보았으며 가시적 경계를 통해 드러난 도시의 비가시적 속성은 경계의 연계역할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가 사람들의 심리성이 반영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공간을 외부와 단절하기 위한 내·외부의 공간으로 보고 그 공간을 단절시키는 경계를 통해 도시의 비가시적 속성을 시각화하여 작품화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람들의 단절적인 심리성이 반영된 현대 도시공간에 존재하는 경계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 그 경계를 통해 아카이브와 맵핑의 방법으로 시각화 하여 도시의 비가시적 속성을 드러낸다. 도시의 비가시적 속성이란 보이지 않는 특징으로 도시는 겉으로 보기에는 단절된 경계로 이루어진 공간으로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경계를 통해 두 영역을 서로 이어주며 한정된 공간에서 소통하고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단절된 도시를 긍정적인 측면으로 바라보았고 결국 경계를 통해 각 공간이 구분 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고 소통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내부와 외부의 공간을 단절시키는 가시적인 경계를 아카이브하고 맵핑함으로서 도시공간에 대한 본 연구자의 주장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도시공간의 비가시적 속성에 대한 의미의 발견과 시각화의 가능성을 제시한다.;The study visualizes as design methods of archive and mapping through visible boundary existing in disconnected space by psychology of contemporary men living in a desolate city, so shows non-visible attribute of city, and desires to find and express positive side that the city we are living in is not desolate and disconnected but finally connected together and interacted through this non-visible attribute. The city we live in consists of space. While the city developed for people’s convenient and abundant living environment, people made much space. As human needs space and cannot exist without space, the city, assembly of human activity, cannot come into existence without space. While the city became metropolitaniaztion with development of city, people have made their necessary space and the space by psychological side of contemporary men living in the desolate city has expanded. Crime, competition, human alienation, dehumanization, and congestion are developed fiercely in the city space where grows desolate by development. Contemporary men living in such space feel feeling of uneasiness. The researcher regards the city space reflected by psychology of severance as inside and outside space. In inside and outside space, non-visible attribute(The city looks like disconnected space outwardly, but interacts and connects) is showed. Boundary assorts and separates(restrictive role) each space, but connects(connectedrole) two spaces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 regards boundary of inside and outside space as restrictive role assorting and separating the space, and also regards non-visible attribute of the city showed by visible boundary as connected role of boundary. Therefore, the study examines boundaries existing in modern city space reflecting people’s punctuated psychology, and visualizes by methods of archive and mapping through these boundaries so shows non-visible attribute of the city. Non-visible attribute ofthe city is a blind characteristic. The city looks like space by disconnected boundaries outwardly, but in fact, connects two territories each other through boundaries, communicates in limited space, and is connected organically. The researcher looks disconnected city in a positive way, and finally, shows that each space not is assorted but is connected and communicates each other through boundaries. Archive and mapping are done about visible boundaries making inside and outside space sever, so the researcher’s opinion about the city space is expressed visually. Therefore, discovery of meaning about non-visible attribute of the city space and possibility of visualization are sugges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C. 용어정리 3 Ⅱ. 현대 도시공간 내 경계의 개념적 고찰 5 A. 현대 도시공간의 의미 5 1. 도시공간의 의미 5 2. 단절된 도시공간 7 B. 도시공간 내 경계의 의미와 역할 8 1. 경계의 의미 8 2. 경계의 역할 9 C. 현대 도시공간의 비가시적 속성 11 D. 도시공간에서 경계의 특성을 활용한 작가 및 작품 사례 12 1. 장용근의 가리개 12 2. 미셸 엘름그린 & 잉가 드락셀 13 3. 리사 리서만 Type the sky 15 Ⅲ. 디자인 방법론의 배경과 사례 17 A. 아카이브와 맵핑의 이해 17 1. 아카이브의 정의 17 2. 맵핑의 정의 18 3. 아카이브와 맵핑을 활용한 작가 및 작품사례 21 가. 아리베르슬라워스 & 엘리아위덴브루크의 Exacitudes 21 나. 장용근 25 다. 최정화의 천개의 문 28 라. 온 카와라 Today 29 Ⅳ. 작품제작 및 분석 33 A. 작품제작 의도 및 표현방법 33 1. 작품 주제의 선정과 의의 33 2. 작품의 형식과 의의 34 B. 작품제작 35 1. [이것은 창문이 아니다 I,II] 35 2. [Sky Line] 49 3. [Re_boundary FTA] 58 Ⅴ. 결론 67 참고문헌 69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564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현대 도시공간의 경계에서 비가시적 속성에 관한 시각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아카이브와 맵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visual expression about non-visible attribute in boundary of modern city space : Focused on Archive and Mapping-
dc.creator.othernameLee, Seung-Hwa-
dc.format.pagex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