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보림-
dc.contributor.author변나리-
dc.creator변나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9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8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3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895-
dc.description.abstract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여성의 의복은 여성의 외적인 아름다움을 표현 하는데 주요한 수단으로서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더 나아가 여성으로서의 본질적 자아를 표출할 수 있는 최상의 도구이다. 고대 시대부터 남녀의 의복은 차이를 두었으며 이러한 남성성과 대별되는 의복의 여성미는 사회적 관습으로부터 관념화되어 여성의 내면적 가치와 아름다움을 의복에 투영하여 나타난다. 다시 말해 여성으로서의 내면적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형태와 도구적 수단을 이용하여 여성의 의복에 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현대 패션은 트렌드의 주기가 점차 짧아지고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과 소비자 의 욕구에 따라 매우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특히 현대 여성 의복에 있어서는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에 중점을 두는 가치 소비가 이루어져 브랜드적 구매가 아닌 상품 중심 구매로 소비 트렌드를 옮겨가며 여러 가지 유형으로 변화, 융합,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현대 패션에서는 ‘직물의 귀족’이라 불리우고 섬세함과 화려함을 지닌 여성미를 대표하는 레이스가 주요한 아이템으로 여러 가지 요소의 패션 트렌드와 상호 융합되어 새로운 감각으로 전개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과거 옷깃이나 소매를 장식하는데 사용되었던 레이스가 21세기 현대 패션 디자인에서는 다양한 조형적 특성을 지닌 레이스 의상들로 새롭게 선보여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레이스에 관한 고찰 후, 2006 S/S 부터 2013 S/S 까지의 패션에서 보여진 레이스를 활용한 현대 패션의 사례를 분석하고, 2013 F/W, 2014 S/S 트렌드 자료를 참고하여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소비자 욕구에 대응한 레이스를 활용한 여성복 브랜드 『Rococo』를 런칭하고자 한다. 이 신규 브랜드는 여성미를 강조하고 고급스러움을 추구하는 레이스의 착용 기회의 범위를 넓혀 상품가치를 높이고 이는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함으로서 여성복 시장에 새로운 활성화 방안에 목적을 둔다. 이론적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레이스는 라틴어 'lacium'에서 유래한 것으로 새끼나 끈을 꼬거나 엮어 만든 비치는 문양의 장식을 의미하며 16세기 이탈리아의 베네치아를 중심으로 발전하였음 알 수 있었고, 19세기 기계레이스가 생산되면서 이전에 한정적으로만 쓰였던 레이스가 다양한 곳에 널리 쓰이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었다. 레이스는 제조 방법에 따라 수예 레이스와 기계 레이스로 분류할 수 있었고 현대 산업 사회에서는 의상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레이스가 기계 레이스로 제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대 패션에 나타난 레이스의 문양은 꽃 문양, 애니멀 문양, 기하학 문양, 추상 문양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2006 S/S부터 2013 S/S까지 현대 패션에서 레이스를 활용한 사례를 분석한 결과 레이스가 주요한 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다양한 조형미를 지닌 의상들로 새롭게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레이스는 여성의 신체적 아름다움과 여성미를 표현 하는 수단으로 로맨틱(romantic)&엘레강스(elegance), 모던(modern), 고저스(gorgeous), 캐주얼(casual)과 같은 이미지를 연출하며 다양한 감성을 나타나는데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었고 미적 고유의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의복의 조형 요소인 선, 형과 형태, 색채, 재질을 토대로 레이스의 조형적 특성을 ‘투시성’, ‘율동성’으로 분류하여 도출할 수 있었다. 셋째, 국내 여성복 시장 분석을 통하여 현재 여성복 시장은 다양한 감도, 컨셉, 타깃으로 시장이 세분화 되고 있으며 현대 패션은 브랜드 지향적 구매가 아닌 상품 중심 구매로 소비 트렌드를 옮겨 감에 따라 각 브랜드의 고유의 독창적 아이텐티티를 통한 차별화가 무엇보다도 중요시 여겨짐을 알 수 있었다. 2013 F/W, 2014 S/S 패션 트렌드 분석을 통해 여성 컬렉션에서의 레이스의 표현을 살펴본 결과 시즌리스(seasonless)개념이 확대 되면서 레이스도 이에 따라 전 시즌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었고, 장식의 주 소재로 트렌드 소재와 컬러를 적절히 믹스하여 여러 가지 유형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을 토대로 패션 트렌드를 반영한 2014 F/W 시즌 컨셉 “Layered Lace Mix”를 테마로 설정하고 테마에 맞는 상품을 총 8개로 제작하였다. 이론적 연구와 조사분석을 토대로 상품 디자인 개발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무늬를 포함하고 있는 레이스를 다른 재질의 이질적인 소재와 믹스 매치하여 다채로운 연출을 가능하게 하였고, 여성미를 강조한 실루엣에 강한 장식성을 결합하여 모던(modern)&엘레강스(elegance)의 감성을 추구 할 수 있었다. 둘째, 유채색(chromatic color)을 제외함으로써 차분한 이미지를 연출하였고 레이스가 가진 투시성, 율동성의 조형적 특성을 반영하여 흥미롭고 변화 있는 느낌을 연출할 수 있었다. 셋째, 작품에서 사용된 케미컬 레이스는 본래의 섬세하고 유연한 시각적 이미지보다 비침 구멍이 있는 보통의 일반 직물로 보이게 하는 특징이 있었고, 엠브로이더리 레이스는 자유로운 무늬의 표현이 가능하여 무늬를 표현하는데 있어 한 폭의 그림과 같은 회화적인 느낌을 살려 시각적 다양성을 더할 수 있었다. 넷째, 불규칙적인 컷팅과 구조선을 장식선으로 활용하거나 레이스를 사용한 부분과 사용하지 않은 부분의 면적비를 연출한 결과 모노톤의 단조로움을 극복 하면서 통일감 있는 변화를 추구할 수 있었다. 다섯째, 단위 형태의 레이스를 아플리케(applique)기법으로 입체적인 효과를 주었으며 안감에 레이스 문양 DTP기법을 사용하여 부가가치를 부여할 수 있었다. 여섯째, 포멀(formal)한 실루엣에 레이스를 표면에 드러나게 연출하여 착용 할수 있는 범위를 넓힐 수 있었고 이는 레이스만의 차별성으로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레이스는 문양과 구조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고 장식적이며 시각적인 다양성은 다른 분야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레이스만의 조형적 특징을 갖게 한다. 따라서 레이스는 디자이너들에게 끊임없이 영감을 제공하며 침체되어 있는 국내 여성 패션 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무한한 디자인의 원천으로 재탄생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현재 국내외 많은 패션 브랜드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레이스를 활용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지만, 브랜드 모티브로 설정한 경우는 없다는 점을 착안하여 제품 경쟁력을 가진 레이스를 활용하여 기존의 세분화 되고 정형화된 시장에 새로운 틈새시장을 개척할 수 있으며 브랜드의 고유의 아이덴티티와 독자적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앞으로 레이스에 관련한 후속 연구가 심도 있고 체계성 있게 확대 전개되길 기대하며, 레이스를 활용한 브랜드 제품이 보다 새롭고 다양하게 제안되길 기대한다. 또한, 차별화된 컨셉과 정체성을 유지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한 신규 여성복 브랜드가 계속 등장하여 여성복 시장에 활력을 불어 넣어 주기를 기대한다.;From the past to present day, women’s clothing has been a significant mean to express women’s external beauty, as well as a tool to represent their essential identity as women. Since ancient times, women’s clothing has been different from men’s, and the femininity of women’s clothing has been set by the social custom, and projected women’s internal value and beauty. In other words, the desire for internal beauty has been reflected in women’s clothing as diverse designs and means in the course of time. The cycle of contemporary fashion trends has become increasingly shorter and responded to the change of era and the needs of consumers very quickly. Especially, when it comes to modern women's clothing, customers are pursuing their own values, so the trends of consumption have been changing, integrating and developing in various types, shifting the trends of consumption from brand-oriented to product-oriented. Following the stream, modern fashion shows lace called as a ‘noble of textiles’ with delicacy and extravagance and representing female beauty is combined by fashion trend of several factors as an important item and displayed by new sense. Lace which was used for decoration of collar or sleeves in the past is newly shown as lace clothes with various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modern fashion design of the 21st century. Thus, From 2006 S/S to 2013 S/S in fashion, in this paper I intend to study lace, conduct an analysis on examples of modern fashion in which lace was used, considering 2013 F/W and 2014 S/S trends data, as a response to the mutable needs of consumers, and to launch『Rococo』, a women’s apparel brand in which lace is a substantial material. This new brand aims to prepare new measure of vitalizing the market of female clothes by widening the range of opportunities to wear lace emphasizing female beauty and pursuing luxuriousness, improving the value of products and establishing differentiated brand image.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origin of lace is a Latin word, 'lacium', which means a see-through design made of braiding or weaving straw or strings. Lace was originated in Venice, Italy, in the 16th century. Lace was in limited use before, but came into wide use in the 19th century when machine lace was developed. Depending on how to be made, lace can be classified into handmade lace and machine lace.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most of lace used for clothing is machine lace. Also, patterns of lace in modern fashion were flower, animal, geometry and abstraction. Second, after conducting an analysis on the use of lace in modern fashion from 2006 S/S to 2013 S/S, I discovered that lace had been in the spotlight and newly expressed in various aesthetic garments. Furthermore, as a mean to express women’s physical beauty and femininity, lace creates such images as romantic, elegance, modern, gorgeous and casual, has been a significant element to show a variety of sensibilities, having own aesthetic value. And, based on formative factors of clothes, line, form, type and quality,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lace could be drawn by dividing into two aspects such as ‘penetration characteristic’, ‘dancing characteristic’. Third, through an analysis on women’s apparel market in Korea, I found that women’s apparel market today is undergoing fragmentation base on a variety of sensitivity, concepts and targets. As the trend of consumption in modern fashion is shifting from brand-oriented to product-oriented, it is the most important to differentiate each brand through building unique identity. As found in an analysis on the trends of fashion in 2013 F/W and 2014 S/S, lace has been in extensive use through all seasons, as the concept of seasonless dispreads, and was used in many different forms as a main decorative material mixed with trendy materials and colors. I selected “Layered Lace Mix,” as the theme of 2014 F/W, reflecting the fashion trend based on above results, and created 8 products under the theme. Through the product design development based on research and analysis, my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 mix and match of lace in various designs with different materials of different texture could produce various images, and by combining strong characteristic of decoration to silhouette emphasizing female beauty, sensitivities of modern & elegance could be pursued. Second, Calm image was displayed by excluding chromatic color and interesting and changeable feeling could be displayed by reflect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lace, penetration characteristic, dancing characteristic. Third, chemical lace used in the collection gave a look of common burn-out textile than its original delicate and flexible images. Embroidery lace was able to express free patterns, so it gave picture-like feel, and added visual diversity in expressing designs. Fourth, Irregular cutting and structural line were utilized as a decoration line or ratio of area of parts lace was used and parts lace wasn’t used was displayed. As the result, changes which endure mono-tone monotonousness and have sense of unity could be pursued. Fifth, Lace of unit form is given by three-dimensional effect through the appliqué method and added value could be given to internal texture through the lace pattern DTP method. Lastly, The wearable range could be widened by displaying lace in formal silhouette externally and it could improve the value of product through the lace’s own differentiation. As explained above, lace can be made in a variety of designs and patterns, and its decorative look and visual diversity are unique design features which cannot be found in other materials. Therefore, lace has inspired designers constantly and has been a source of infinite designs and a significant element to bring active energy to depressed domestic women's apparel market. Currently, many fashion brands both in Korea and abroad are launching products using lace in a variety of ways, but no brand has never select lace as a brand motif. Therefore, lace of competitive strength can open up a new market niche in today’s fragmented and structured market, and will attain the brand’s unique identity and competitiveness. Therefore, I expect that in-depth and systematic research on lace will continue in the future, and that more products/brands will suggest fresh and various ways to use lace. Furthermore, I look forward to the launching of many new women’s apparel brands which will bring new energy in women’s apparel market by building brand images through maintaining their unique concepts and ident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3 A. 레이스(Lace)에 대한 고찰 3 1. 레이스의 정의 및 역사 3 2. 레이스의 종류와 특징 12 3. 레이스의 조형적 특성 27 4. 레이스를 활용한 현대 패션의 사례 분석 30 Ⅲ. 제품기획 및 개발 45 A. 정보조사 및 분석 45 1. 패션 시장 분석 45 2. 패션 트렌드 분석 52 B. 브랜드 컨셉 및 포지셔닝 56 1. 브랜드 컨셉 설정 56 2. 브랜드 포지션 설정 60 C. 디자인 개발 계획 62 Ⅳ. 작품제작 67 A. 작품 제작 의도 및 방법 67 B. 작품 및 해설 70 V. 결론 및 제언 141 참고문헌 144 ABSTRACT 1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5286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레이스(Lace)를 활용한 패션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ROCOCO" 브랜드 제품 개발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of Lace : focusing on developing of "Rococo" brand product-
dc.creator.othernameByun, Na Ri-
dc.format.pagevi,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