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은경-
dc.contributor.author박미정-
dc.creator박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8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37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3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3733-
dc.description.abstractThe characteristic of dual personality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shadow theory’ of Carl Gustav Jung (1875~1961). Carl Jung did not consider the dual personality shadow as a negative thing, but rather claimed that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destructive energy to a creative power through self-realization. Based on the two faced personality, the musical 『Jekyll and Hyde』 (1997) depicts both goodness and evil of one person. Dance and musical share similar characteristics of synthetic art, performance art, communication, professional side. Dance in a musical acts as functions of linguistic, conveyance of connotative and rich effect, dramatic effect and by highly contributing in the completion of the musical, it has huge association with i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eative dance performance 『Stranger inside me…』, based on the scenes of 『Jekyll and Hyde』 that portraits dual personality. Analysis was done by observing the musical with total 4 huge scenes in the use of stage, movement, the meaning of objet, and melody. The first scene describes the inner pain through the use of the actor’s dark shadow. This scene was staged in a limited area by using a top light in front of the left stage which represents the wickedness and maximized the internal anxiety and concentration of the audience. Strong and heavy movements were used to express the painful and regrettable emotions. Contracted upper body movement and the sudden movement of lowering one’s body expressed the frustration and despair. Messy hair and dark clothing portrayed the loss of innocence and the domination by the evil. The appearance of an extra actor that signified dark shadow developed the fearsome mood. The second scene depicted the warm and kind personality of Jekyll and started from the center back of the stage which meant the reality. In this scene, right side of the stage was highlighted as an area of goodness, which opposite with the meaning of left stage. The use of the dance facing toward the right stage and the curved route of movement reflected the intended meaning of each stage. The soft and curved movement and light leap, high body movements, extended use of body depicted the free and warm characteristic of the actor. The mirror which is an objet in this play, acts as an instrument to reflect one’s kind personality. Well placed chair symbolically expressed the comfortable and calm inner emotion. Neatly worn white shirt was also used as an object that reflects Jekyll’s goodness. The third scene portrayed the beasty side of personality of Jekyll and was staged in the left part of the stage. Having the movement route focused on the left stage, the movement in this scene is energetic and fast. Lower body movement and contracted upper body expressed the fearsome image. Especially, the strong and fast movement of the fingers of the left hand strengthened the mood of threat and dark desire of the main character. The light was used with gobo stand which developed the brutal and wild insane side of the personality. Unlike the second scene, the chair is fallen to the ground which symbolically showed the unstable emotion. The unbuttoned white shirt expressed the repulsive characteristic. The fourth scene depicted the conflict of two personalities through the conflict between Jekyll and Hyde. The route of movement constantly changes from the right side, goodness, and left side, evil. The movement also continuously changed from strong and lower body level to soft and higher one. Actor expressed the dual personality by moving its eye focus from right and left stage. Mirror was used as an objet which the actor realized the change of oneself. The use of white shirt which the main character buried his face in depicts the inner feeling that he desires his own purity.;우리의 무의식 속에는 본인 스스로 용납할 수 없는 모습들이 억눌러 진채 잠재되어 있다. 이러한 어두운 내면의 모습은 이차적인 인격을 형성하여 또 다른 나로써 존재하며, 그 존재를 부정할 경우 어둠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더욱 짙은 어둠으로 바뀌게 되고 겉으로 표출되기도 한다. 무의식 속의 어두운 인격이 의식적 자아를 누르고 표출되는 현상을 이중인격이라 하는데 이중인격의 특성은 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의 그림자 이론을 바탕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융은 그림자를 부정적으로만 여기지 않고 자기실현을 통하여 파괴적인 에너지를 창조적 힘으로 전환이 가능함을 밝혔다. 이러한 이중인격을 소재로 한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1997)는 선과 악의 두 가지 인격의 모습이 지킬과 하이드를 통하여 보여 진다. 무용과 뮤지컬은 종합예술적 측면, 공연예술적 측면, 소통적 측면, 전문적 측면에서 공통된 특징을 갖고 있으며, 뮤지컬에서 무용은 언어적 기능, 함축적이고 풍부한 효과 전달 기능, 극적 기능의 역할로 뮤지컬의 완성도에 크게 기여하며 많은 연관성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이중인격을 소재로 한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중 이중성이 드러나는 장면을 바탕으로 무용창작작품 「내안의 낯선...」(2012)을 안무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총 4장으로 구성된 작품을 무대공간 사용과 움직임, 오브제의 의미, 음악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작품에 담긴 표현의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장은 자신의 어두운 그림자로 인한 내면의 고통을 표현하는 장면으로 하수 앞쪽에 탑 조명을 이용한 제한된 공간을 사용하여 내적 두려움을 극대화 시키고 집중도를 높였다. 움직임으로는 고통과 후회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강하고 무거운 움직임을 사용하였으며 수축된 상체와 급격하게 신체 레벨을 낮춤으로써 좌절감과 절망감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무용수의 풀어헤쳐진 머리와 검정색 의상은 순수함을 잃어버리고 악에 지배당하였음을 나타내었고 어두운 그림자를 상징하는 찬조출연자의 등장은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2장은 선하고 따뜻한 성품을 지닌 지킬의 모습을 바탕으로 하여 평범한 나를 표현하는 장면으로 현실적 공간을 의미하는 무대 중앙 뒤쪽에서 시작된다. 여기에서 무대공간은 상수 쪽을 선(善)의 영역으로 설정하였으며 무용수의 초점과 곡선적인 이동경로를 상수 쪽을 향하여 사용함으로써 하수와는 대비되는 현실적 선한 공간임을 부각시켰다. 움직임은 부드럽고 곡선적인 움직임과 가벼운 도약, 높은 신체 레벨, 확장된 신체의 사용으로 자유롭고 따뜻한 심성을 표현하였다. 오브제인 거울은 선한 자신을 비춰보는 매개체가 되었고, 바르게 놓인 의자는 편안하고 안정된 내면의 심리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단정하게 입은 흰색 와이셔츠는 선한 지킬의 모습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3장은 거친 동물적 본성을 지닌 하이드의 모습을 바탕으로 한 또 다른 나의 모습을 드러내는 장면이며 하수 쪽을 악(惡)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하수 쪽에 초점을 둔 이동경로를 따라 강하고 빠른 에너지의 움직임을 주로 사용하였고, 낮은 신체 레벨과 수축된 상체로 공포스러운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특히 왼 손의 손가락을 강하고 빠르게 구불거리는 움직임으로 위협감과 어두운 욕망의 분위기를 강조하며 나타내었다. 조명은 어둡고 음산한 느낌의 고보 조명을 사용하여 잔인하고 거친 광기의 표현을 부각시켰으며 오브제인 의자는 넘어뜨려져 불안정한 무용수의 심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그리고 흰색 와이셔츠는 벗어 던져지며 겉모습에 감추어진 추악한 본성이 발현됨을 표현하였다. 4장은 지킬과 하이드가 대결의 구도를 펼치는 모습을 바탕으로 한 이중적인 나의 장면으로 선의 영역으로 설정한 상수 쪽과 악의 영역으로 설정한 하수 쪽을 교차하여 사용하는 이동경로를 보여준다. 움직임은 강하고 낮은 신체 레벨의 움직임과 부드럽고 높은 신체레벨의 움직임을 대비시켜 표현하였으며 무용수의 초점도 상수와 하수 쪽을 번갈아 바라봄으로써 이중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오브제인 거울은 자신의 변해버린 모습을 확인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였으며, 흰색 와이셔츠는 와이셔츠에 얼굴을 묻어버리는 모습으로 순수했던 자신을 갈망하는 내적 심리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자는 무용창작작품「내안의 낯선...」을 통해 의식적 자아가 무의식의 그림자를 인지하여 내면에서 발생되는 파괴적인 에너지를 창조적 에너지로 전환시켜 자기다움, 자기실현으로의 인격 성숙이 이루어 져야 함을 알리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3 Ⅱ.이론적 배경 5 A.무의식과 이중인격 5 1.무의식의 개념 5 2.이중인격의 특성 9 B.무용과 뮤지컬의 관계 12 C.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의 내용 및 특성 16 1.작품배경 및 줄거리 16 2.지킬과 하이드에 나타난 이중인격 19 Ⅲ.무용창작작품 「내안의 낯선...」의 안무의도 22 A.내용적 측면 22 B.형식적 측면 25 Ⅳ.무용창작작품 「내안의 낯선..」에 관한 분석 27 A.주제 및 내용 27 B.무대 공간 사용과 움직임 30 C.오브제의 의미 62 D.음악 64 Ⅴ.결론 72 참고문헌 74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8436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내안의 낯선...」의 이중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duality of 『Stranger inside me...』based on the Musical『Jekyll and Hyde』-
dc.creator.othernamePark, Mi Jung-
dc.format.pagex,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