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기숙-
dc.contributor.author김미레-
dc.creator김미레-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8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37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3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3771-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which is about researcher’s dancing work <Holon>, was studied about the meaning based on what researcher learned and realized from soma experience in the entire process from stage of planning to stage of practice and performance. To do this, the researcher studied change of viewpoint to understand soma in the reference books. Especially, study of ‘Somatics’ was focused on. ‘Practice Based Research’, which is researching based on ‘Somatic data’ that is specifically recorded about experiences learned and felt newly in the entire process including planning, practice, and performance, was used as a method of the research. At the stage of planning, the researcher brought up problem of learning method to satisfy only with visual side, accepted dancer’s feeling or emotional element, and determined this research’s necessity of creation, purpose, and method to show movement of soma. At the stage of practice, the researcher studied movement of soma by doing ‘Somatic learning’, which expands range of consciousness volitionally through movement of soma, awakes unknown territory, and has chances to improve movement of soma. Specifically, inner structure of experiences was studied through warming up focusing on rotation of all joints of soma, repetition of movement pattern, and practice of movement enlargement. These experiences were performed and composed of the first chapter: exploration, the second chapter: immersion, and the third chapter: freedom. As a result, the researcher confirmed lived body by experiencing that soma became a subject, which could feel and move, by using ‘Somatic learning’ in the dancing work <Holon>. Also, the researcher became having confidence in movement through consciousness and awareness; therefore the activeness and spontaneity of soma was appeared increasingly, and natural and comfortable movement passed off. In addition, by being conscious of the principle and course of movement, the research experienced improvement of ballet technique as well. Thus, based on an example of this research, dancers hopefully apply diversely ‘Somatic learning’ to the new choreography method which starts from their soma.;본 연구는 본 연구자의 무용작품 <Holon>에 관한 연구로써, 작품의 구상단계부터 연습과 공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몸의 체험을 통해서 터득하고 깨달은 내용을 기반으로 그 의미를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몸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문헌을 통해 살펴보았고 특히 ‘몸학(Somatics)’에 대한 이해는 본 연구의 기초적인 시각으로 제시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실기를 기반으로 한 연구(Practice Based Research)’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구상과 연습, 공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새롭게 느낀 체험을 구체적으로 기록한 ‘몸적 자료(Somatic data)’를 토대로 연구하였다. 작품의 구상단계에서는 발레의 시각적인 측면만을 충족시키기 위한 학습방법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무용수의 느낌이나 감각적인 요소를 인정하고 그로인해 몸에서 발생되는 움직임을 보여주고자 하여 본 작품의 창작 필요성과 목적, 그리고 방법을 결정하였다. 연습단계에서는 몸의 움직임을 통해서 의지적으로 의식의 범위를 넓혀 나가고 새로운 미지의 영역을 각성하면서 몸의 움직임이 성장하는 기회를 가지는 ‘몸적 학습(Somatic learning)’을 실행하여 몸의 움직임을 탐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몸의 모든 관절의 회전움직임에 집중하여 준비(Warming up)하고, 움직임 패턴을 반복하고, 움직임을 확장시키는 연습단계를 통해서 체험의 내면구조를 탐구하였다. 이러한 체험은 1장: 탐색, 2장: 몰입, 3장: 자유로 구성되어 공연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자는 무용작품 <Holon>에서 몸적 학습을 사용함으로 인해 몸이 직접 느끼고 움직이는 주체가 되는 것을 체험함으로써 생생한 체험의 몸을 확인하였다. 또한 의식과 각성을 통해 움직임에 대한 확신을 가지게 되었고 이는 몸의 능동성과 주체성을 더욱 발현시켜 자연스럽고 편안한 움직임이 저절로 실행되게 하였다. 더불어 움직임의 원리와 과정을 의식하는 것을 통해 발레의 기량 또한 향상되는 것을 체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사례를 토대로 하여 ‘몸적 학습’이 무용가들이 자신의 몸에서 출발하는 새로운 안무 방식으로 보다 다양하게 적용되길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방법 및 절차 5 1. 연구방법 5 2. 연구절차 6 3. 연구 제한점 8 Ⅱ. 개념 정리 9 A. 몸학(Somatics)의 개념 9 B. 몸적 학습(Somatic learning)의 개념 11 C. 몸적 자료(Somatic data)의 개념 13 Ⅲ. <Holon>에 관한 연구 14 A. 구상단계 14 1. <Holon>의 창작 필요성 및 목적 14 2. <Holon>의 창작방법 16 B. 연습단계에서 드러난 체험의 내면구조 18 1. 준비단계 18 2. 움직임 패턴의 반복과 발전 21 3. 움직임의 확장 26 C. 공연작품 분석 33 1. 1장: 탐색 33 2. 2장: 몰입 34 3. 3장: 자유 37 3. 음악 및 시각적 요소 41 Ⅳ. 결과 및 논의 44 A. 체험의 몸 44 B. 성장으로서의 춤 45 Ⅴ. 결론 47 참고문헌 50 ABSTRACT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238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무용작품 <Holon>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몸적 학습(Somatic learning)'을 기반으로 한 분석-
dc.title.translatedA Study of Dancing Work <Holon> : based on 'Somatic learning'-
dc.creator.othernameKim, Mi Re-
dc.format.pageix, 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