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희-
dc.contributor.author권예슬-
dc.creator권예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8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35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3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3583-
dc.description.abstract외적인 허상과 화려한 겉모습만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은 자기중심적이며 타인의 인정을 갈망하는 나르시시즘에 빠져있다. 이들 중 특히 여성에게 있어 과거와 현대사회의 역할의식의 혼란으로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증대를 가지고 왔으며, 완벽한 겉모습과는 달리 자존감이 낮아 내적으로 불안감과 공허감등을 갖고 있다. 그래서 이를 감추고자 더욱더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고 우월감에 찬 거짓된 모습을 만들어 심리적 압박감을 받고, 이로 인한 열등감과 불안감, 그리고 지나친 의존감등의 장애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현대여성은 거짓된 모습에서 벗어나 스스로 자신의 모습을 깨닫고 진정한 자아성립이 필요하며, 이에 대해 문제를 인식한 배르벨 바르데츠키는 현대 여성적 나르시시즘을 새롭게 개념화하여 현대여성에게 나타나는 심리현상과 근본적인 원인, 그리고 치유하는 것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여성적 나르시시즘 중에서도 현대 여성적 나르시시즘을 연구한 배르벨 바르데츠키의 열등감과 우월감, 의존감의 심리현상을 적용하여 예술적 감성이 담긴 무용창작작품『검은유리』를 안무하였으며, 총 3장으로 구성하였다. 본 작품은 현대여성에게 나타나는 심리현상과 이를 극복하여 진정한 자아를 찾는 것을 주제로 창작되었으며, 작품을 통해 거짓된 모습으로 살아가는 현대여성이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는 자기수용의 표현방법을 통해 진정한 ‘나’의 모습으로 탈바꿈하는 것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작품을 주제 및 내용, 장면별 무대 구성,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오브제와 조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본 작품의 주제는 자존감이 낮은 현대여성이 거짓된 모습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아로 극복하는 것으로 내용에 따라 총 3장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본 작품의 1장은 사회적인 역할의 억압으로부터 오는 여성의 내적인 열등감과 불안정한 자아를 표현하였다. 2장은 여성의 불안정한 자아는 우월감에 찬 거짓된 자아를 만들고 이로 인해 자기 자신을 잃어가는 고립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마지막 3장은 열등감과 우월감 사이에서 방황하면서 거짓된 자아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아로 극복하는 여성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둘째, 본 작품의 무대 공간 구성은 내용에 따라 후면부, 중간부, 전면부의 세 구역으로 나누었다. 이렇게 점진적으로 앞으로 나아가는 구성을 바탕으로 1장의 불안정한 자아를 후면부에서, 2장의 거짓된 자아를 중간부에서, 3장의 극복한 진정한 자아를 전면부에서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점차적으로 앞을 강조하는 무대 구성의 변화를 통해, 거짓된 자아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아로 극복한 당당하고 주체적인 여성의 모습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셋째, 본 작품의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은 각 장면별로 설정된 무대 공간에서 주로 이루어지며, 점점 확장되는 이동경로와 움직임으로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1장에서는 열등감으로 인한 불안정한 자아를 표현하기 위해 시선은 정면을 외면하고 무대의 가장 깊숙한 후면부에서 낮은 동작을 하였고, 2장에서는 열등감을 가진 여성이 우월감이라는 거짓된 모습을 드러내는데, 거짓된 자아를 표현하기 위해 여전히 시선은 정면을 외면하고 무대 중간부에서 우월감을 높은 동작으로 열등감을 낮은 동작으로 반복적으로 움직였다. 3장에서는 자기 자신의 모습으로 극복한 진정한 자아를 표현하기 위해 후면부와 중간부에서 틀을 밀어내고 옆으로 오가는 움직임의 과정을 통해 마지막 전면부에서는 몸과 시선이 모두 정면을 바라보도록 하고 관객을 향해 강하게 걸어 나와 극복된 여성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넷째, 본 작품의 오브제는 무대 공간 구성에 따라 나누어진 세 가지 구역에 각각 하나씩 배치하였고, 조명은 나누어진 각 공간에 다른 의미를 가진 세 가지 색을 사용하였다. 먼저 오브제는 자신의 모습을 감추는 의미와 동시에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틀을 상징하기 위해 차가운 느낌의 실버색과 경직된 직사각형의 틀 모양으로 제작하였고, 이를 통해 감추어져 있던 자신의 모습을 찾기 위해서는 자신의 시선으로 찾아야 한다는 것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조명은 1장에서는 자존감이 낮은 여성의 불안함을 상징하는 노란색을, 2장에서는 거짓된 모습을 가진 여성의 욕망을 상징하는 초록색을, 그리고 3장에서는 자기 자신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극복된 여성의 편안함을 상징하는 분홍색 조명을 사용하여 무용수의 심리상태를 더욱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3장의 마지막 장면에서는 분홍색 조명을 강하게 비추고 1, 2장의 조명은 번갈아가면서 깜빡거리게 하여, 3장의 마지막이 강조되고 관객에게 나르시시즘의 극복이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무용창작작품『검은유리』는 현대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심리현상과 이를 극복하여 진정한 자아를 찾는 내용을 바탕으로 창작되었다. 작품을 통해 현대여성에게 자기 자신을 스스로 바라보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받아들이는 자기수용이라는 표현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감추어져있던 자신을 발견하고 진정한 ‘나’의 모습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The people of modern society, who pursue the external illusions and fancy outlooks, are self-centered and are craving for attention: the characteristics of narcissism. Among the narcissists - especially for women - the confusion in the awareness of the role between the past and the modern society brought increase in feminine narcissism, and also in internal anxiety or voidness due to the low self-regard compared to that of their perfect appearance. In order to hide such aspects, they become more conscious to the other people's view to themselves, make false-hooded superiority which in turn results in mental pressure, feeling of inferiority, anxiety, or excessive dependence to others. Therefore, modern women need to break free from their false figures and achieve the true self-realization. Barbel Wardetzki, who have acknowledged such issue, conceptualized feminine narcissism and researched on modern women overcoming the narcissism and thus obtaining the true self-realization. Hereupon, I the researcher choreographed the original dance 『The Dark Window』, based on Barbel Wardetzi's study on modern feminine narcissism, consisting of three chapters. The main idea of this work was to demonstrate contemporary woman finding her true identity through overcoming narcissism. Through this work, women, who have pulled herself away from other's eyes, seeing herself and others with her own eyes and finding her true identity by accepting her actual self, was intended. To do so, this work was pre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me and contents, stage settings for each chapter, the dancer's path and movements, and objet and lightings. First, the work was composed of three chapters with the overall theme of low self-regarded contemporary woman breaking free from her false figure and finding her true self. The first chapter expressed the internal sense of inferiority and insecurity of ego of women from the suppression of social role. The second chapter portrayed the insecure ego creating false ego of superiority, and therefore losing herself and become isolated. The last chapter rendered women wandering between the inferiority and superiority but overcoming from false to the true ego. Second, the stage composition of this work comprised of three sections; the rear, the middle and the front, based on the content of each chapter. The progressiveness of the plot was expressed by moving forward on stage: the insecure ego of chapter one in the rear, the false ego of chapter two in the middle, and the true self of chapter three in the front. Emphasis on a confident and independent woman who overcame the false to the genuine ego was intended by the changes in stage composition that gradually emphasizes the onward movement. Third, the dancer's path and movements were made on the stage area that had been set for each scene but which is gradually expanding. To express the insecure ego by inferiority in chapter one, the gaze of the dancers avoided the frontage and performed low actions at the deepest part of the rear of the stage. In chapter two, the dancers display women feeling inferiority exposing the false image of superiority; gaze still turned away from the front, superiority and inferiority expressed as high and low movements repeatedly. To demonstrate the true identity that overcame the false ego in the chapter three, the frames in the rear and the middle of the stage were pushed away to the side, with dancers moving horizontally. At the last part on the front of the stage, women who have overcome herself were expressed by body and gaze facing the front and walking up firmly. Fourth, the objets of this work were each placed on the three different sections divided by the stage composition and three different lightings were used on each section. The objets were made in shape of stiff rectangle with cold silver color to express the frame demanded by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lightings were used to highlight the dancers' feelings: yellow to symbolize the insecureness of women with low self-regard in chapter one, green to show the lust of women with false identity, pink to represent the overcome women at peace and viewing the world with their own eyes. In the last part of chapter three, the pink lighting was steadily and strongly given while the lightings of chapter one and two were blinking so that the end of chapter three was contradistinctively emphasized, the meaning of overcoming narcissism effectively conveyed to the audience. Overall, the original dance 『The Dark Window』 was choreographed to express contemporary women overcoming narcissism and achieve true self-realization. I, the researcher, intended to demonstrate about the theme of modern women escaping the other's views and valuing themselves that they see themselves through their own eyes and overcome process of accepting who they are resulting in the metamorphosis to their true self through this wor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A. 나르시시즘의 개념 4 B. 나르시시즘의 여성적 관점 7 C. 21세기 현대 여성적 나르시시즘 10 l.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정의 10 2.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심리적 현상 12 3.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치유 14 D. 타 예술에 나타난 여성적 나르시시즘의 특징 17 Ⅲ. 무용창작작품『검은유리』의 안무의도 20 A. 내용적 측면 20 B. 형식적 측면 22 Ⅳ. 무용창작작품검은유리에 관한 분석 24 A. 주제 및 내용 24 B. 장면에 따른 무대 구성 26 C.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31 D. 오브제와 조명 54 Ⅴ. 결론 63 참고문헌 66 ABSTRACT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444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21세기 현대 여성적 나르시시즘 현상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검은유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The Dark Window』Based on Modern Feminine Narcissism Phenomenon of 21th Century-
dc.creator.othernameKwon, Ye Seul-
dc.format.pagex,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