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희정-
dc.contributor.author최선희-
dc.creator최선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1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3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1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KMIS 다중지능, 수학 기피성향, 수학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고 연구의 목적은 지능과 수학 기피성향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정적 상관을 보인다는 선행연구들(Shearer, 1997; 박성은, 1996; 김국진, 1997; 류숙희, 1996; 김현진, 1999; 조선옥, 1999; 조성미, 2003; 정귀원, 2007; 박미혜, 2009; 이영, 2010; 김현미·강완, 2006; 이교순, 2007; 이지현, 2011; 김성애, 2008)에 근거하여 다중지능, 수학 기피성향, 수학 학업성취도가 중학교 1학년 남녀 학생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지, 변수들 간에는 어떤 관계를 가지며 다중지능과 수학 기피성향은 수학 학업성취도에 어떤 설명력을 가지는지, 마지막으로 다중지능과 수학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에 수학 기피성향이 매개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2011년과 2012년 2년간 중학교 1학년 남녀학생 520여명을 대상으로 가이던스에 의뢰한 KMIS 다중지능검사결과와, 김영국 외(2001)가 개발한 수학 기피성향 심리검사를 사용한 설문결과, 연간 수학 학업성취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 중다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변수들의 차이는 KMIS 다중지능에서 여학생은 어휘적용능력, 이해력, 도형지각능력이 남학생들보다 더 높았고, 남학생은 수리력에서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수학 기피성향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전체적으로 낮은 성향을 보였으며 특히 교과영역에서 남학생의 수학 기피성향이 더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수학 학업성취도에서는 남녀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변인들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수학 기피성향이 낮을수록 수학 학업성취도가 높고, KMIS 다중지능이 높을수록 수학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독립변수(다중지능, 수학 기피성향)와 종속변수(수학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수학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는 지능은 어휘적용능력, 도형지각능력, 수리력, 공간추리능력으로 나타났고, 수학 기피성향이 다중지능보다 더 큰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중지능과 수학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수학 기피성향의 매개를 살펴본 결과 수학 기피성향은 수리력, 공간지각력, 공간추리력, 도형지각능력과 수학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내용을 일반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의 다양한 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 사용된 KMIS 다중지능검사와 수학 기피성향 검사의 한계를 보완할 검사도구 개발과 연령에 따른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력이 큰 변인은 지능보다는 수학 기피성향이므로 학생들의 기피성향을 줄일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 및 교수방법 개발 등 대책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수학 기피성향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기피성향을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여학생들에게서 수학 기피성향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여학생들의 수학 유능감 증진과 수학 기피성향 감소를 위해 부정적 경험을 줄이려는 교사의 교수방법 개발과 적극적인 적용 노력이 필요하다.;This study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KMIS multiple intelligence, disposition of math disliking and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t the sam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irstly if Multiple intelligences, Disposition of math disliking and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f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econdly if it is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lso Multiple intelligences and Disposition of math disliking have what kind of explanatory power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lastly if there is any connection of Disposition of math disliking in Multiple Intelligences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Multiple Intelligences and Disposition of math disliking seems cor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based on previous studies (Shearer, 1997:Bak,seonge-un, 1996: Kim,kuk-jin, 1997: Ryu,suk-hui, 1996: Kim, hyun-jin, 1999:Jo.seon-ok 1999:Jo,seong-mi, 2003:Jeong,gwi-won, 2007:Bak,mi-hye, 2009:Lee,young 2010:Kim,hyung-mi&Gang,wan 2006:Lee,kyo-sun 2007:Lee, ji-hyon 2011: Kim,seong-ae, and 2008). KMIS multiple intelligences test results referred to the guidance of the two years 2011 and 2012, more than 520 boys and girls 7th grade, and the survey result was used the math-averse psychological tests and the annual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by besides Kim, young-kuk(2001) developed were used in this study.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arried out and correlation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the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based on KMIS Multiple Intelligences is girls were higher than boys in the ability to apply vocabulary, comprehension, and ability to shape perception, and boys than girls in numerical abilities were higher. Seco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s lower disposition of math disliking, high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higher KMIS Multiple Intelligences show higher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Third, discussed the impact of the independent variables(multi-intelligence, disposition of math disliking) on the dependent variable(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are the intelligence influenced a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n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is the ability to apply vocabulary, shapes, spatial reasoning skills, numerical abilities and perceptual skills, also the disposition of math disliking is to have greater explanatory power than multiple intelligences. Fourth, from the relationship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examining the parameters of the disposition of math disliking, the results are the disposition of math disliking appear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numerical abilities, spatial perception, spatial reasoning, and the ability to shape percep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tudy the contents of the generalizes to a variety of students in a variety of areas need to be studied. Second, the test tool development and further study according to age is needed to disadvantages complement of used in this study KMIS multiple intelligence tests and math to avoid the tendency test. Third, the influential factors in math achievement than intelligence is a math avoidance tendencies, because of these results,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are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countermeasures research in order to avoid the tendency to reduce the students' learning. Fourth, the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has the highest math avoidance tendencies are needed the math program that can reduce disposition of math disliking, in particular, the girls have a tendency of avoiding higher mathematics research on the reasons why you may need and also the development of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apply an aggressive effort is needed to promotion of girls' math competence and mathematics to reduce evasion propensity to reduce the negative experien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6 A. Garner의 다중지능 6 B. 수학 기피성향 8 C. 다중지능과 수학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10 D. 수학 기피성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11 E. 다중지능과 수학 기피성향의 관계 12 F. 다중지능, 수학 기피성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13 Ⅲ. 연구방법 15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5 B. 측정 도구 16 C. 분석 방법 20 Ⅳ. 연구결과 21 A. 성별에 따른 변수별 차이 21 B. 지능, 수학 기피성향, 수학 학업성취도의 관계 22 C. 지능과 수학 기피성향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설명력 24 D. 지능이 수학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수학 기피성향의 매개효과 25 Ⅵ. 결론 및 제언 31 참고문헌 35 부록 40 ABSTRACT 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00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다중지능, 수학 기피성향, 수학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s, Disposition of math disliking and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dc.creator.othernameChoi, Seon Hee-
dc.format.pagevii, 4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