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옥주-
dc.contributor.author이정은-
dc.creator이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1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7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3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721-
dc.description.abstract语言是文化的载体,语言反映文化。词汇是语言诸要素中最活跃、最敏感的要素。社会的政治、经济、文化、日常生活的变化往往反映在词汇上面。改革开放以来,中国经历了前所未有的社会转型, 社会生活发生了巨大变化, 随着改革开放的深入,社会经济的不断发展,新事物和新概念不断产生,诞生了很多代表这些新事物新概念的新造语。这些新造语与社会、时代同步发展,折射出中国社会生活的方方面面。 现在,新造语的教学与研究已经越来越多地引起学界的重视,整理和研究汉语新造语在中国的汉语教育界已经成为一个研究热点,尤其在对外汉语教学领域,研究者们普遍认为,新造语教学有利于学生接触中国的新型文化,提高他们学习汉语的兴趣,加深他们对于汉语文化的了解。但是,新造语教学在韩国的汉语教学界,研究相对较少,可以说还没有受到足够的重视。本文即以韩国外国语高中的一二年级的高中生为教学对象,试图摸索出一种行之有效的教授新造语的教学模型与方法。 本文后半部分正式提出了活用与主题相关新造语的中国文化教学方案。首先,利用主题中心接近法来衔接中国文化教科书的各单元主题,提出了导入-展开-深化-归纳的四步骤新造语教学模型。且在第三章中选入的《文化面面观》的9个单元中,针对第4单元“中国日常生活”与第11单元“韩中文化交流”提出了实际的新词语教学方案。本文建议的教学方案考虑到现实教育条件与需求,提出了活用新造语的文化教学方案的具体列示,提出了在实际教学中活用新词语的中国文化教学的指导方向,在提高适用性上具有明显的意义。希望这篇论文能对日后韩国汉语教育学界的汉语新造语教学研究者有所参考,有所帮助。 ;하나의 언어를 배우게 되면,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회에 대한 이해의 폭도 넓어진다. 사회의 변화가 언어의 생성·발전·소멸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언어정책이나 언어관습의 변화가 사회의 각 제도들을 변화시키기도 하는 등, 언어와 사회는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밀접한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언어 학습만으로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회를 완벽하게 이해하거나, 거꾸로 어떤 사회를 이해한다고 그 사회가 사용하는 언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언어와 사회의 불가분성은 언어학습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회에 대한 이해가 동반돼야 하고, 하나의 사회를 보다 깊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회에서 통용되는 언어학습이 병행돼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따라서 중국어의 학습 수준을 높이려는 외국인 학습자라면, 중국어 어법과 중국의 사회·문화 학습을 병행해야 한다. 더군다나 중국어 학습의 궁극적 목적은 중국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므로,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도 중국사회에 대한 이해는 필연적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중국어 학습자가 특별히 주목해야 할 점은 최근 중국사회의 급격한 변화이다. 최근 중국은 개혁개방정책으로 시장경제체제를 대폭 수용한 이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그에 따라 중국사회의 변화도 역동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그리고 중국어에서 중국사회의 이러한 변화를 가장 즉각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신조어이므로, 최근의 중국사회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어 신조어를 통한 중국문화교육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중국어 신조어 지도 및 중국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한 관련 연구는 중국내는 물론이고 국내에도 많다. 그러나 신조어 연구에서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중국어 신조어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며, 중국문화교육 관련 연구는 중국의 사회·문화 실태를 문화교육에 즉각적으로 반영하는 방법론에 있어서는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중국어 신조어를 활용한 중국문화 지도방안 연구에 초점을 두었으며, 특별히 그 대상은 중국어 기초교육이 전문적으로 이뤄지는 국내 외국어계열 고등학교 중국어 전공 학생들로 하였다. 이는 신조어가 일반계열 고등학생들에게 지도하기에 수준이 높고, 외국어계열 고등학교의 중국어 교육 여건이 가장 우수한 점을 고려한 것이다. 다만, 본고는 현재 고등학생 대상의 중국어 교육에서 신조어 과목이 부재하다는 현실적 제약조건을 감안해, 외국어계열 고등학교 중국어 전공의 전문교과인 중국문화Ⅰ 교과서《文化面面观》내에서의 단원별 신조어 연계 중국문화 지도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현황 분석 및 학습할 신조어의 선정 작업을 하였다. 제 2장의 신조어의 개념 및 생성배경과 유형, 제 3장의 문화의 개념과 유형, 중국문화 수업에서 신조어 지도의 근거, 신조어 지도의 필요성과 유의점 등은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 부분이고, 교사 인터뷰와《文化面面观》교재 분석은 신조어와 문화교육의 현황을 분석한 것이며, 학습할 신조어의 범위 및 내용은 학습할 신조어의 선정 작업에 해당한다. 본고의 후반부는 본고의 주제와 직결된, 신조어를 활용한 중국문화 지도방안을 본격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중국문화Ⅰ 교과서의 단원별 주제와 연계가 가능하도록 주제 중심적 접근법에 의한 도입-전개-심화-정리 4단계의 신조어 지도모형을 제시하였고, 이 지도모형에 제 3장에서 선별한《文化面面观》9개 단원 중 4단원 ‘中国日常生活’과 11단원 ‘韩中文化交流’을 대입한 실제 신조어 지도방안 두 가지도 함께 제시하였다. 본고가 제안한 이 지도방안은 현실적 교육여건과 교육수요를 감안해 신조어를 활용한 문화교육 지도방안의 구체적 예시를 제시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신조어를 활용한 중국문화교육 지도의 방향을 제시하고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 2 1. 신조어지도 연구 2 2. 문화지도연구 6 C.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0 Ⅱ. 중국어신조어의 특성과 유형 12 A. 신조어의 개념 12 B. 신조어의 생성배경과 유형 13 1. 신조어의 생성배경 13 2. 신조어의 유형 19 Ⅲ. 신조어와 중국문화 학습 24 A. 신조어와 문화의 관계 24 1. 문화의 개념 24 2. 문화의 유형 24 3. 중국문화 수업에서 신조어 지도의 근거 25 4.신조어 지도의 필요성과 유의점 26 B. 문화Ⅰ의 수업현황 29 C. 신조어의 학습 범위 33 D. 신조어의 학습 내용 34 1. 교과서 분석 34 2. 신조어지도 범위 및 내용 40 Ⅳ. 신조어를 활용한 문화 지도방안 49 A. 신조어 지도모형 49 B. 신조어 학습지도안 56 Ⅴ. 결론 76 참고문헌 78 부록 82 中文摘要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918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신조어를 활용한 중국문화지도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외국어계열고등학생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活用新造语的中国文化教学方案 : 针对外语高中学生-
dc.creator.othernameLee, Jung Eun-
dc.format.pagev,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