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5 Download: 0

장애인 사회복지서비스 신청권에 관한 법적 연구

Title
장애인 사회복지서비스 신청권에 관한 법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ight to Apply for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 Disabled
Authors
하민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승원
Abstract
Today, quitting from one-sided and dispensation centered welfare which focused on the suppliers, the welfare paradigm changes toward consumer centered and customized welfare. Accordingly, the welfare today becomes the most-talked-about topic in various areas including social, cultural, political and administration ones and, in such circumstances,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welfare nation increase. In particular, the welfare for the handicapped has been carried out from the perspective of dispensation and they, as members of society, have not had better understanding on their own rights to choose and request for proper welfare service suitable for themselves, which made that their needs have not been reflected in the administration, policy, system and delivery system.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se problem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ocial welfare system regarding the welfare for the disabled from a public law perspective and suggest a direction to improve conditions for actual realization of their rights as members of society. Welfare for the handicapped has been continuously changed with the times and,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more and more people have realized that the approach in the social context rather than the individual approach is proper in terms of the issues on the disabled. Thus, today, people consider the issue of disability and the disabled from the stand point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make their best effort in realizing social integration. This can be considered that society demands the changes in social welfare law system from 'right-centered welfare paradigm' to 'dispensation-centered welfare paradigm.' Thus, it is necessary to examine other systems regarding social welfare law for the disabled in international society so that we can identify the direction toward which social welfare law system of our country has to proceed by conducting such comparative examination. In this paper, I attempt to make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tudy by taking account of various aspects of our legal system including constitutional law, administrative law and local government laws in order to expand the normative approach frame of social welfare for the disabled so that it is suitable for the situation of out society to adjust our workload to accommodate the changes of social welfare paradigm. In the 'Social Welfare Service Law' which was revised in 2003, the Chapter of 'implement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was newly added and prescribed the disabled's right to request for provision of service which can be made by themselves. However, in two cases on such rights recently filed by the disabled, the decisions of courts showed that the judges are not well aware of relevant system and provisions of statutory laws. With respect to social benefit administration such as provis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for the government to make its best administrative effort in reflecting the purpose of legislations so as to minimize the blind spots. In light of the foregoing, in this paper, I actively construct the contents and intents of the provisions of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the 'Social Welfare Service Act' and the 'Act on Disabled Person Welfare' and attempt to examine major issues focused on the entitlement to the right to request social welfare service, responsibilitie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disposition of welfare administration. For this, I examine applicable provisions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Act' and strengthen the entitlement to the right for the disabled through making flexible interpretation of social basic right and right to social welfare so that the right to apply for social welfare service can be realized as actual right. In addition, I attempt to make an approach in terms of establishment of the scope of discretion control in welfare administration for the disabled by analyzing the nature of disposition generated by unique characteristics of welfare administration, in addition to the discussion of responsibilitie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n terms of welfare for the disability for realization of the principles of social welfare nation.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which remained in the legislation only setting up overall directions of social welfare which had been far behind since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has been fully revised recently and became effective from January of 2013. The fact that recent whole revision of the Act, which was enacted in 1995, opened up possibilities which can bring up a fundamental change in social welfare system in the future since it reflects on today's consumer-centered customized welfare paradigm which be prepared for social need of balanced development of social service security and new social risks not to mention income security based on cash benefits in the past system. In particular, it appears to me that the Act will more substantially realize the right to apply for social welfare service because the Act newly defines the definition of 'social service' and makes 'strengthening of social service' as its major task. Recognition of the rights of the consumers under which they choose and apply for welfare services more suitable for them by themselves may be a remarkable turning point in social welfare service. However, notwithstanding the increase of needs for various welfare services, there are many areas and parts to be improved continuously in our social welfare system since stereotype of legal system for various needs of consumers and problem solving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For such improvement, the areas to be taken account of by the social welfare law in our system are request for specification of remedies for actual rights to realize social welfare service emphasis on the need for comprehensive case management based on the types of customized services to satisfy various needs of each disabled person; and adjustment of mutual functional and collaborative role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r realization of actual welfare. In order to make the right to apply for social welfare service come to lif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such right as set forth in the provisions of the Act on Social Welfare Service and, most of all, people's awareness of that social welfare service is not a dispensation or sympathy any more but a 'right' must spread. As the science of administrative law including administrative law of social welfare has been rapidly changing for the reasons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and the needs of its consumers varied,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cess of forming a social consensus should be stressed when we construct legislations applicable for social welfare services and deduce an improvement plan for such service in the future.;종래의 공급자 중심의 시혜적·일방적 복지에서 벗어나 현대에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복지 패러다임으로의 변화를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 있어 복지는 사회, 문화, 정치, 행정 등 모든 분야에서 핵심적인 화두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복지국가에 대한 의의와 중요성은 증대되고 있다. 특히 그동안의 장애인복지는 시혜적 관점에서의 복지가 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장애인이 사회구성원의 한 주체로서 자신에게 맞는 복지서비스를 선택하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 인식의 부족으로 행정, 정책, 제도, 전달체계에 충분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 하여 공법적인 관점에서 장애인복지와 관련된 사회복지법체계를 검토함으로써 사회구성원의 한 주체로서 장애인의 실질적인 권리를 실현할 수 있도록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장애인복지는 시대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되어 왔으며, 국제사회에서는 장애에 대한 개별적인 접근보다는 사회적인 맥락에서 접근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현대에는 이를 사회적 책임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사회통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과거 ‘시혜적 복지패러다임’의 입장이 아닌 ‘권리적 복지패러다임’으로 사회복지법체계의 변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국제사회의 장애인사회복지 관련 법제를 살펴봄으로서 이러한 비교법적 검토를 통하여 우리의 사회복지법체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춰 우리의 상황에 맞게 장애인사회복지의 규범적 접근틀을 넓히기 위해 헌법, 행정법, 지방자치법 등의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고려를 통하여 종합적·체계적인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2003년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실시’라는 장이 신설되어 당사자 스스로 서비스 제공을 요구할 권리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장애인들이 제기한 두 건의 사회복지서비스 신청 소송에서 법원은 관련제도와 법률의 규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사회복지서비스 제공과 같은 급부행정에 있어서는 사각지대의 최소화를 위해 무엇보다도 법의 입법취지를 최대한 반영하려는 행정적 노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헌법정신과 이에 따른 「사회보장 기본법」, 「사회복지사업법」, 「장애인복지법」 등의 법률규정의 내용과 취지를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사회복지서비스 신청권의 권리성,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 복지행정처분성 등을 중심으로 주요 쟁점들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서비스의 기본법인 「사회복지사업법」관련 규정들을 살펴봄으로서 사회복지서비스 신청권이 실질적 권리로서 실현될 수 있도록 사회적 기본권과 사회복지권에 대한 탄력적인 해석을 통하여 권리성을 강화하고, 사회복지국가원리 구현을 위해 장애인복지에 있어서 국가와 지자체의 책임 논의와 더불어 복지행정의 특수성으로 인한 처분의 성질을 분석하여 장애인복지행정에서 재량통제의 범위설정에 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산업화 이후 지체된 사회복지의 전반적인 방향을 설정하는 법에만 머물러 있었던 「사회보장기본법」이 최근 전부 개정되어 2013년 1월부터 시행되었다. 1995년 제정된 이래 최근의 전부개정은 종래의 현금급여 중심의 소득보장과 더불어 사회서비스보장의 균형적 개발의 필요성과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대비하는 복지 현대의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복지 패러다임을 반영한 것으로 향후 사회복지제도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특히 ‘사회서비스’의 정의를 새롭게 규정함에 따라 ‘사회서비스 강화’를 주요한 과제로 하고 있어 사회복지서비스 신청권을 보다 실질적으로 구현해 줄 것으로 보인다. 당사자에게 맞는 복지서비스를 스스로 선택하고 신청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하는 것은 사회복지서비스에 있어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복지서비스 욕구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수요자의 다양화된 욕구나 문제해결을 위한 유형화된 법체계의 측면이 확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므로 우리의 사회복지법체계는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부분이 많다. 이를 위해서 사회복지서비스 실현을 위한 실질적 권리구제의 구체화 요구, 장애인별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요자 맞춤의 유형별 종합적인 사례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실질적 복리구현을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상호 기능적·협력적 역할조정의 문제들은 앞으로 사회복지법체계가 고려해 나가야 할 부분이다. 사회복지서비스 신청권이 권리로서 살아 움직이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업법이 규정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신청권이 활발하게 이용되어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사회복지서비스는 더 이상 시혜와 동정이 아닌 ‘권리’라는 인식의 확산이 필요하다. 사회복지행정법을 포함한 행정법학은 세계화와 정보화 등으로 급변하고 있고, 수요자의 욕구도 다양해짐에 따라 앞으로의 사회복지서비스 관련 법령에 대한 해석 및 개선방안 도출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이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과정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