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소득불확실성과 금융자산선택의 관계분석

Title
소득불확실성과 금융자산선택의 관계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Income Uncertainty and Household’s Financial Asset Portfolio : Based on data of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uthors
김혜련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은영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in Korea’s household income and asset selection, by using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This paper uses data from year 1999 to 2008,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The emphasis is on figuring out the behavior of asset selection of households, under the assumption is that change in population structure, caused by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increase in household debt and uncertainty of the economy, due to continuous low growth rate and interest rate, will all influence asset portfolio of individuals. The paper not only focuses on income risk but also includes other various social demographic factors for thorough analysis on household’s asset selection. The paper applies standard risk adverse theory from Kimball (1993) and Kim (2009). For proxy measures of income risk, the Relative Equivalent precautionary Premium(REPP) and Vatiance of the Log of Income(VARLY) from Kimball (1990) and Chah∙Choi (2007) are utilized. Two models are used for analytical methods according to the dependent variable. If holding of risky assets (stocks and bonds) and risk-free assets (deposits) is in the dependent variable, Panel Probit Model is used and if ratio of risky asset and risk-free asset in total assets is in the dependent variable than Panel Tobit model is used.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the results show that Relative Equivalent precautionary Premium(REPP) and Variance of the Log of Income(VARLY) , proxy measures for income uncertainty, have negative relationship with risky asset and the resul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outcome corresponds to utility function with absolute risk adverseness on wealth and decreasing absolute prudence. In the case of individuals with high education level, holding ratio of risky asset is also high. In addition, higher income and larger asset size contributes to higher holding ratio of risky asset. For wage earners, both ratio and probability of risky asset holding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positive value. In the case of risk-free assets, ratio of risk-free asset holding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positive value, but the probability of risk-free asset holding is negative.;본 논문에서는 1999년~2008년까지 외환위기 이후 10년간의 한국노동패널(KLIPS: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가계의 소득불확실성과 자산선택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낮은 출산율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 및 가계부채의 증가와 저성장 저금리 기조의 지속으로 인한 경제의 불확실성이 자산구성에 영향 미칠 것이라는 예상 아래 가계의 자산선택 행위 파악 중요가 중요함에 초점을 두고 소득위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인구학적 요인을 포함하여 가계의 자산선택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이론으로는 Kimball(1993)과 김시원(2009)의 표준위험회피이론을 사용하였으며, 소득위험의 대용변수로는 Kimball(1990), 차은영∙최은영(2007)의 예비적 저축등가 프리미엄(REPP)과 로그소득분산(VARLY)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종속변수에 따라 두 가지 모형을 사용하였다. 위험자산(주식과 채권)과 안전자산(예금)의 보유여부를 종속변수로 가질 경우 패널프로빗(panel probit)모형, 총자산 대비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비율을 종속변수로 가지는 경우 패널토빗(panel tobit)모형을 사용하였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소득불확실성의 대용변수로 사용한 예비적 저축등가와 로그소득분산은 위험자산과 음의 관계를 보임으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한 소득위험 효과를 보였다. 이는 부에 대한 절대적 위험회피와 절대적 신중성이 감소하는 효용함수의 특성과 부합하는 결과로서 표준위험회피이론에 부합하는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교육수준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 경우 위험자산의 보유비중이 높았으며, 소득이 높고 자산의 규모가 클수록 위험자산의 보유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임금 근로자의 경우 위험자산의 보유비중과 보유확률이 모두 유의하게 양의 값을 가지며, 안전자산의 경우 보유비중은 유의하게 양의 값을 가지지만 보유확률에 있어서는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