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8 Download: 0

기혼여성 경제활동참여의 영향요인

Title
기혼여성 경제활동참여의 영향요인
Other Titles
Influence Factors of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for Married Women :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Individual-Household-Policy
Authors
차유경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숙연
Abstract
우리나라는 출산율 저하와 고령화 현상이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노동공급 부족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기혼여성의 인력활용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하고 지위가 급부상하기 시작하면서 여성의 경제활동은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에 크게 기여하여 왔지만, 여전히 남성에 비해 낮은 경제활동참가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기혼여성의 경우, 본인의 자발적인 의지보다 임신-출산-양육 등의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불가피하게 경력단절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특히 미취학 자녀를 양육하는 시기에 기혼여성의 취업은 가장 불안정하고, 이때 기혼여성의 경력단절이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시기에 있는 기혼여성들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적 배경에서 본 연구는 경력단절이 가장 두드러지는 시기인 ‘미취학 자녀를 가진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노동시장 참여에 작용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특히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저출산과도 직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본 선행연구에서 개인적⋅가구적 차원의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으나 제도적으로 보육지원정책이나 취업지원정책, 사회문화적으로 성역할태도에 대한 연구는 각각 개별적으로 논의되어 왔다. 하지만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는 여러 차원의 요인들이 어우러져 작용하고, 이는 서로 상호작용하며 나타나기 때문에 제도적 차원뿐만 아니라 성역할태도에 대한 사회문화적 차원에서의 분석도 함께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미시적 수준에서 연구되기 때문에 기존의 미시적 연구들이 간과하고 있는 여성의 노동공급 결정 및 여성노동에 대한 수요결정이 보다 큰 사회적 틀, 즉 경제적 상황 속에서 결정되고 영향을 받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도적⋅사회문화적⋅개인적⋅가구적 관점과 경제적 상황에 따른 다양한 시각에서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은 전국적인 대표성을 확보한 ‘한국복지패널조사(Korea Welfare Panel Study)’자료를 활용하여 미취학자녀를 양육하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경제위기 전⋅후인 2007년과 2009년을 분석 범위로 한다. 이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적 측면에서 보육지원정책은 경제적 상황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정(+)적으로 작용함으로써 기혼여성의 보육비 경감이 경제활동참여에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또한 취업지원정책은 경제위기 이후에만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경제위기시에 직업훈련을 통한 인적자본의 변화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성역할이분법은 경제적 상황에 상관없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부(-)적으로 작용한다. 일반적인 성역할 규범인 여성이 있어야 할 영역은 가정이라는 사회문화적 요구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여성의 엄마역할은 경제위기 이후에만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부(-)적으로 작용한다. 여성의 ‘모성’에 대한 사회적 강요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을 포기하고 양육을 담당하게 하는 것이다. 셋째, 개인적⋅가구적 측면에서 경제적 상황과 상관없이 연령, 교육수준, 가족수입만족도는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미취학자녀수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여성은 생애사건 등의 이유로 노동시장의 여건만큼이나 노동공급측의 요인이 중요한 것이다. 넷째, 경제위기 상황에 따라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변화하는 것이다. 취업지원정책과 여성의 엄마역할은 경제위기 이후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지원정책, 성역할 이분법, 연령, 교육수준, 미취학자녀수, 가족수입만족도 변수는 경제적 상황과 상관없이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대한 연구는 효율적인 측면에서 국가의 성장에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과제이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 경제활동참여의 영향요인을 제도적⋅사회문화적⋅개인적⋅가구적 관점에서 파악하여 기혼여성 경제활동참여의 활성화 및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에서 이탈을 방지하고, 경력단절 기혼여성들이 다시 노동시장에 진입하여 중요한 인적자원으로서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경제위기 전⋅후의 영향요인 변화를 파악하여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에 대해 경제적 상황에 따라 어떤 정책이 우선적인지 고려하고, 경제위기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As the decrease of birth rate and aging phenomenon are emerging as major issues of society, Korea is turning attention to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solve the shortage of labor supply. Although women’s economic activity have made enormous contributions to economic growth of Korea as more women entered into the workplace and gained elevated social status, their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rate has remained low compared to that of men. This is partly due to the appearance of career break phenomenon in which women, especially married women, take time out of their career inevitably by the factor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pregnancy, childbirth, and upbringing rather than by their own volition. Notably, during the period of upbringing preschool children, the employment of married women becomes more unstable and career break for working mothers happens more frequently, raising the need for wide discussion of married women going through this period. In this situational background, this study is initiated from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ng factors influencing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who are going through the period in which career break happens most frequently. The fact that economic activity of married women is directly connected to low birthrate, which is also becoming a serious social issue, further emphasizes the need for this research. Although researches on the factors influencing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on the aspects of individual⋅household has been continuously performed in previous studies, researches on the aspects of policy considering childcare support and employment support policies and those about sociocultural perspective on gender role attitudes have been performed separately. However, these analysis on the influence factors must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n the aspects of policy as well as sociocultural aspects that reflect gender role attitudes, as economic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s affected by the factors derived from various dimensions that interact with each other. Moreover, as this research is performed at microscopic level,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determinants of women’s labor supply and demand for women’s labor, which have often been unnoticed by previous microscopic researches, are determined and affected by larger social framework, in other words, economic situation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factors that affect economic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by considering diverse viewpoints of policy⋅social culture⋅individual⋅household and economic conditions as well. An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tilizing the data from 'Korea Welfare Panel Study' that has secured national representativeness and was aimed at married women who were raising preschool children in the year 2007 and 2009, which represented before and after economic crisis respectively. The factors that influence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for married women were determin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alysis result is shown below. Firstly, on the aspects of policy, childcare support policy has continuously exerted positive influences on economic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regardless of given economic situations, implicating that the reduction of childcare cost for married women is a critical factor for their economic participation. In addition, employment support policy exerted positive influences on economic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only after economic crisis, suggesting that the changes in human capital mediated by vocational training during economic crisis can affect economic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Secondly, on sociocultural aspects, the gender role dichotomy exerts negative influence on economic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regardless of given economic situations. A general model of gender role reflecting sociocultural requirement that the places where women belong is home exerts negative influence on economic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Moreover, maternal role of women exerts negative influence on economic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only after economic crisis. Social pressures on the 'motherhood' of women lead married women to give up their economic activity and take charge of upbringing. Thirdly, on the aspects of individual⋅household, the age,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family income exert positive influence, whereas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exerts negative influence on economic activity of married women.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factors from labor supply such as various incidents in women’s lives are as important as labor market conditions for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Fourthly, the factors influencing economic activity of married women can change depending on economic situations. Employment support policy and maternal role of women exer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ly after economic crisis, while the variables, including childcare support policy, gender role dichotomy, the age,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family income exert affect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f women consistently, regardless of economic situations. As stated above, the studies on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should be carried out effectively to contribute to the national growth. This study assessed the factors influencing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from the viewpoints of policy⋅social culture⋅individual⋅household, thereby providing political implications for vitalizing and stabilizing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This is important for preventing the breakaway of married women from the labor marker, promoting the re-entry of married women who are on their career break into the labor marker, and allowing them to fulfill their role as an important human resource. In addi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in the influence factors before and after economic crisis helps to decide which policy should be considered a top priority for promoting economic activity of married women in a given economic situations and seek countermeasures against economic cris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