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1 Download: 0

기관의 규모와 유형이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Title
기관의 규모와 유형이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Other Titles
The Effect Analysis of the Size and the Type classification on the Result of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used in Public Institutions : Focused on the Result of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used in Public Institutions in 2008 - 2010
Authors
장희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정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the institution size which is not the factor of management evaluation in public institutions as well as to analyze whether the institution characteristics are properly reflected in the type classification of management evaluation. For this purpose, Regression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results of management evaluation of five years from 2008 to 2012. First of all, in order to verify the correctness of the idea that large-size institutions are beneficial in management evaluation, this study defined the size of institutions as the asset, the number of people, and the sales. Setting the duration and type of each institution as the control variables, this study analyzed how they effected the total scores of management evaluation, quantitative and non-quantitative scoring rate, and the scoring rat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ategories through regression model. Especially in the case of scoring rat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ategories, this study tried to compare before and after the indicator improvement as classifying the periods from 2011 to 2012 and the periods from 2008 to 2012 in which the indicator improvement were proceeded so the evaluation categories were unif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first hypothesis which became the starting point that large-size institutions will beneficial in management evaluation were found to be partly correct. It meant that the size of the institutions influenced the results of management evaluation restrictively. As examining the influential factors by sub-dividing the results of management evaluation specifically, the factors are as follows. Above all, it was found that the variables which affected the total scores were the size of the asset. The variables which affected the scoring rate were the number of people and the sales. The variables which affected the non-quantitative scoring rate were the size of the asset. Finally, in the analysis per three evaluation categories, it was found that the size of the asset affected the domains of leadership strategy and management system, and the sales affected the domain of business performance, which were the evaluation categories from 2008 to 2010. However, the variables of the institution size from 2011 to 2010 after the indicator improvement, it was found that none of the variables of institution size were influential.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mentioned above,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tial size variables appeared to vary per the evaluation indicator. It meant that the external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by the indicators were different. Especially, the size of institutions were found to affected total scores utilized as the evidential materials for imposing incentives or penalties of the evaluated institution, this study tries to suggest the necessity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such as institution size on the indicator system.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effect of institution size o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categories did not appear in management evaluation in 2011, there was the possibility that the applied improvement of the indicators from that period adjusted some parts of such influence. However, it is mere guesswork, so it seems that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future is required. In the second place, for the verification of the comment that the standard of management evaluation cannot proper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analysis of variance on the average values of the results of management evaluation from 2008 to 2012 was conducted. The difference on the average was examined by classifying the results of management evaluation as total scoring, the scoring rate of measurement and non-measure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ll of total scores, the scoring rate of measurement and non-measurement were found to have the differences of the average per evaluation classifica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indicators with comparative advantages were different per the classification through this analysis. The deviations per institutions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same group (especially in public institutions) although the different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classification of institution type under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Act was adopted for the evaluati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institutions in management evaluation. It seems that such problems occur as trying to classify a lot of institution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into few groups of evaluation types. Even current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evaluation is improv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s on the individual index system, some factors are found to still have impact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additional analysis on the reason for these results and the resolution,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evaluation conducted every year, and the comparison of influential factors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should be followed for future studies.;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 경영평가의 비평가요인인 기관의 규모가 경영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및 경영평가 유형분류에 기관의 특성이 적절히 반영되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개년 경영평가 결과에 대해 회귀분석 및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대규모 기관이 경영평가에 유리하다는 인식이 옳은지 검증하기 위해서, 기관의 규모를 자산, 직원 수, 매출액으로 설정하고, 각 기관의 존속기간 및 유형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이들이 경영평가 총 득점, 계량 및 비계량 득점률, 그리고 평가범주 별 득점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회귀모형 통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평가범주 별 득점률의 경우 2011년 지표개선이 이루어져 평가범주에 통일성이 있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와 2011년부터 2012년까지를 구분하여 지표개선 전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의 출발이 된 첫 번째 가정인 대규모 기관은 경영평가에 유리할 것이라는 인식은 제한적이지만 사실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관의 규모가 제한적으로 경영평가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경영평가 결과를 세분하여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영평가 총 득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산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계량 득점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직원 수와 매출액으로, 비계량 득점에 영향을 미친 변수로는 자산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세 개의 평가범주 별 분석에서는, 2008년에서 2010년까지 평가의 범주인 리더십전략과 경영시스템 부문에 자산규모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경영성과 부문에는 매출액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표개선 후인 2011년과 2012년에는 기관규모 변수 중 어떠한 것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서 평가지표마다 영향을 미치는 규모 변수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지표별로 고려하여야 할 외적 요인이 다름을 의미한다. 특히 피평가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또는 페널티 부과의 근거자료로 활용되는 총 득점의 경우 기관 규모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관규모와 같은 특성을 지표체계에 반영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또한 평가범주 별 결과에 기관의 규모가 미치는 영향이 2011년 경영평가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때부터 적용된 개선지표가 이러한 영향을 일정부분 조정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추측에 불과하므로 추후의 세밀한 분석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경영평가의 기준이 기관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였지 못하였다는 지적에 대한 검증을 위해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경영평가 결과의 평균값을 분산분석하였다. 이때 경영평가결과를 총 득점, 계량 및 비계량 득점률로 구분하여 평균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는데, 분석결과 총 득점, 계량 및 비계량 득점률 모두 평가유형 별로 평균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분석을 통해 유형별로 비교우위를 가지는 지표가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경영평가 시 개별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평가를 위해 공운법상의 기관유형 분류와 다른 분류체계를 채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집단 내(특히 공기업)에서도 기관 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특성을 가진 기관들을 불과 몇 개의 평가유형분류로 구분하려다 보니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공공기관 경영평가는 각 지표체계에 기관의 특성을 반영하도록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요인은 여전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에 대한 원인과 대책, 그리고 매해 이루어지는 경영평가의 개선과 개선에 따른 영향요인 변화의 비교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은 향후 연구에서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