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근주-
dc.contributor.author우소현-
dc.creator우소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8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3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2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334-
dc.description.abstract공공부문 종사자와 민간부문 종사자 간의 가치체계 및 욕구체계 차이에 대한 비교연구는 오랜 기간 동안 폭넓게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노력에서 출발한 개념인 공공서비스동기(PSM)는 공공부문 특유의 동기요인을 이론화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특히, 공공서비스동기는 공공부문 종사자들이 민간부문 종사자들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조직입직 전 학창시절 동안의 경험과 조직입직 후 조직에서의 경험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공공부문 종사자와 민간부문 종사자의 비교를 통해서 확인해 보고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부문 종사자와 민간부문 종사자 간의 공공서비스동기 차이를 알아보고, 이러한 공공서비스동기 차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직입직 전의 사회화인 일반사회화 요인과, 조직생활을 통한 사회화인 조직사회화 요인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서비스동기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확보하고, 공공부문 개혁의 실천적 측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공공서비스동기와 일반사회화 요인 및 조직사회화 요인에 대한 기존의 경험적 논의를 종합하여, 공공서비스동기의 결정요인들을 설정하고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공공부문 종사자인 6급 이하의 공무원 130명과 이에 상응하는 민간부문 종사자인 대리이하의 회사원 137명이다. 자료수집방법은 설문조사이며, 연구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사용하였으며, T-test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서비스동기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종사자 모두에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공부문 종사자의 공공서비스동기가 민간부문 종사자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전체적인 공공서비스동기 뿐만 아니라 규범적 차원과 감정적 차원의 동정심 및 자기희생에서 공공부문 종사자가 민간부문 종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공서비스동기는 공공부문 종사자들만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동기가 아니라, 민간부문 종사자들에게도 존재하는 것으로, 다만 두 부문 간에는 공공서비스동기의 수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종사자 간의 공공서비스동기 차이는 조직입직 전 학창시절의 경험뿐만 아니라, 조직입직 후 조직에서의 경험을 통해 강화 혹은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종사자 모두 조직입직 전 사회화를 통해 공공서비스동기가 형성되었으며, 공공부문 종사자의 경우 조직에서 경험하는 업무 중요성 및 업무에 대한 책임감, 목표 명확성의 인지가 공공서비스동기를 더욱 강화시켰다. 하지만 민간부문 종사자의 경우 조직에서의 재직기간이 늘어나고 목표 명확성이 높아질수록 공공서비스동기는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공부문 종사자와 민간부문 종사자의 공공서비스동기 차이는 서로 다른 일반사회화 요인 및 조직사회화 요인에 의해 강화되거나 약화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공공부문 종사자와 민간부문 종사자 간에는 공공서비스동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차이는 조직입직 전부터 작용하고 있는 사회화 요인과 조직입직 후 조직생활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사회화 요인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공공부문 종사자의 공공서비스동기 충족과 효과적인 인사관리를 위해서는, 민간부문과 차별되는 개혁적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The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value and needs systems have been extensively research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over the years. The concep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stems from this line of research, and is continuously developing through the theorization of public sector employees’ unique motivational factors and accompanying empirical evidence. In particular,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public sector employees has been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private sector employees due to differing experiences during employees’ school years as well as experiences gained after entering the organization. In extension of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public service motivation by employing a comparative method between public sector employees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nalyz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relationships based on two classifications; general socialization factors gained before organization entry,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actors obtained after organization entry. The present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providing important findings regarding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reform of the public sector. As such, the present research presents a comprehensive research model of determinan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based on empirical findings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general socialization factors,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actors. The sample consists of 130 lower level employees (level 6 and below) within the public sector and 137 employees working in the private sector with similar status. Survey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which was analyzed using SPSS 18.0. Reliability of measurement items was checked by utilizing Cronbach’s α, and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using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stated below. First, although public service motivation existed with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public sector workers reported higher level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comparison to their private sector counterparts. In particular, public servants were found to have higher at the norm-based dimension and affective dimen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not unique to public sector employees and also observed among private sector workers, albeit at differing levels. Secondly, the present study discovers that the differing level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between the two sample groups is due to not only experiences gained before organizational entry (during school) but also strengthened or weakened by experiences after organizational entry.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public service motivation was formed prior to entering the organization as a result of socialization. However, while public sector employees’ public service motivation was strengthened through organizational experiences tha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ir work, their responsibilities, and a clear sense of vision, employees in the private sector showed decreasing level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s their tenure and clarity of work objectives increased. Thus, we can infer from the findings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worker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re strengthened or weakened differently according to differing general socialization factors as well as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actor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found a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addition, this difference was due to employees’ different experiences prior to organizational entry (general socialization factors) and after entry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actors). Considering these findings, a distinctive reform program differing from that of the private sector is required to satisfy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public sector employees as well as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내용 3 C.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4 II.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5 A. 이론적 배경: 공공서비스동기 5 1. 공공서비스동기 연구의 필요성 5 2. 공공서비스동기의 개념 6 3. 공공서비스동기의 개념차원 8 4. 공공서비스동기의 측정차원 10 B. 선행연구 12 1. 공공ㆍ민간부문 종사자의 동기요인에 대한 비교연구 12 2. 공공서비스동기 관련 선행연구 16 가. 공공서비스동기의 효과 16 나. 공공서비스동기의 선행요인 및 영향요인 18 3. 선행연구 검토결과 24 Ⅲ. 연구설계 25 A. 연구모형과 가설 25 1. 연구모형 25 2. 연구가설 26 가. 일반사회화 요인에 따른 공공서비스동기의 차이 26 나. 조직사회화 요인에 따른 공공서비스동기의 차이 28 B. 연구도구의 설계 31 1.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척도의 구성 31 가. 변수의 조작적 정의 31 나. 척도의 구성 33 2. 자료수집방법 37 3. 분석방법 37 Ⅳ. 연구결과 분석 38 A. 연구결과 38 1. 표본의 특성 38 2. 측정도구의 평가 41 3. 변수별 평균 및 상관관계 분석 43 가. 주요변수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43 나. 상관관계 44 B. 연구결과 분석 48 1. 배경변수에 따른 공공서비스동기 비교 48 2. 조직유형에 따른 주요변수의 차이 51 3. 연구가설의 검증 54 V. 결론 65 A. 연구결과의 종합 65 B.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67 C.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69 참고문헌 70 부록 76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54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공공서비스동기(PSM)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Determinant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 A Comparative Study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dc.creator.othernameWoo, So Hyun-
dc.format.pagev,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