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보석-
dc.contributor.author홍예리-
dc.creator홍예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7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18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2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1841-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에서는 21세기 이후 등장한 현상적 지향성(phenomenal intentionality) 입장에 대한 비판적인 논의를 하고자 한다. 현상성(phenomenology), 지향성(intentionality), 의식성(being consciousness)은 우리가 갖는 심적 상태의 세 가지 특성이다. 이 세 가지 특성들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심적 상태의 특성들이고, 가장 주요한 특성들이기도 하다. 결국 이 세 가지 특성을 갖는 삼적 상태들의 영역과 이 특성들 사이의 관계를 논하는 것은 우리 마음 전반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는 것이 될 것이다. 세 가지 특성 중에서도 특히 의식성은 현상성의 필요조건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이 논문의 논의는 세 가지 특성 중에서도 현상성과 지향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우리의 마음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려는 입장들을 살펴보면서 현상적 지향성에 대하여 비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은 현상성과 지향성의 관계에 대한 두 가지 입장을 다루고 있다. 하나는 분리주의(Separatism)이고 다른 하나는 분리불가주의(Inseparatism)이다. 분리주의는 현상성과 지향성이 분리하여 존재하는 것을 가능하다고 본다. 즉 현상성과 지향성은 본래 서로 완전히 다른 특성이고, 현상성 없이 지향적인 심적 상태나 지향성 없이 현상적인 심적 상태를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분리주의 중 가장 대표적인 입장은 재현주의(Representationalism)이다. 재현주의자들은 지향적인 심적 상태가 세계에 있는 대상이나 사건들을 재현(represent)하는 내용을 갖는다고 본다. 또한 이들은 단지 지향성을 갖는 심적 상태가 재현적인 내용을 가졌다고 주장하는 것만이 아니라, 심적 상태의 현상적인 측면도 재현적인 내용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은 현상성이 지향성에 수반하거나, 더 강하게는 현상성이 지향성과 동일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들은 어떤 심적 상태가 재현적인 내용을 갖는다면 그 심적 상태는 현상적인 측면을 반드시 가져야 한다는 것은 거부하지만, 어떤 심적 상태가 현상적인 측면을 갖는다면 그 심적 상태는 재현적인 내용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즉 이들은 지향성 없이 현상적인 심적 상태는 불가능하지만, 현상성 없이 지향적인 심적 상태는 가능하다고 본다. 한편 분리주의 중 재현주의에 반대하는 입장으로 감각질 이론(Qualia Theory)이 있다. 감각질 이론가들은 현상성이 그 어떤 것으로도 환원되지 않는 특성이며 심적 상태의 가장 본질적인 특성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들은 현상성과 지향성이 서로 다른 성질이며 분리하여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주장까지만 할 뿐, 둘 중 어느 하나로 다른 하나까지 설명하고자 하지는 않는다. 분리불가주의에서는 현상성과 지향성이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본다. 이 논문에서 주로 다룰 현상적 지향성 입장이 분리불가주의에 속한다. 현상적 지향성 입장은 현상성이 그 어떤 것으로도 환원되지 않는 가장 본질적인 특성이라는 주장을 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감각질 이론가들과 공통점을 갖는다. 또한 이들은 지향성 없이 현상적인 심적 상태가 불가능하다고 본다는 점에서 재현주의와도 공통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들은 더 나아가 현상성으로 지향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어떤 심적 상태가 지향성을 갖는다면 그 지향성과 분리 불가능한 현상성을 갖는다는 주장까지 한다. 즉 이들은 현상성 없이 지향적인 심적 상태도 불가능하다고 본다. 현상적 지향성은 이러한 분리불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들이 도입하는 개념이다. 현상적 지향성은 현상성만으로 결정되고 구성되기까지 하는 지향성을 말한다. 현상성이 지향성의 구성요소로 들어가게 되면, 현상성과 지향성은 분명 다른 성질이기는 하지만 그 둘은 서로 분리가 불가능하며 상호 의존적이고 상호 수반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현상적 지향성 입장이 우리의 마음을 설명하기에 전반적으로 그리 좋은 입장이 아니라고 본다. 그리고 그 근거로 네 가지 비판을 제기할 것이다. 첫째로, 현상적 지향성 입장은 ‘어떤 상태에서 느끼는 것(What it is like to be in the state)’이라는 표현을 지나치게 확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현상성을 이 표현과 동의어로만 규정할 경우, 우리 마음이 기본적으로 갖는 주관성 덕분에 심리철학의 모든 다른 개념들을 현상성으로 바꾸어 말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은 단지 여러 다른 개념들에 같은 이름만을 붙여준 것뿐이지, 실질적으로 기존에 심리철학이 직면했던 문제들을 해결해주지는 못한다. 둘째로, 현상성과 지향성은 각각을 갖는 심적 상태들의 범위와 그 양상에 있어서 차이점을 갖는다. 또한 현상성은 타입-식별가능 균일성(type-identifiable uniformity)이라는 특성을 갖지만 지향성은 그렇지 않다. 이러한 차이점이 너무나 커서 현상성과 지향성은 둘 중 어느 하나로 다른 하나를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은 이 논문이 내포하는 주장 중 하나이기도 하다. 셋째로, 현상성과 지향성의 차이점을 토대로 현상적 지향성 입장의 구체적인 논제인 현상성의 지향성 논제, 지향성의 현상성 논제, 현상적 지향성 논제를 거부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또한 현상적 지향성 개념에서 현상성이 지향성의 구성요소라는 점은 현상성과 지향성이 분리할 수 없는 관계를 가졌다는 주장을 옹호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현상적 지향성 입장의 여러 주장들을 받아들인다고 해도 현상성이 지향성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성하는지 까지는 보이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마지막은 심리학적인 비판으로, 이들의 입장을 받아들여도 기존의 심리철학이 가진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이 논문의 비판은 현상성과 지향성의 관계에 대한 강한 분리주의적인 입장을 내포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현상적 지향성 입장이 마음을 설명하는 이론의 중심에 현상성을 놓고자 한 시도는 의미가 있지만, 결국 우리의 마음 전반을 설명하기에는 너무 부족한 입장이라는 점을 보일 것이다.;Phenomenology, intentionality, and consciousness are properties of our mental states. Theses are properties which we always encounter in our daily lives and which are also major characters in our mental lives. If anyone discusses about the three properties and their relationship, he or she will give an argument on our mind as a whole. Among the three, consciousness is usually considered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phenomenality. Hence I will assume that we are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henomenology and intentionality. In this paper, I will review some theori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and give a critical discussion of one of them, the Phenomenal Intentionality view. There are the two options you can tak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enomenology and intentionality. One is separatism and the other is inseparatism. If you are a separatist, you would think it is possible that phenomenology and intentionality can exist separately in mental states and the two propertie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wo are independent. You would also argue that there can be a mental state which has phenomenology but does not have intentionality or there can be a mental state which has intentionality but does not have phenomenology. Representationalism is one kind of separatism. In representationalism, intentional mental states have contents that represent objects of events in the world. A representationalist does not just claim that intentional mental states have representational contents but also claim that phenomenal aspects of a mental state can be explained by the representational content of the state. She or he also argues that a phenomenal aspect of a mental state supervenes on the intentional content of the state or that it is identical with the intentional content of the state. Hence, a representationalist refuses that a mental state which has a representational content necessarily has a phenomenal aspect but she or he accepts that a mental state which has a phenomenal aspect necessarily has a representational content. That is to say, there can be a mental state which has a intentional or representational content but does not have a phenomenal aspect, but there cannot be a mental state which has a phenomenal aspect but does not have a intentional or representational content. Qualia Theory is also one kind of separatism, which is against representationalism. Qualia theorists argues that phenomenology and intentionality are the very different properties and they exist independently. They, however, claim only that phenomenology is a very fundamental property of a mental state and it cannot be reduced by any other thing. They do not claim that one of the two properties should be explained by the other. In inseparatism, it is impossible that phenomenology and intentionality exist independently. The phenomenal intentionality view, which is mainly discussed in this paper, is involved in inseparatism. It you are a philosopher who is a proponent of the phenomenal intentionality view, you would argue that phenomenology cannot be reduced by any other thing and it is the very basic character of our mental state. It is a point that you and a qualia theorist share. You would also argue that there cannot be a phenomenal mental state which does not have intentionality of the state, which you and a representationalist have in common. However, what is different between you and the other two philosophers is that you are trying to explain intentionality in terms of phenomenology. So you would argue that if a mental state has its intentionality, then it would have its phenomenology which is inseparable from its intentionality. As a result, in the phenomenal intentionality view, there cannot be an intentional mental state which does not have its phenomenology. Phenomenal intentionality is a concept that this view introduces for the explanation of the inseparability. It is a kind of intentionality is constitutively determined by phenomenology alone. If phenomenology is a constituent of intentionality,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the two properties, because the two are interdependent and inter-supervenient. I would argue that the phenomenal intentionality view is not good enough to explain our mind as a whole. I will give you the five critical points. The first one is that they have a too broad definition of the phrase ‘What it is like to be in the state.’The second one is that there are two major differences between phenomenology and intentionality. The third one refuses the three main theses of the phenomenal intentionality view based on the second point. The fourth one is a kind of psychological criticism. In this section, I will show that the phenomenal intentionality view does not give satisfying answers on some existing issues in philosophy of mind. Finally, the fifth one, I will claim that this view is faced with solipsism and global skepticis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들어가며 1 Ⅱ. 현상성, 지향성, 의식성 4 A. 현상성, 지향성, 의식성에 대한 설명 4 1. 현상성(phenomenology) 4 2. 지향성(intentionality) 7 3. 의식성(being consciousness) 8 B. 현상성, 지향성, 의식성에 대한 기본 도식 10 C. 현상성과 지향성의 관계에 대한 철학사적인 배경 13 Ⅲ. 마음에 대한 기존의 입장: 재현주의 17 A. 재현주의의 동기와 목적 17 B. 재현주의의 주장 19 1. 지향적인 심적 상태는 재현적인 내용을 갖는다 19 2. 현상적인 측면은 심적 상태의 독립적인 속성이 아니다 19 3. 지향적이지 않고 현상적인 심적 상태 거부하기 20 4. 현상적인 측면은 재현적인 내용이다. 21 C. 재현주의를 옹호하는 논증 22 1. 투명성 논증(The Argument from Transparency) 22 2. 보이는 방식 논증(The Argument from Seeming) 24 Ⅳ. 마음에 대한 새로운 입장: 현상적 지향성 입장 26 A. 현상적 지향성 입장의 동기와 목적 26 B. 재현주의를 옹호하는 논증에 대한 비판 27 C. 현상적 지향성 입장의 주장 31 1. 현상성의 지향성(The Intentionality of Phenomenology) 논제 32 2. 지향성의 현상성(The Phenomenology of Intentionality) 논제 33 3. 인지적 의식 부정하기: 의식의 필요충분조건인 현상성 34 4. 현상적 지향성(Phenomenal Intentionality) 논제 37 5. 무의식적이면서 지향적인 심적 상태의 가능성 40 D. 현상적 지향성 입장이 갖는 철학적인 함축 41 1. 내적 현상성(Internal/Narrow Phenomenology) 42 2. 내적 진리 조건(Internal/Narrow Truth Condition)과 외적 진리 조건 (External/Wide Truth Condition) 42 3. 모든 지향성의 기초인 현상적 지향성 45 Ⅴ. 현상적 지향성 입장에 대한 비판 48 A. 어떤 상태에서 느끼는 것이라는 표현의 남용 49 B. 현상성과 지향성: 어느 하나로 설명될 수 없는 간극 50 1. 범위와 양상의 차이 50 2. 타입-식별가능 균일성(type-identifiable uniformity) 52 3. 현상성과 지향성의 간극 55 C. 현상적 지향성 입장의 세 가지 논제 거부하기 56 1. 현상성의 지향성 논제 거부하기 56 2. 지향성의 현상성 또는 인지적 현상성 논제 거부하기 58 가. 심적 이미지는 타입-식별가능 균일성을 갖지 않는다 58 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타입-식별가능 균일성을 갖지 않는다 62 3. 현상적 지향성 논제 거부하기 63 D. 심리학적 비판: 마음에 대한 부족한 설명 66 1. 무의식적이고 지향적인 심적 상태 부정 66 2. 내적 지향성의 대상과 내적 진리 조건의 역할 67 3. 마음의 통합(The Unity of Mind) 문제 68 4. 의식의 어려운 문제(The Hard Problem of Consciousness)의 확장 69 Ⅵ. 나가며 71 참고문헌 73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568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현상적 지향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ritical Study on the Phenomenal Intentionality View-
dc.creator.othernameHong, Yeri-
dc.format.pagex,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