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1 Download: 0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특징

Title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특징
Other Title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 Focused on the national excellent school curriculum
Authors
신지윤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특징을 탐구하여 각 단위학교들이 학교중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할 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중심 교육과정에 반영된 지역사회의 특성은 무엇인가? 구체적으로 지역사회의 특성이 학교중심 교육과정에 어느 정도 반영되었는가? 지역사회의 특성이 학교중심 교육과정에 반영된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촉진 및 저해 요인은 무엇인가? 나누어 살펴보면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촉진 요인은 무엇인가?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저해 요인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에 답하고자 ‘다양하고 창의적인 학교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및 인성교육 실천 우수학교’를 주제로 실시된 ‘2012년 전국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공모에 선발된 초, 중등 영역 중 초등학교 영역에 해당하는 전체 50곳의 교육과정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또한 50곳 중 최종 선발된 서울지역 6곳 중 4곳의 학교를 방문하여 ‘2012년 전국 100대 교육과정’ 개발에 직접 참여했던 교사 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행하였다. 초등학교 50곳의 교육과정 보고서를 분석하여 지역사회의 특성이 학교중심 교육과정에 반영된 정도를 분석하였고, 교사와의 심층면담을 통해서는 지역사회의 특성이 학교중심 교육과정에 반영된 내용을 분석하여 구체적으로 보고서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보충하였다. 이와 더불어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서 실제 지역사회를 반영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교육과정 개발을 촉진하는 요인과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반영된 지역사회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실태에 따라 자연환경, 사회 환경, 인문 환경, 교육 환경으로 분류할 수 있다. 둘째, 학생의 실태에 따라 생활 습관 및 인성, 신체‧정신 건강 상태, 학습 태도 및 교육 활동, 학업성취도 수준, 흥미‧요구로 구분할 수 있다. 셋째, 학부모의 실태에 따라 가정환경, 학교에 대한 요구 및 교육관, 학교교육에 대한 관심 및 참여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 학교에서 지역사회의 실태를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발에 가장 크게 반영한 지역사회의 특징은 학부모의 학교에 대한 요구 및 교육관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는 지역 실태의 교육 환경, 학부모의 가정환경, 학생의 학습 태도‧교육 활동, 지역 실태의 자연환경, 학생의 생활 습관‧인성, 학부모의 학교 교육에 대한 관심‧참여, 지역 실태의 인문 환경, 학생의 학업성취도 수준, 학생의 신체‧정신 건강 상태, 지역 실태의 사회 환경의 순으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면담을 통해 분석한 학교중심 교육과정에 반영된 내용은 학교의 지역 실태, 학생의 실태, 학부모의 실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심층면담 결과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촉진 요인 및 저해 요인을 분석하였다. 촉진 요인으로는 교사의 적극적 참여 의지, 체계적인 지역사회 실태 분석, 활발한 의사소통, 교사의 전문성 개발, 창의적인 아이디어, 체계적인 업무 분담, 자율화 권한 부여 측면으로 분석할 수 있다. 반면에,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저해 요인은 교사의 비협조적인 자세, 과다한 업무, 학교 평가 지표, 수시로 변화하는 교육청 중점 과제, 자원 부족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 시행한 문헌 연구와 심층 면담의 결과에 따른 제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수준에서 교사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 둘째, 교육지원청이 단위학교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 셋째, 학교에서는 학교장이 교사에게 보내는 지원과 격려를 아끼지 않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교 구성원인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will give actual advice to individual schools to develop their school-based curriculu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ocal communities.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questions that are intended to be exam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reflected on the school-based curriculum? 1-1. To what extent are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reflected on school-based curriculum? 1-2. What asp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ommunities are reflected on the school-based curriculum? 2. What are the promoting and limiting factors for developing the school-based curriculu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1-1. What factors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1-2. What factors limit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In order to answer such research questions, I have used two methods. The first is the literature review regarding the curriculum reports of the 100 national excellent curriculum schools. The second approach is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who developed the curriculums in the schools which were designated as one of the 100 national excellent curriculums. One of the themes of the 100 national excellent curriculums in 2012 was the implementation and practice of a more diverse and creative curriculum. Among the 100 national excellent curriculums, there were 50 elementary school reports. Therefore, this study will assess those 50 reports and have in-depth interviews with 5 teachers who have worked in 4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I hav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reflected on school-based curriculum. The results from the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from the 100 national excellent curriculum schools allows me to discover which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ommunities are specifically reflected on the school-based curriculum. In addition, through the interview, I have characterized the promoting and limiting factors for developing the school-based curriculu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The literature review highlights three types of characteristics: local, student and parent. Firstly, the types of local status are nature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ly, the types of student status are lifestyle&tenacity, physical&mental health, learning skills&educational activities,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ests&needs. Thirdly, the types of parent status are home environment, requirements of school education&educational philosophy and interest&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The most highly ranked feature of the local communities is the parents'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ir requirements of the schools education.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5 teachers in the 4 schools located in Seoul illustrates which asp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ommunities are reflected on the school-based curriculum. The interviews indicate that the curriculums content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ommunities are various according to the local status, student status and parents statu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I have characterized the promoting and limiting factors for developing the school-based curriculu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The promoting factors ar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eachers, the systemic analysis of local communities, active communicati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creative ideas, the efficient division of labor and the permission of liberalization. On the other hand, limiting factors for developing the creative curriculum include uncooperative attitude of the teachers, excessive work, school evaluation indicator, fluctuating education focus area of education offices and lack of resources. As each school has more autonomy in developing a school-based curriculum, to develop and practice the school-based curriculu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has been more important than ever. Therefore, this study will enable each school to develop their own featured school-based curriculum based on the local commun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