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호-
dc.contributor.author홍수진-
dc.creator홍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5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36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2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3677-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aims to examine experimental cases of design and application of individualized daily living skills training program for exceptional children based on the current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and help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hoose, design, and apply the daily living skills training program considering degree of disabilities and current ability of exceptional childre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sues are selected as follows; first, how is the training program, based on exceptional children's present level of performance, development and conducted in practice?; second, can the training program, discussed in this study, enhance daily living activities of the children? In exploring the issues, experimental case study research was conducted. Three exceptional children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daily living skills training programs were individually applied with their mothers, who are a main fosterer of each child, and their class teacher. In order to measure their development level and current performing ability, Social Maturity Scale (SMS) and We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WeeFIM) were conducted, and observation and interview methods were mainly used. Collected data and research materials were analyzed based on the issue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designing daily living training program consists of preparation stage and planning stage which is fundamental to program design. At the preparation stage, information on the program was offered to children's parents. At the planning stage, data to measure the children's ability degrees was collected, daily living skills depending on each child are selected, and then the detailed plans were made including monthly schedule and teaching materials. Second, the effect of the individualized daily living skills training program on the children's daily living skills development was measured by SMS and WeeFIM, and evaluated by their parents, teachers, and me. Overall, children's daily living skills were developed through the regular practice and training. As children were educated in their daily environment, they could easily apply the skills to their daily life. For that reason, functional ability could be more enhanced. Cooperation between children's teacher and parents was an important part of generalizing the skills acquired. From the results of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o develop the whole process of the individualized daily living skills training program,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nsistent and specific efforts are necessary. It is also necessary to offer methodical training courses for the teachers to help them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individualized daily living skills training for exceptional children. Second,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connection with daily living skills training activities when they create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enhance daily living skills through the training program for exceptional children. Third, the support system with many different methods should be discussed to help exceptional children sustainably use the skills acquired by the training at every environment they live and study, and to educate exceptional children in line with their home. It is also hoped that assessment tool is developed, consisting of departmentalized items of daily living skills for exceptional children.;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유아의 수행능력에 기초한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과정에 대한 사례를 탐구하여 현장에서 장애유아를 가르치는 유아특수교사들에게 생활하는 환경 내에서 장애정도와 수행능력을 고려한 일상생활 기술을 선정하는 과정부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적용하는 과정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즉,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을 구안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장애유아의 수행능력에 기초한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둘째, 장애유아의 수행능력에 기초한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일상생활능력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분석하고자 장애유아의 수행능력에 기초한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과정을 사례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3명의 장애유아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주 양육자인 엄마와 담임교사가 참여하였다. 발달 수준 및 수행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성숙도검사와 WeeFIM 검사를 활용하였으며 관찰과 면담을 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면담 및 관찰자료, 문서자료들은 연구 문제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유아의 수행능력에 기초한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크게 준비단계, 개발단계로 구분되며 개발단계는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 구안의 핵심이 되는 단계이다. 준비 단계에서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장애유아의 수행능력에 기초한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가 이루어졌으며, 개발 단계에서는 장애유아의 수행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장애유아의 수행능력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일상생활 기술을 선정하고, 장애유아의 수행능력에 기초한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월별 교육내용의 선정 및 활동 내용에 따른 교구를 선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개발한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 지도 시 사용되는 도움의 정도나 촉진의 유형을 체계적으로 기술하였으며 점차 소거하거나 최대의 독립수준을 고려하여 적용하였다. 둘째, 장애유아의 수행능력에 기초한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장애유아의 일상생활능력이 향상되었는지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와 장애유아의 주 양육자, 담임교사의 평가에 의한 분석과 사회성숙도검사, WeeFIM 검사를 실시하여 효과를 살펴보았다. 반복적인 연습과 훈련을 통해 필요한 일상생활 기술들을 습득하는 데 있어 전반적으로 향상된 모습을 보였으며 유아가 생활하고 있는 자연적인 환경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습득한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기능적인 사용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습득한 기술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담임교사, 주 양육자와의 협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장애유아의 수행능력에 기초한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한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및 평가의 과정에 이르는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현장에 있는 유아특수교사들의 지속적이고 구체적인 노력과 장애유아의 일상생활훈련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체계적인 관련 연수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둘째, 장애유아를 위한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일상생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아특수교사는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 작성 시에 일상생활훈련의 활동과의 연계성을 고려해야 한다. 개별적인 요구를 중심으로 계획되는 개별 일상생활훈련의 영역과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의 교육활동을 연계하여 계획함으로써 교육의 질적 향상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장애유아가 생활하는 모든 환경에서 습득한 기술을 사용하며 유지에 도움을 주고, 가정과 연계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더불어, 수업 진행을 통한 관찰이나 학부모의 면담은 자칫 주관이 개입될 수 있어 장애유아의 수행능력이 과대 또는 과소평가될 수 있고, 일상생활작업의 수행 정도가 왜곡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장애유아들을 위해 일상생활 기술을 세분화한 항목들로 구성된 평가 도구의 개발이 후속과제로 진행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3 Ⅱ.이론적 배경 5 A.유아특수교육 5 B.장애유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 6 1.개별화 교육 6 2.개별화 교육을 위한 교육진단 7 C.일상생활 훈련 프로그램 10 1.Montessori교육과정의 일상생활영역 10 2.장애유아의 일상생활훈련의 중요성 13 3.장애유아의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점 16 D.장애유아의 일상생활훈련에 관한 선행연구 17 Ⅲ.연구 방법 21 A.연구 설계 21 B.연구 대상 27 C.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29 Ⅳ.연구 결과 32 A.장애유아의 수행능력에 기초한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과정 32 1.준비 단계 33 2.개발 단계 34 3.적용 단계 69 B.장애유아의 수행능력에 기초한 개별 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변화 73 1.진단검사에 의한 분석 74 2.관찰을 통한 평가에 의한 분석 78 Ⅴ.결론 90 1.요약 90 2.논의 및 제언 91 참고문헌 94 부록 97 ABSTRACT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0920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장애유아의 수행능력에 기초한 개별일상생활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n Individualized Daily Living Skills Training Program for Exceptional Children Based on Their Ability to Perform-
dc.creator.othernameHong, Su Jin-
dc.format.pagexi,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