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지-
dc.contributor.author이남원-
dc.creator이남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4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9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2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94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선율 중심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경증 알츠하이머 환자의 단기기억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S구에 위치한 치매지원센터, 데이케어센터, 요양센터와 D구에 위치한 노인 요양센터를 이용하는 62-88세의 알츠하이머 치매 노인으로,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MMSE-K) 점수가 24∼17점, 치매 임상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 점수는 0.5∼1점에 해당하는 경증 알츠하이머 환자 총 36명을 실험군 18명과 통제군 18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두 그룹 간 동질성 확보를 위해 사전에 일상생활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검사를 시행하였고 우울감이 인지기능에 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축형 노인우울척도(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SGDS-K)를 측정하여 우울증후군의 가능성이 있는 대상자는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실험군에게는 선율에 대한 익숙함을 사전 조사하였고 호흡과 발성, 익숙한 선율로 단어 목록 외우기, 단어 즉시 회상, 신체 활동, 단어 지연 회상의 순서로 약 25분씩 주 4회 총 10회기 동안 익숙한 선율을 사용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인지기능 및 단어 기억을 통한 단기기억력 측정을 위해 사전·사후에 MMSE-K와 노인용 서울언어학습검사(SVLT-E)를 실시하였고 중간 검사 시에는 MMSE-K의 기억력 영역을 검사하여 사전·중간·사후에 각각 점수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실험군의 사전·사후 평가에서 인지기능과 언어기억기능의 세부 항목인 즉시회상, 지연회상, 재인점수, 재인변별력은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p < .05), 통제군은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익숙한 선율을 사용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경증 알츠하이머 환자의 단기 기억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이와 같은 경증 알츠하이머 환자에 대한 짧은 기간 집중적 개입은 치매로 손상된 인지기능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익숙한 노래 부르기가 주는 안정적인 감정의 변화가 기억력과 관련된 반응을 촉진 시키고 비음악적 정보가 규칙성을 가진 선율과 결합되어 효율적인 부호화와 인출에 전략이 되면서 단기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기능이 향상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익숙한 선율 중심 인지재활 프로그램은 경증 알츠하이머 환자의 인지재활에 치료적 효과성을 입증하고 대상을 확대해 초기 인지 장애를 보이는 환자의 음악 치료적 개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familiar melody-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verbal memory of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Older adults with Alzheimer’s disease (AD) showing the MMSE-K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scores of 17 to 24 and the CDR (Clinical Dementia Rating) scores of 0.5 to 1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excluded if they had a clinically significant depression. A total of 36 AD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 = 18) or a control group (n = 18). The mean age of each group was respectively 77.89 year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77.83 years for the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familiar melodie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individual investigation of participants' familiarity with the presented songs. The selected melodies were matched with target words to be remembered. Each particip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25-minute individual session four times per week and a total of ten sessions were provided. Each session was conducted in the sequence of breathing, vocalization, memory of target words with a familiar melody, immediate recall, physical activity and delayed recall. The MMSE-K and the Seoul Verbal Learning Test-Elderly (SVLT-E) were conducted at pre- and po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cores in immediate recall, delayed recall, and recognition test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compared to at pretest (p < .05). While, the control group showed slight decreases in the scores at posttest. It indicates that the use of familiar melody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would enhance cognitive function including memory of mild AD patients. Matching target words with a familiar melody can facilitate encoding and retrieving processing by chunking information into meaningful units. Also, singing a familiar melody can create a strong association of music and non-musical information at encoding, thereby triggering the retrieval of the target information with stable, positive emotions. These findings will base the applicability of the familiar melody-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to patient who shows initial cognitive impairment, not limited to AD pati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목적 6 C. 연구 가설 6 Ⅱ. 이론적 배경 8 A. 기억력 8 1. 기억체계 8 2. 노화로 인한 기억력 변화 10 B. 경증 치매 12 1. 치매의 특징 12 2. 경증 알츠하이머 치매 13 가. 알츠하이머 치매의 특징 13 나. 알츠하이머 치매의 경증 단계 특징 14 C. 기억력 증진을 위한 음악 요소의 활용 14 1. 음악과 기억 14 2. 노인의 음악을 사용한 기억력 증진 활동 현황 16 Ⅲ. 연구 방법 18 A. 연구대상 18 B. 연구도구 18 1. 간이정신상태검사(MMSE) 20 2. 노인용 서울언어학습검사(SVLT-E) 20 C. 연구 방법 21 1. 연구기간 및 장소 21 2. 대상자 구성 22 3. 단어 목록 구성 22 4. 익숙한 선율 구성 23 5. 노래에 대한 친숙도 사전 조사 25 6. 프로그램 설계 25 가. Warm-up 활동 25 나. 단어 즉시 회상 27 다. 신체활동 28 라. 단어 지연 회상 29 7. 연구 절차 29 D. 연구 자료 분석 30 Ⅳ. 결과 및 논의 31 A. 결과 31 B. 논의 39 Ⅴ. 결론 및 제언 42 A. 결론 42 B. 제언 44 참고문헌 46 부록 54 ABSTRACT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39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선율 중심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경증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의 단기기억력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 Familiar Melody-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Verbal Memory of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dc.creator.othernameLee, Nam won-
dc.format.pageix,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치료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