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설경옥-
dc.contributor.author유지혜-
dc.creator유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8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5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2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50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여대생들의 이상섭식행동을 이해하고자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조절전략, 자기자비, 이상섭식행동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모형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수치심과 이상섭식행동이 관련이 있고, 이 관계를 정서조절이 매개한다는 연구, 정서조절 전략들은 피드백 루프를 통해 서로를 자극한다는 연구, 자기자비 수준이 이상섭식행동과 관련이 있다는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이중매개 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시 소재의 대학교 한 곳과 경상북도 소재의 대학교 한 곳의 여자대학생 331명이 참여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자기자비 척도, 정서조절 척도, 섭식태도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설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7부를 제외한 324명을 분석에 포함시켰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여대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이상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전략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자기자비를 매개로 한 경로와 인지적 재해석과 자기자비의 이중 매개 경로는 유의했으며, 정서억제를 통한 경로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즉, 내면화된 수치심과 인지적 재해석의 부적 관련성을 통하여 낮은 자기자비 수준이 설명되고, 이를 통해 이상섭식행동을 설명하는 경로와 수치심과 이상섭식행동 간에 자기자비가 매개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의 사용이 제한되고, 정서와 정서조절 간의 피드백 루프에 의해서 또 다른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인 자기자비적 태도가 제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절되지 않은 부정정서에 대한 대안적인 정서조절 방법으로 이상섭식행동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이상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전략과 자기자비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이상섭식행동은 개인이 경험하는 부정정서를 어떻게 조절하고 자신을 어떻게 대하는지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상담자가 이상섭식행동을 보이는 내담자를 만났을 때 그들의 수치심 수준 뿐 아니라 주로 사용하는 정서조절 전략, 자기자비적 태도에 주목하고 내담자에게 개입 시 다양한 방식으로 계획을 세울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해 상담자들이 이상섭식행동의 메커니즘을 정서조절의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고, 정서조절 전략과 자비자비적 태도를 증진시키는 개입을 통하여 이상섭식행동을 보이는 내담자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model of the mediating mechanism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 between shame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Based on previous studies, present study hypothesize dual mediation model in which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elf-compassion are presented in serial order. To verify this hypothesis, survey was conducted to 331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sangbuk-do. The 324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items from Internalized Shame Scale(ISS), Korean Self-Compassion Scale(K-SCS),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ERQ) and Eating Attitude Test(EAT).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 The relation between shame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was mediated by self-compassion. (b) The dual mediation effect by cognitive reappraisal and self-compassion was also verified. Unexpectedly, suppression was not related to self-compassion or disordered eating behavio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ith this study, we could suggest a possible and comprehensive model for disordered eating behavior including tw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e is reappraisal and suppression, the other is self-compassion) variables. Also, with this study result we coul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motion regulation and self-compassion in disordered eating behavior. It would be expected to help counselors understand the mechanism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 in the view of emotion regulation and self-compassion and plan appropriate intervention for clients. However, as this study was only conducted to female college students, results of this study were hard to be generalized to all women. The other limit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 Although suppression is known as predictor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 in this study suppression was not related to any variables except shame. The possible reason might be from cultural difference or a way of question which asked general emotion suppression, not the specific emotion suppression. The reason of this need to be identified and in the future study it should be examined agai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7 II. 이론적 배경 8 A. 이상섭식행동 8 B. 수치심 12 1. 수치심의 정의 및 특성 12 2. 수치심과 이상섭식행동 14 C. 정서조절 16 1. 정서조절의 정의 및 특성 16 2. 정서조절과 수치심 19 3. 정서조절과 이상섭식행동 21 4. 수치심, 정서조절 그리고 이상섭식행동 23 D. 자기자비 24 1. 자기자비의 정의 및 특성 24 2. 수치심, 자기자비 그리고 이상섭식행동 28 3. 자기자비와 정서조절 29 III.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33 A. 연구모형 33 B. 연구가설 34 IV. 연구방법 35 A. 연구대상 35 B. 연구절차 36 C. 측정도구 37 1. 내면화된 수치심 37 2. 정서조절 37 3. 자기자비 38 4. 섭식태도 38 D. 자료 분석 40 V. 연구결과 41 A.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치 및 상관분석 결과 41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결과 41 2. 주요 변인의 상관분석 결과 42 B. 수치심과 이상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재해석과 자기자비의 매개 효과검증 44 1. 측정모형 적합도 평가 44 2. 구조모형 적합도 평가 46 3. 매개효과검증 49 VI. 논의 51 A. 결과 요약 및 해석 51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56 참고문헌 58 부록 76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03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수치심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전략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 of Shame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dc.creator.othernameYoo, Ji-hye-
dc.format.pageix,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