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김소정-
dc.creator김소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7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6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1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65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silencing and suppression of anger,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self-silencing in these relationship.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13(19 men, 214 women) undergraduates 5 universities in Seoul and Kyungnam. They complete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cale(HMPS-SSP), Self-silencing Scale(SS) and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STAXI).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Pearson's correlation by the SPSS 21.0 and laten mean analysis, multi-group analysis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the AMO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 t-test using gender difference was significant 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uppression of ange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on self-silencing. 2.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silencing, suppression of anger. And self-silencing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ppression of anger. 3.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ggested that self-silencing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uppression of anger. And the results of latent mean analysis across groups showed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silencing and suppression of anger in women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men. And the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sugges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rences between path coefficient between factors in women and in men. 4.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several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re discussed.;본 연구는 서울 및 경남 소재 5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 대학생 199명, 여자 대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자기침묵, 분노억압의 성차 여부를 확인하고,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분노억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침묵을 매개하여 분노억압에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으로 먼저 각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평균차이 검증을 실시한 후,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이후 변인들 간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분석 및 구조적관계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해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분노억압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났으나, 자기침묵의 경우 성차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분노억압 수준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침묵은 총점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기침묵의 하위요인 외적 자기, 분리자기, 자기침묵은 여학생이 더 높고, 자기희생은 남학생이 더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녀집단 모두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하위요인이 자기침묵의 하위요인, 분노억압과 각각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으며, 자기침묵과 분노억압 간에도 강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자기침묵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분노억압 간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에서 자기침묵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분노억압 사이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구조적 관계에서 성차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자기침묵, 분노억압의 잠재평균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10 Ⅱ. 이론적 배경 11 A.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11 1.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개념 11 2.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분노 14 B. 분노억압 16 1. 분노억압 개념 16 2. 분노억압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19 C. 자기침묵 21 1. 자기 침묵의 개념 21 2. 자기 침묵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23 3. 자기 침묵과 분노억압 25 Ⅲ. 연구 방법 28 A. 연구 대상 28 B. 연구 도구 29 1.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29 2. 자기침묵 척도 30 3.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 31 C. 연구 절차 32 D. 자료 분석 32 IV. 연구 결과 34 B.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치 34 1.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 34 2. 주요 변인들의 남녀 집단 간 차이검증 35 3. 주요 변인들 간 상관 분석 36 B.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자기침묵, 분노억압 간의 관계 37 1. 분노억압 측정변인 생성 37 2. 측정모형 검증 38 3. 연구모형, 경쟁모형 검증 40 C. 남녀 다집단 분석 43 1. 남녀 집단 간 잠재평균분석 43 2. 남녀 집단에서의 모형 적합도와 경로 차이 45 Ⅴ. 결론 및 제언 47 A. 결과요약 및 논의 47 1. 주요 변인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검증 47 2.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52 3.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54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56 참고문헌 61 부록 71 영문초록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774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분노억압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기침묵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ger Suppression of anger in University students : Mediation EffectofSelf-silencing-
dc.creator.othernameKim, So Jung-
dc.format.pagex,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