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남원-
dc.contributor.author이수미-
dc.creator이수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5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1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1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15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Blue and White Porcelains with landscape design were high-class utensils satisfying practical and appreciational purposes, and to analyze the themes and features appeared in the painted landscapes. Also it intends to examine the process that ideal landscape paintings were gradually adapted to the design on Blue and White Porcelain, and to interpret them with a new point of view, based on the inscriptions and subjects of the designs. First in the late Joseon, landscape designs appeared as single, in ceramics. It seems owing to the growing attention to appreciating landscape paintings, and the vitalization of infrastructure for producing Blue and White Porcelains, in the period. The formal similarity between Eight-angled Waterdroppers and Folding screens of Joseon; frequent appearance of Chinese scenic spots and the depiction on White Porcelains’ surface; and the presence of Ogival-shaped frame and Poetry-based-painting stand as the contrary evidences for that. It is observed that in China, single-placed landscape design became prevalent first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Ideal scenery drawings, holding natural trait of Landscape paintings, have common grounds with some examples of Joseon’s Blue and White Porcelains with landscape design. However, it seems that Joseon chose specific landscape types according to its own preference, when applying them. Nugagsansu-design and Inmulsansu-design are worthy to be noticed here, in that they frequently appeared symmetrically or singly, on the surface of White Porcelains. Inscriptions and subjects found in the landscape designs of Blue and White Porcelains in late Joseon can be roughly sorted into ‘Jiangnan Sceneries’ - the collected ideal places in Chinese art - and ‘Poetry-based-painting’. The two examples of Jiangnan Sceneries, Dongjeongchuwol and Janganguigangdong came after analysing the Nugaksansu-design and Inmulsansu-design, relatively. The inscriptions written on the surface of Dongjeongchuwol suggest that it was to compare the images from the paintings and Nugaksansu-design, and realize the splendour at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Dongting Lake, and Yueyanglou. On the contrary, Janghanguigangdong has been considered an Inmulsansu-picture, referring to ‘Sansichungram’ from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or Narrative Figure Paintings, or etc. But the records of Inscriptions and Poems on Paintings, usually accompanying with Inmulsansu-design, provide clear interpretation of them when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Inscriptions are identified as either a part or full text of “Songjangsainjigangdong”, the poem written by Libai in Tang Dynasty. The scene that Janghan, the chinese stylist of Xi-Jin Dynasty, is seen off for his hometown, Gangdong, is depicted in this Inmulsansu-design, concretely. This can be said to provide a basis for regarding the Inmulsansu-design as ‘Janghanguigangdong’, because Poems on Paintings show that it was painted as ‘Janghanguigandong-picture’ in the Joseon period, though it is not affirmed in the other paintings remained. Moreover, ‘Dongjeongchuwol’ and ‘Janghanguigangdong’ are observed together in Poems on Paintings of several pictures e.g. Pal-wha, Sib-i-do, and etc. Also documents of an ancient event that belongs to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allow further assumption for that. In addition, the both are also seen in Poem books, Brushes granted by the king, or Special-ordered designs on porcelain, and appeared in subjects for painting, assigned to make picture books that have likely been produced for royal family to appreciate. Accordingly it gives a convincing background of when ‘Dongjeongchuwol’ and ‘Janghanguigangdong’ became popular as one of Jiangnan sceneries, in symmetrical accordance with Joseon’s Blue and White Porcelains. The different types and shapes observed with Blue and White Porcelains with landscape design can be clearly understood, considering production tendency of White Porcelains in the late Joseon period. Into Vessels for Living and Writing Utensils, they are briefly classified. Especially among the vessels for living, Jars with landscape design suggest chronological relations of the designs, and show an aspect of production process of Blue and White Porcelains in royal kilns since they clearly reflect the supporting pattern of Cloud and Dragon Designs, of which the formal aspect was already firmly regularized at that time. On Pots and Angled Bottles, landscape designs were painted mostly in the inside of the Ogival-shaped Frame, which would have been specially applied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poem-writing upon the angled surface of pots. Among the Writing Utensils, Waterdroppers are considered the most-produced item, due to the high demand from Literatis. Other sorts of landscape painting utensils also remain, including Brush cases, Brush washers, and Brush racks. Eight-angled Waterdroppers have such landscape designs especially on the side of their unique bottom part ‘Gup-dari’ that reminds the typical shape of Folding Screens. This reflects an original trait of Painting most, among the presented examples of painted landscapes on pottery. According by the subject matters the painted landscapes on pottery are categorized as four types: Nugak, Suhainmul, Sailboats, and the others. Besides the mentioned, Real landscape or Folk painting style existed as well, alongside the motif from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The others show a tendency that ideal sceneries we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formed a whole landscape. This is rather regarded as another modality, than as a declining trend, although it became popular latter than the former ones. Angled side and Ogival shape of Frame enabled adequate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type or shape of painted landscapes. The change process of Blue and White Porcelain with landscape design is divided into two terms. The former is when it became firstly possible to produce the porcelains,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 latter spans between the mid 18th century and the next century, whe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m became more active, along with the prevalence of Angled-shaped Bowls, development of decorating techniques, and surged demand for White Porcelain Writing Utensils. It is shown that different landscape patterns were combined by repetition and each of them co-existed.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with landscape design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following four features. First, there was a trend to manufacture them as Gapbeon - the porcelain of best quality - compared to the other White Porcelains of Joseon. This opens a window to look at an aspect that diverse ornamental factors were actively shared among royal kilns, in the late Joseon period. Secondly, when expressing ideal places e.g. Chinese scenic spots, the unique function that Folding Screens and Painting Books performed for appreciation was applied, and upon the surface of porcelains such sceneries were painted. Therewith they tell the nature of crafted products to function as practical and ornamental objects. Thirdly, earlier landscape designs were painted fairly pictorially as utopia by noblemen, mostly on big-sized items, however it gradually melted into other ordinary ornaments. Lastly, they have values as important documents in the history of painting, in that the patterns of cobalt blue drawings on the porcelains provide clues for analysing the correlation and combination aspect between ‘Dongjeonchuwol’ and ‘Janghanguigangdong’, of which the production detail can only be presumed from Poems on Paintings.;본 논문은 朝鮮後期에 유행한 山水文 靑畵白磁가 實用과 玩賞을 충족시켜준 고급 도자 기물이라는 것을 밝히고, 산수 유형의 주제와 특징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理想的 空間을 담은 산수화가 조선후기 백자의 흐름 속에서 청화백자의 문양으로 나타나는 과정을 파악하고, 산수문의 명문과 주제 분석을 통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도자에서 산수문은 조선 15-16세기 청화백자의 人物文의 배경 요소로 존재하다가 조선후기에 이르러 단독으로 나타나 시문되었다. 이는 산수를 감상할 수 있는 대상이 후기로 가면서 더욱 확대되고, 청화백자의 제작 기반이 활성화되면서 가능해진 것으로 보인다. 山水屛風·山水畵帖·自然物·像形의 文房品등을 통해 문인 사대부들은 원하는 理想景을 가까이에서 누릴 수 있었으며, 조선후기에 유입된 만명기 문인문화의 영향으로 실경도를 감상하는 臥遊物로 인식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이를 통해 중국의 勝景이 그려진 화보·화첩 등이 감상첩으로 기능하였으며, 정원·물질문화도 활기를 띠면서 이상적인 공간 조성도 더욱 확산되었다. 이를 반영하듯 分院에서는 자기재질의 괴석이 제작되고, 석가산 연적이 문방품 이상의 의미를 갖는 정황이 확인된다. 또한 안료와 제작 여건에 따른 청화문양의 다양화, 각형기 등 화려한 장식을 갖는 고급의 匣燔白磁 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청화백자에 표현되는 산수 감상의 일면을 파악할 수 있다. 八角 硯滴과 조선시대 산수 병풍 형식이 유사한 점, 화첩에 수록된 중국의 명승지와 표현방법이 백자기면에도 잘 나타나는 점, 花窓과 詩意圖 형식의 산수 화첩 효과가 보이는 점이 이를 반증한다. 중국의 산수문은 元代 말기에 청화백자의 배경 요소로 나타나다가 문인층의 수요와 경덕진 민요의 활동과 맞물려 明末淸初에 단독 문양으로 유행하는 경향을 보인다. 산수화 본연이 갖는 이상경에 대한 표현 방식은 조선의 산수문 청화백자에서 나타나는 예와 공통점을 지닌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특정한 산수 유형의 유행은 조선의 기호대로 채용한 차이점을 보이며, 따라서 빈번히 기면에서 대칭을 이루거나 혼자 등장하는 樓閣山水文과 人物山水文에 관하여 주목하였다. 조선후기 청화백자의 산수문에 나타나는 명문과 주제는 크게 江南景의 표현과 詩意圖風 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중국의 이상적 공간으로 꼽히는 강남경에 속하는 ‘洞庭秋月’과 ‘張翰歸江東’은 각각 樓閣山水文, 人物山水文에 관한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이다. 이외에 ‘瀟湘八景’의 각 경관 표현 또는 강남에 속한 명소가 하나의 백자기물에 나타나는 점을 기타로 분류하였다. ‘洞庭秋月’은 회화에 나타난 도상과 樓閣山水文을 비교하고, 도자기면에 쓰인 명문을 통해 소상팔경의 洞庭湖와 岳陽樓의 장관을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장한귀강동’은 소상팔경의 ‘山市靑嵐’ 또는 고사인물에 기인한 인물산수도 등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人物山水文과 동반되는 명문과 題畵詩 기록을 종합하면 분명한 해석이 가능하다. 명문은 唐代 李白의 시 “送張舍人之江東”의 일부분 또는 全文으로 확인되며, 고향인 강동으로 돌아가는 西晉의 문장가 장한을 떠나보내는 장면이 인물산수문에 구체적으로 묘사되어있다. 이는 남아있는 회화에서는 확인되지 않으나 제화시를 통해 조선시대에 ‘張翰歸江東圖’로 제작되었음이 확인되므로 인물산수문을 ‘張翰歸江東’으로 지칭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또한 ‘洞庭秋月’과 ‘張翰歸江東’은 제화시를 통해 팔화, 십이도 등에 함께 등장하며, 소상팔경의 한 장면에 장한의 고사가 포함되는 기록도 전해지고 있다. 동시에 개별적으로 왕실 주도의 詩帖, 御筆, 應製 등에 쓰여 지고, 왕실 감상용으로 추정되는 화첩 수록 화제로도 나타나는 예가 확인된다. 따라서 ‘洞庭秋月’과 ‘張翰歸江東’이 강남경의 하나로 조선후기 청화백자에 대칭을 이루고 유행할 수 있는 배경이 충분히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산수문 청화백자를 통해 관찰되는 다양한 기종 및 기형은 조선후기 백자 제작의 흐름 속에서 파악이 가능하며, 생활기명과 문방구류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특히 山水文壺는 산수문의 시기적 선후 관계를 추정할 수 있는 기종이며, 규정화된 운룡문호의 보조문양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어 관요 청화백자 제작의 일면을 보여준다. 山水文甁은 사각, 팔각, 육각 등 각형기의 유행과 맞물려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扁甁의 경우 장식적인 손잡이와 다양한 보조문양을 넣어 화려하게 나타난다. 또한 호와 각병에서는 창 내부에 산수가 시문된 것이 대부분인데, 호의 대형기면과 각형기의 각진 면에 시문을 좀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창을 활용한 것으로 짐작된다. 이 외에도 주자· 접시· 발· 잔 등 생활기명에서 다방면으로 산수가 시문되었다. 문방구류에서는 문인 수요와 맞물려 연적이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하며, 筆架· 筆洗· 筆筒· 硯匣 등 다양한 산수 문방품이 제작되었다. 四角· 六角· 花形· 環形 등의 연적은 상면에서 주로 산수가 관찰되나, 팔각연적에서는 굽다리가 부착된 경우에만 측면에 산수가 시문되어 병풍 형식을 연상시킨다. 이 팔각연적은 산수를 도자에 시문함에 있어서 본래의 회화적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주목되는 기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팔각연적은 실용성을 유지하면서 산수를 즐길 수 있는 최고의 문방품으로 인식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도자에 시문된 산수문의 유형은 중심 소재에 따라 樓閣· 樹下人物· 帆船· 기타 총 4유형으로 분류되고, 실경산수, 민화풍 등이 혼재하며 소상팔경의 모티브도 자주 응용되었다. 기타유형은 이상적 소재가 어우러져 하나의 혼합된 산수를 이루는 경향으로 다른 유형에 비해 늦은 시기에 유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나 쇠퇴한 경향이라기보다는 또 하나의 양상으로 추정된다. 산수 유형 간의 결합은 시문된 기종과 기형에 따라 角面 또는 窓을 이용하여 적절한 조합이 이루어진다. 4유형 모두 단독적으로 한 기물에 나타나며 주로 연적의 상면, 원형병의 연속 시문, 주자 측면, 접시 기종에서 보여 진다. 여러 유형이 한 기물에 나타나는 경우는 창을 활용한 호의 동체, 각병의 각 면, 편병의 양 면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다. 2-4종류의 조합이 확인되며, 2장면의 결합은 생략되거나 새로운 결합인 것으로 보이며 비교적 정형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산수문 청화백자의 변화과정은 제작과 소비의 정황을 추정할 수 있는 사료와 소량의 편년 유물을 토대로 크게 2期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기는 18세기 초반 산수문 청화백자의 생산이 가능해진 시기로 편년유물이 현재까지 확인된 예는 없으나, 정형화된 모습은 보이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2기는 18세기 중반 이후 19세기에 걸쳐 산수문 청화백자의 제작과 소비량이 확대된 시기이며, 각형기의 유행, 장식 기술의 확대, 백자 문방품의 수요와 맞물린 것으로 보인다. 제작 시기가 추정 가능한 각병· 팔각연적· 다각접시에 시문된 산수문을 통해 반복적인 결합 양식이 나타나고, 각 산수 유형이 공존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산수문 청화백자의 의의는 총 4가지로 요약하여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산수문 청화백자는 조선후기 백자 가운데 양질의 갑번 자기로 제작되는 경향이 있다. 둘째, 중국의 명승지 등 이상적인 공간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감상 기능을 가진 산수 병풍, 화첩 등의 특징이 응용되고, 자기면에 구현함으로써 실용성과 장식성을 충족시키는 공예품의 특성을 보여준다. 셋째, 등장초기의 산수문은 사대부의 이상경으로써 대형기종을 중심으로 상당히 회화적으로 표현되다가 점차 다양한 기종에 일상적인 장식 문양으로 녹아드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화시로만 제작 경위를 추정할 수 있는 ‘洞庭秋月’과 ‘張翰歸江東’의 연관성과 결합 양상을 도자기의 청화문양을 통해 파악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회화사적으로도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山水文 靑畵白磁의 製作 背景 5 1. 山水 鑑賞 文化의 확대 5 2. 分院의 山水文 靑畵白磁 製作 16 3. 明末淸初 山水文 靑畵白磁와의 比較 22 Ⅲ. 靑畵白磁 山水文의 銘文과 主題 28 1. 江南景의 표현 30 1) 洞庭秋月 30 2) 張翰歸江東 36 3) 기타 44 2. 詩意圖風 형식 47 Ⅳ. 기종별 제작양상 및 문양 유형 50 1. 기종별 제작양상 50 1) 生活器皿類 50 2) 文房具類 61 2. 문양 유형 67 1) 유형 분류 67 2) 결합 양상 74 Ⅴ. 시기 설정과 山水文 靑畵白磁의 意義 77 1. 시기 설정 77 2. 山水文 靑畵白磁의 意義 82 Ⅵ. 맺음말 86 별표 93 參考文獻 95 圖版目錄 102 圖版 106 ABSTRACT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7517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朝鮮後期 山水文 靑畵白磁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ii,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